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한 엇갈이배추 중 bistrifluron과 fluopicolide의 잔류 특성 연구
Residual Characteristics of Bistrifluron and Fluopicolide in Korean Cabbage for Establishing Pre-Harvest Residue Limit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9 no.4, 2015년, pp.361 - 369  

이동열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플러스 농생명산업 차세대 인재육성사업단)) ,  정동규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플러스 농생명산업 차세대 인재육성사업단)) ,  최근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화학물질안전과) ,  이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화학물질안전과) ,  강규영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플러스 농생명산업 차세대 인재육성사업단)) ,  김진효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엇갈이배추 중 bistrifluron과 fluopicolide의 잔류특성을 조사하여 약제별 잔류량 감소추이와 생물학적 반감기를 바탕으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온실 재배 중인 엇갈이배추에 안전사용기준 농도로 희석한 bistrifluron과 fluopicolide를 다른 두 지역의 포장에 각각 살포 후 0 (2시간), 1, 2, 4, 6, 8, 10일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엇갈이배추 중 두 성분의 잔류농약은 acetonitrile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Florisil SPE cartridge로 정제한 후 HPLC/DA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시험농약의 정량한계$0.03mg\;kg^{-1}$이었고, 시험분석법의 회수율은 0.1 및 $0.5mg\;kg^{-1}$ 두 수준에서 87.2%~110.6%이었으며 상대표준편차는 모두 5% 미만이었다. 두 지역의 시험포장에서 엇갈이배추 중 각 시험농약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bistrifluron의 경우 3.9일과 4.2일이었으며, fluopicolide의 경우 4.9일과 4.2일로 나타났다. 잔류회귀감소식을 이용하여 엇갈이배추 중 bistrifluron과 fluopicolide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수확 10일 전 $3.83mg\;kg^{-1}$$3.23mg\;kg^{-1}$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residual characteristics of bistrifluron and fluopicolide in Korean cabbage, and suggested the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s) based on their dissipation patterns and biological half-lives. The pesticides were sprayed on Korean cabbage in two different region under green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엇갈이배추 재배 중 살균제 bistrifluron과 살충제 fluopicolide의 잔류 양상을 조사하여 시험 농약별 잔류량 감소추이와 생물학적 반감기를 바탕으로 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strifluron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본 연구의 시험 대상농약인 bistrifluron은 곤충생장조절제(Insect Growth Regulator, IGR)로서 충체 표피조직의 키틴질 형성을 저해하여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약제로 배추에서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방제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fluopicolide는 acyl picolide계 살균제로 병원균 세포막과 세포 기본골격을 연결하는 물질에 작용하여 병원균 전 생활사에 작용하며, 배추 중 노균병 방제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두 성분 모두 배추에서 안전사용기준과 MRL이 설정되어 있지만, PHRL은 설정되어 있지 않아 두 농약성분의 PHRL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이 필요한 까닭은? , 2012). 따라서, 농산물 중 잔류농약 안전성 검사가 출하 전 생산단계에서 수행될 때 유통 농작물의 효율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할 것이다(Kim et al., 2002).
현대사회에서 농약의 역할은? 농약은 현대 농업에 있어 필수적인 농업자재로서 다양한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산물의 재배에 있어 병, 해충, 잡초에 의한 작물 손실을 줄이고 생산량을 증대시키며,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한다(Jeong et al., 2004; Feni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atassiades, M., S. J. Lehotay, D. Stajnbaher and F. J. Scheck (2003) Fast and easy multiresidue method employing acetonitrile extraction/partitioning and "dispersive solidphase extrac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produce, J. AOAC Int. 86(1):412-431. 

  2. Bae, B. J., H. K. Lee, K. A. Son, G. J. Im, J. B. Kim, T. H Kim, S. Chae and J. W. Park (2012) The residue property of fungicide Boscalid and Fluidioxonil at the same time harvest leafy-vegetables. Korean J. Pestic. Sci. 16(2):98-108. 

