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름철 제주 남부해역에서 내부 조석에 의한 음파 전달손실의 시간적 변화 모의실험
Simulation of Temporal Variation of Acoustic Transmission Loss by Internal Tide in the Southern Sea of Jeju Island in Summer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4 no.1, 2015년, pp.12 - 19  

김주호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김한수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팽동국 (제주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방익찬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름철 제주 남부해역에서 내부조석에 의한 음향특성 변화를 실측 자료와 모의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이를위해 서귀포 인근 해역의 수심 80 m 내외인 두 정점에서 2009년 7월 27일과 28일에 걸쳐 25시간동안 한 시간 간격으로 수심별 수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조석에 의해 해수 상층부의 등수온선이 약 10 m이상 반일주기로 변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로 인한 음파전달손실의 시간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음원을 수심 10 m에 두고 거리 3.8 km 떨어진 두 관측 정점 사이에서 음파전달을 모의하였다. 중심주파수 100 Hz인 1/3 옥타브 밴드의 경우 특정 수심 및 거리에서 반일주기가 지배적 이었으나 1 kHz의 경우는 반일주기 성분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복잡한 변화를 보였다. 음원에서 거리 2.8 km떨어진 지점에서 시간에 따른 전달손실 변화의 표준편차는 중심주파수 100 Hz의 경우 수심에 따라 최대 4.2 dB 였으며, 1 kHz의 경우 최대 3.7 dB인 것으로 나타났다. 탐지성능 60 dB를 고려한 탐지거리를 분석한 결과 두 중심주파수 경우 모두 반일주기 변화가 나타났으며 최대 1.0 km 미만의 변화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제주 남부해역의 음향 특성 실험 및 연구 수행 시 전달손실의 시변동성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temporal variations of acoustic transmission loss (TL) affected by internal tide are studied by computer simulation using oceanic data measured in the southern sea of Jeju Island in summer.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depth (bottom depth are nearly 80 m) in two sites near Seogwipo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제주 남부 해역에서 해수 유동의 시간적 변화가 조석에 의해 지배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할 때, 음향특성의 시변동성에 대한 연구는 그 필요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여름철 제주 남부해역에서 조석에 의한 음향특성의 시간적 변화를 실측 환경자료와 음파전달 모의실험을 통해 분석해 본다.
  • 본 연구는 음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고 전방향성을 가지며 수신시스템의 수신감도가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순전히 내부조석에 의한 음파전달 변화가 전달손실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의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실제 해양에서 음파신호 측정 시 여러 가지 요소로 인한 오차들의 발생 및 변동에 비해 조석에 의한 전달손실 변화의 영향이 미약할 수 도 있다.
  •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특정 시간의 거리에 따른 전달손실을 살펴보았다. Fig.
  • 본 논문에 사용된 수온 및 염분 자료는 실측자료이지만 지음향 자료는 문헌을 참고한 자료로서 실제와 다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지음향 인자는 전달손실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지음향인자 변화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반일주기 특성이 뚜렷했던 중심주파수가 100 Hz인 경우에 대해 다른 모든 조건은 같게 두고 해저면 음속과 밀도에 변화를 주어 그 차이에 의한 결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측정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근거로 내부조석의 주기적 변화가 관찰된 것으로 판단된다. (i) 두 정점에서 수온의 변동은 조석에 의한 해수면 변동의 주기와 위상이 거의 일치한다. (ii) 등수온선 변동의 진폭은 해수면 변동에 비해 크며 최대 약 10 m 이상 변화하여 내부조석의 특성을 잘 나타낸다.
  • 7 km 떨어진 rm까지는 수심 60 m까지 점점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한다. 선형 보간법(linear interpolation)을 이용해 세 점을 잇는 해저면을 구성하였으며, 해수면과 해저면 모두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해당 정점의 해저성분은 소량자갈함유 니질모래(slightly gravelly muddy sand)이며 조성자료를 기반으로 밀도 ρb는 1800 kg/m3, 음속 cb는 1650 m/s, 감쇠계수 α1는 0.
  • 음원은 수심 10 m에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수온변화가 뚜렷했던 A2 정점으로부터 A1 정점으로 음파가 전달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내부조석에 의한 음파전달 변화가 소나 탐지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탐지성능 60 dB에 대한 탐지거리의 시간변화를 살펴보았다.
  • 해당 정점의 해저성분은 소량자갈함유 니질모래(slightly gravelly muddy sand)이며 조성자료를 기반으로 밀도 ρb는 1800 kg/m3, 음속 cb는 1650 m/s, 감쇠계수 α1는 0.8 dB/λ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수의 수온변화는 어떻게 발생하나? 한편, 해수의 수온변화는 태양의 일사량 변화 이외에도 조석에 의한 수층의 수직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제주 남부해역에 위치한 이어도에서는 조석에 의한 수온의 일변화가 수온약층이 발달하는 10 ~20 m 사이에서 크게 나타나며, 5월 이후부터 증가하여 여름철에 가장 큰 변화폭을 나타난다.[5] 수온의 변화는 음파전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제주 남부해역에서 조석에 의한 해수 유동이 음향특성의 변화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제주도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해수 유동 중 조석의 유동방향은? 이 중 조석은 제주해역을 포함한 남해의 해수 유동을 일으키는 가장 큰 기작 중의 하나이다.[1-3] 제주도의 북쪽에는 북에서 동으로 이어지는 수심 100 m 이상의 넓은 골이 형성되어 있는데, 조석파는 이 골을 남동에서 북서 방향으로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조석의 크기는 제주 북부보다 남부에서 다소 크게 나타나는데, 특히 서귀포에서 최대 조차를 나타낸다.
제주도 주변 해역의 특징은? 제주도 주변 해역은 한국남해와 황해 그리고 동중국해와 접하고 있으며 대마난류, 조석, 저염분수 유입 등에 의한 복잡한 해수 유동이 존재하는 해역이다. 이 중 조석은 제주해역을 포함한 남해의 해수 유동을 일으키는 가장 큰 기작 중의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 K. Kim, K. I. Chang, K. Park, and M. S. Suk, "The south sea circulation of korea: Two-dimensional barotrophic model" (in Korean), J. Kr. Soc. Oceanogr. 5, 257-226 (2000). 

