$\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착화탄 연소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사에서 자살입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verifying a suicide by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committed by burning an ignition charcoal briquette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8 no.6, 2015년, pp.398 - 408  

성태명 (국방부조사본부 과학수사연구소 약독물화학과) ,  조주익 (국방부조사본부 과학수사연구소 약독물화학과) ,  안필상 (국방부조사본부 과학수사연구소 약독물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번개탄과 같은 착화탄을 이용한 일산화탄소 중독사는 국내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자살과 관련되지만 타살의 가능성을 절대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때문에 변사자와 사건 현장을 법과학적으로 철저하게 조사하여 변사자가 자살을 실행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며, 착화탄을 사용하여 자살을 했을 경우 착화탄이 접촉될 수 있는 손, 콧속 및 문고리 등에서 착화탄성분을 확인하는 것이 사건현장과 변사자와의 관련성을 입증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착화탄성분은 외관 및 화학적 조성을 토대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판별분석을 통하여 검출된 착화탄성분이 검정색으로 관찰되는 목편과는 뚜렷하게 구별됨을 확인하였다. 자살을 입증한 사례에서 착화탄성분 분석을 위하여 실체현미경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 X-선분석기(SEM-EDX)를 사용하였고, 일부 탄화된 수지상물질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현미경-적외선분광광도계(microscope-FT/IR) 및 열분해-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Py-GC/MS)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면제 약물인 디펜히드라민을 위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였고, 혈중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O-Hb) 농도 확인을 위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TCD)를 사용하였다. 착화탄성분을 외관형상 및 화학적 성분을 토대로 손바닥 및 손잡이 등에서 확인하였으며, 특히 변사자의 콧구멍에서 착화탄성분을 검출함으로써 변사자가 자살을 위해 직접 불을 피웠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탄화된 검정색물질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로 포장용 비닐가방에 널리 사용되는 재질로 착화탄을 운반할 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수면제 성분으로 디펜히드라민이 2.3 mg/L 검출되었으나 사망사건에서 검출된 농도 8-31 mg/L (평균 16 mg/L) 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단지 수면을 유도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79%의 혈중 CO-Hb의 검출은 일산화탄소 중독이 사망원인이었음을 나타내었다. 위에서 언급된 절차들은 밀폐된 방 또는 차량 안에서 착화탄을 피워 사망한 일산화탄소 중독사에서 자살인지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훌륭한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bon monoxide (CO) intoxication, arising from CO from an ignited charcoal briquette (ICB), is a popular means of committing suicide in Korea. Most CO intoxications are related to suicide attempts; however, the possibility of a homicide disguised as a suicide cannot be ruled out. Therefore, foren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사건현장과 변사자에서 사건 과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착화탄성분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은 자살을 명확하게 입증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감식 및 감정방법으로 판단된다. 현재에도 착화탄을 이용한 사망사고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나 저자가 아는 바로는 아직까지 착화탄성분을 법 과학적으로 분석하거나 자살 또는 타살의 사건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체계적인 감식 절차를 소개한 문헌이 없었기에 착화탄과 관련된 사망사건에서 자살입증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사항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착화탄에 불을 피우는 초기상태를 고려하여 착화탄으로부터 코의 높이를 약 50 cm로 가정하여 착화탄으로부터 높이 약 50 cm 위에 착화탄성분이 전이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불을 피운 초기부터 미연소된 착화 탄성 분의 입자가 착화탄의 바로 위에 다량 침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착화탄에 불을 붙이면 불꽃이 튀기면서 코의 높이보다 더 멀리 전이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또한 착화탄이 격렬하게 타기 시작하는 시점부터는 가열된 공기에 의한 상승기류와 함께 다량의 착화탄성분이 50 cm 보다 높은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uicidal methods,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2. M. W. Schmitt, T. L. Williams, K. R. Woodard and R. C. Harruff, J. Forensic Sci., 56(3), 652-655 (2011). 

  3. K. Y. Liu, A, Beautrais, E. Caine, K. Chan, A. Chao and Y. Conwell, J. Epidemiol Community Helath, 61, 248-253 (2007). 

  4. Y. Pan, S. Liao and M. Lee, J. Affect Disord, 120, 254-257 (2009). 

  5. E. Kamizato, K. Yoshitome, Y. Yamamoto, T. Iwase, T. Tsuda and S. Miyaisi, Acta. Med. Okayama, 63(4), 177-186 (2009). 

  6. D. Lutz, W. Gielsdorf and H. Jaeger, J. Clin, Chem. Clin. Biochem. 21, 595-597 (1983). 

  7. R. J. Lewis, R. D. Johnson and D. V. Canfield, J. Anal. Toxicol., 28, 59-62 (2004). 

  8. T. S. Kim, H. S. Kwak, M. C. Joo, T. S. Jung, Y. B. Lee, J. H. Yoon, J. M. Kim, T. M. Sung, J. W. Lee and Y. G. Kim, 1st Symposium of Korean Forensic Sciences Association, Seoul, 151-744 (2013). 

  9. T. Struttmann, A. Scheerer, S. Prince and L. Goldstein, J. Am. Board Fam Pract., 11, 481-484 (1988). 

  10. K. H. Kim, Z. Akase, T. Suzuki and D. Shindo, Mater. Trans., 51(6), 1080-1083 (2010). 

  11. M. Blazso, G. Varheg and E. Jakab, J. Anal. Appl. Pyro., 2, 177-185 (1980). 

  12. R. C. Baselt, ‘Disposition of Toxic Drugs and Chemicals in Man’, 8th Ed., PP 489-492, Biomedical, Califonia, 2008. 

  13. J. J. Yoon, ‘Forensic medicine’ 1st Ed., p 183, Korean medicine, Seoul, 2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