  3. Chang, H. S., H. R. Bae, Y. B. Son, I. H. Song, C. H. Lee, N. G. Choi, K. K. Cho and Y. G. Lee (2011) Developing a webbased system for computing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s).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3(1):11-37. 

  4. Fenik, J., M. Tankiewicz and M. Biziuk (2011) Properties and determination of pesticides in fruits and vegetables, Trac-Trends Anal. Chem. 30(6):814-826. 

  5. Jeong, Y. H., J. U. Kim, J. H. Kim, Y. D. Lee, C. H. Lim and J. H. Hur (2004) Modern pesticide. first edition, Sigma-press, Republic of Korea. pp.5. 

  6. Jeon, S. O., J. I. Hwang, S. H. Lee and J. E. Kim (2014) Uptake of boscalid and chlorfenapyr residues in soil into Korean cabbage. Korean J. Pestic. Sci. 18(4):314-320. 

  7. Kim, D. K., J. K. Kim, E. Y. Lee, I. Y. Park, H. H. Noh, Y. S. Park, T. H. Kim, C. W. Jin, K. I. Kim, S. S. Yun, S. K. Oh and K. S. Kyung (2007) Residual Characteristics of Some Pyrethroid Insecticides in Korean Cabbage. Korean J. Pestic. Sci. 11(3):154-163. 

  8. Kim, Y. S., J. H. Park, J. W. Park, Y. D. Lee, K. S. Lee and J. E. Kim (2002) Persistence and dislodgeable residues of chlorpyrifos and procymidone in lettuce leav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Environ. Agri. 21(2):149-155. 

  9. Ko, G. Y., K. H. Kim and K. S. Lee (2004) Residual pattern of procymidone and chlorothalonil in grape during the period of cultivation and storage. Korean J. Environ. Agri. 23(1): 47-51. 

  10. Ko, G. Y., S. H. Kim, Y. H. Jang and K. S. Lee (2008) Residual pattern of chlorothalonil, indoxacarb, lufenuron, metalaxyl and methomyl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s in chinese cabbage, Korean J. Pestic. Sci. 12(1):34-42. 

  11.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2) 2012 Guideline of Pesticide Use. Republic of Korea. pp.399, 514. 

  12. Lee, D. Y., Y. J. Kim, M. H. Park, S. H. Lee, S. G. Kim, N. J. Kang and K. Y. Kang (2013)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of fungicides azoxystrobin and difenoconazole on prunus mume fruits, Korean J. Pestic. Sci. 17(4):307-313. 

  13. Lee, D. Y., Y. J. Kim, S. J. Lee, K. S. Cho, S. G. Kim, M. H. Park and K. Y. Kang (2012)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of fungicide pyrimethanil and trifloxystrobin during cultivation of persimmon. Korean J. Environ. Agri. 31(1):45-51. 

  14. Lee, J. H., H. W. Park, Y. S. Keum, C. H. Kwon, Y. D. Lee and J. H. Kim (2008) Dissipation pattern of boscalid in cucumber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Pestic. Sci. 12(1):67-73. 

  15. Lee, Y. D (2011) Handbook for the pesticide residue analytical methods of Food Code Index. third editi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Republic of Korea. pp.80-82. 

  16. Lehotay, S. J (2007)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oods by acetonitrile extraction and partitioning with magnesium sulfate: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90(2):485-520. 

  17. Marin, A., J. Oliva, C. Garcia, S. Navarro and A. Barba (2003) Dissipation rates of cyprodinil and fludioxonil in lettuce and table grape in the field and under cold storage conditions. J. Agric. Food Chem. 51(16):4708-4711. 

  18. Park, J. H., J. S. Park, A. M. Abd El-Aty, M. Rahman, T. W. Na and J. H. Shim (2012) Analysis of imidacloprid and pyrimethanil in shallot (Allium ascalonicum)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using tandem mass spectrometry: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s, Biomed. Chromatogr. 27(4):451-457. 

  19. Tomlin, C. D. S. (2009) The Pesticide Manual, fifteenth edition,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UK, pp. 115-116, 533-5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