  2. H. J. Lee, H. J. Lee, J. H. Park, and H. K. Ha, "Seasonal variability of internal tides around the korea strait: 3-D high-resolution model simulation" (in Korean), Ocean and Polar Res. 36, 1-12 (2014). 

  3. J. H. Moon, I. C. Pang, and J. H. Yoon, "Response of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around Jeju Island to external forcings: A modeling study of 2002 and 2006," Cont. Shelf Res. 29, 1549-1564 (2009). 

  4. O. Jeong, H. Lee, I. C. Pang, and J. S. Lee, "The characteristics of tide and tidal current around the Jeje-do" (in Korean), Proc. Kr. Soc. Coastal Ocean Eng. 17, 80-83 (2008). 

  5. K. H. Oh, Y. G. Park, D. I. Lim, H. S. Jung, and J. S. Shin,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bserved at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n Korean), J. Mar. Env. Eng. Soc. Kr. 9, 225-234 (2006). 

  6. B. N. Kim, B. K. Choi, B. C. Kim, S. K. Jung, Y. Park, and Y. K. Lee, "Seawater temperature and wind speeds dependences and diurnal variation of ambient noise at the snapping shrimp colony," OCEANS 2012, Yeosu, 1-3, (2012). 

  7. P. Abbot, S. Seluzza, I. Dyer, B. Gomes, J. Fulford, and J. Lynch, "Effects of east china sea shallow-water environment on acoustic propagation," IEEE J. Ocean. Eng. 28, 192-211 (2003). 

  8. S. Finette, T. Evans and C. Shen, "Submesoscale modeling of environmental variability in a shelf-slope region and the effect on acoustic fluctuations," in Impact of Littoral Environmental Variability of Acoustic Predictions and Sonar Performance, edited by N. G. Pace, F. B. Jensen (Springer, Netherlands, 2002), pp. 401-408. 

  9. S. Finette, R. Oba, C. Shen, and T. Evans, "Acoustic propagation under tidally driven, stratified flow," J. Acoust. Soc. Am. 121, 2575-2590 (2007). 

  10. F. P. Lermusiaux, J. Xu, C. F. Chen, S. Jan, L. Y. Chiu, and Y. J. Yang, "Coupled ocean-acoustic prediction of transmission loss in a continental shelfbreak region: predictive skill, uncertainty quantification, and dynamical sensitivities," IEEE J. Ocean. Eng. 35, 895-916 (2010). 

  11. J. Xu, F. L. Pierre, J. H. Patrick, W. G. Leslie, and O. G. Logutov,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acoustic propagation during the PLUSNet'07 exercise in Dabob Bay," POMA 4, 175-187 (2008). 

  12. J. Yang, D. Rousff, D. Tang, and S. H. Frank, "Effect of the internal tide on acoustic transmission loss at midfrequencies," IEEE J. Ocean. Eng. 35, 3-11 (2010). 

  13. Predicted sea level of July 2009 (in Korean) "http://www.jeju.go.kr/contents/depart.php?depart&silkuk32& mid08". 

  14. Y. Kitade and M. Matsuyama, "Characteristics of Internal Tides in the Upper Layer of Sagami Bay," J. Oceanogr. 53, 143-159 (1997). 

  15. E. L. Hamilton, "Geoacoustic modeling of the sea floor," J. Acoust. Soc. Am. 68, 1313-1340 (1980). 

  16. J. S. Youn and G. W. Go,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 in the southern see off cheju island, Korea" (in Korean), J. Oceanogr. Soc. Kr. 22, 130-142 (1987). 

  17. M. D. Collins, "User's Guide for RAM Versions 1.0 and 1.0 p," Naval Research Lab, Washington, DC 20375 (1995). 

  18. J. Youn and T. Kim,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in Korean), J. Kr. Earth Sci. Soc. 29, 328-340 (2008). 

  19. B. N. Kim, B. K. Choi, S. H. Kim, B. C. Kim, S. K. Jung, and Y. K. Lee, "Effect of underwater sound channel on variation of ambient noise level in eastern sea of Korea," Japanese J. App. Phys. 53, 07KG0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