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올메사탄은 BCS 2단계에 해당하는 약물로 물에 잘 녹지 않는 난용성 약물이다. 이런 약물이 낮은 생체이용률과 제형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주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올메사탄을 분무건조법 및 회전용매증 발법을 이용해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여 제법에 따른 난용성약물의 용출률을 확인하였다. 수용성 고분자로 PVP를 사용하여 약물과 고분자의 비율별로 고체분산체를 제조하였다. SEM을 이용하여 고체분산체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분석하였고, 고체분산체의 결정학적 성질은 XRD와 DSC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FTIR을 통해 화학적인 변화를 확인하고, 생체 외 용출거동 실험을 통하여 변화된 용출률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고체분산체는 pH 1.2에서 용출을 확인하였으며, 올메텍과 용출률을 비교하였으며, 분무건조를 통해 약물의 용출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lmesartan affiliated to biopharmaceutics classification system class 2 is a poorly water soluble drug. For this reason, olmesartan showed a low bioavailability and a lot of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pharmaceutical formulation. We prepared the solid dispersions of olmesartan. We c...

주제어

참고문헌 (33)

  1. R. Nagata, K. Kawabe, and K. Ikeda, J. Stroke Cerebrovasc. Dis., 19, 236 (2010). 

  2. J. M. Lorenzen, H. Neunhoffer, S. David, J. T. Kielstein, H. Haller, and D. Fliser, Atherosclerosis, 209, 184 (2010). 

  3. A. Sakairi, J. Ishida, K. Honjo, S. Inaba, S. Nakamura, F. Sugiyama, K. Yagami, and A. Fukamizu, Hypertens. Res., 31, 2165 (2008). 

  4. V. Sukumaran, P. T. Veeraveedu, A. P. Lakshmanan, N. Gurusamy, K. Yamaguchi, M. Ma, K. Suzuki, M. Kodama, and K. Watanabe, Free Radic. Res., 46, 850 (2012). 

  5. D. J. Graham, X. Ding, S. Saneinejad, E. H. Zhou, K. Calia, M. Levenson, K. Gelperin, M. Rose, T. A. Hammad, T. E. MaCurdy, C. Worrall, and J. A. Kelman, Pharmacoepidem. Dr. S., 21, 162 (2012). 

  6. R. Ohki, K. Yamamoto, S. Ueno, H. Mano, U. Ikeda, and K. Shimada, Cardiovasc. Drug Ther., 17, 231 (2003). 

  7. Y. Miyashita, A. Saiki, K. Endo, N. Ban, T. Yamaguchi, H. Kawana, D. Nagayama, M. Ohira, T. Oyama, and K. Shirai, J. Atheroscler. Thromb., 16, 621 (2009). 

  8. S. Ichikawa and Y. Takayama, Russ. J. Cardiol., 3, 33 (2011). 

  9. T. Tsutamoto, K. Nishiyama, M. Yamaji, C. Kawahara, M. Fujii, T. Yamamoto, and M. Horie, Hypertens. Res., 33, 118 (2010). 

  10. S. R. Tambe, R. H. Shinde, L. R. Gupta, V. Pareek, and S. B. Bhalerao, J. Liq. Chromatogr. R. T., 33, 423 (2010). 

  11. A. Chandra, R. C. Agrawal, and Y. K. Mahipal, J. Phys. D: Appl. Phys., 42, (2009). 

  12. Y. Woo and K. Na, Inter. J. Tissue. Regen., 3, 63 (2012). 

  13. J. Shah, S. Vasanti, B. Anroop, and H. Vyas, J. Incl. Phenom. Macrocycl. Chem., 63, 69 (2009). 

  14. A. Paudel and G. Van den Mooter, Pharm. Res., 29, 251 (2012). 

  15. P. Gupta, V. K. Kakumanu, and A. K. Bansal, Pharm. Res., 21, 1762 (2004). 

  16. P. Thybo, J. Kristensen, and L. Hovgaard, Pharm. Dev. Technol., 12, 43 (2007). 

  17. I. Weuts, D. Kempen, A. Decorte, G. Verreck, J. Peeters, M. Brewster, and G. Van den Mooter, Eur. J. Pharm. Sci., 25, 313 (2005). 

  18. P. Barmpalexis, I. Koutsidis, E. Karavas, D. Louka, S. A. Papadimitriou, and D. N. Bikiaris, Eur. J. Pharm. Biopharm., 85, 1219 (2013). 

  19. N. Haberl, S. Hirn, A. Wenk, J. Diendorf, M. Epple, B. D. Johnston, F. Krombach, W. G. Kreyling, and C. Schleh, Beilstein J. Nanotechnol., 4, 933 (2013). 

  20. A. Sharma and C. P. Jain, Res. Pharm. Sci., 5, 49 (2010). 

  21. D. J. van Drooge, W. L. Hinrichs, M. R. Visser, and H. W. Frijlink, Int. J. Pharmaceut., 310, 220 (2006). 

  22. V. B. Pokharkar, L. P. Mandpe, M. N. Padamwar, A. A. Ambike, K. R. Mahadik, and A. Paradkar, Powder Technol., 167, 20 (2006). 

  23. P. Gao, Mol. Pharmaceut., 5, 903 (2008). 

  24. E. Rodier, H. Lochard, M. Sauceau, J. J. Letourneau, B. Freiss, and J. Fages, Eur. J. Pharm. Sci., 26, 184 (2005). 

  25. H. J. Chun and G. T. Chae, Inter. J. Tissue Regen., 3, 1 (2012). 

  26. V. R. Shinde, Y. V. Pore, and J. V. Rao, Lat. Am. J. Pharm., 30, 2011 (2011). 

  27. K. R. Deshmukh and S. K. Jain, Indian J. Pharm. Educ. Res., 46, 97 (2012). 

  28. H. N. Park, J. B. Lee, and I. K. Kwon, Inter. J. Tissue Regen., 1, 10 (2010). 

  29. M. Iwata, Y. Nakamura, and J. W. McGinity, J. Microencapsul., 16, 49 (1999). 

  30. G. Khang, J. M. Rhee, J. K. Jeong, J. S. Lee, M. S. Kim, S. H. Cho, and H. B. Lee, Macromol. Res., 11, 207 (2003). 

  31. J. R. R. de Souza, J. P. A. Feitosa, N. M. P. S. Ricardo, M. T. S. Trevisan, H. C. B. de Paula, C. M. Ulrich, and R. W. Owen, Food Hydrocolloid, 33, 10 (2013). 

  32. C. Li, C. X. Li, Y. A. Le, and J. F. Chen, Int. J. Pharmaceut., 404, 257 (2011). 

  33. R. J. Boghra, P. C. Kothawade, V. S. Belgamwar, P. P. Nerkar, A. R. Tekade, and S. J. Surana, Chem. Pharm. Bull., 59, 43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