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인증에 적합한 OTP 생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TP Generation Algorithm for User Authenti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1, 2015년, pp.283 - 288  

김동률 (동명대학교 메카트로닉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회용 패스워드는 정적인 패스워드 사용에 따른 위험을 해결하고 사용자 인증을 강화하기 위해 필요하다.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사용자를 인증을 강화하기 위해 OTP 생성 알고리즘이 중요시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OTP 생성 알고리즘은 Seed값과 Time값을 이용하여 256비트 크기의 OTP Data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한 OTP Data를 행렬로 나열하고 불규칙적으로 32비트의 값을 추출하게 되는 이 값이 최종적인 OTP값이 된다. OTP 생성 횟수가 많을수록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에 비해 충돌내성의 확률이 낮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disposable password is necessary to avoid any danger by the use of a static password and reinforce the user's authentication. In order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exposed, OTP generation algorithm is regarded as important. The OTP generation algorithm we suggest in this thesis gen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비스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서 이용자에 대한 본인 확인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증에 적합한 OTP 생성 알고리즘 모델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Key 인증방식의 단점은 무엇인가? RFC 1760 표준인 S/Key 인증방식에서는 해쉬 알고리즘인 SHA-1을 이용하여 일회용 패스워드를 생성한다. S/Key 방식은 모든 값이 평문으로 전송되어 공격자에게 쉽게 노출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서버의 난수인 Seed값이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N번의 로그인 횟수가 노출되면 공격자는 쉽게 다음 일회용 패스워드 값을 유추할 수 있다[8]. 김홍기[9]등은 기존의 일회용 패스워드에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시간 값을 이용한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 기법을 제안하였다.
OTP는 무엇인가? OTP(일회용 패스워드, One Time Password)는 무작위로 생성되는 난수의 일회용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증 방식이다. OTP는 정적인 패스워드 사용에 따른 위험을 해결하고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OTP 기술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OTP는 정적인 패스워드 사용에 따른 위험을 해결하고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OTP 기술이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이유는 전자적 해킹 위협의 증가로 강한 인증을 필요로 하는 요구와 함께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표준화 작업이 기술 활성화의 밑바탕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2년 3월 국내 전자금융 이용자중 OTP발생기를 발급받은 사람이 590만 명을 넘어섰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Financial Security Agency, "Aggregate of OTP Issued Amount", Internal data, 2012. 

  2. S. H. Song, G. N. Kim, "OTP Standardization at Home and Abroad", Review of KIISC, Vol. 22, No. 2, pp. 30-36, 2012. 

  3. S. Y. Kim, S. H. Min,, H. M. Jeong, "A Study on Identification Service Model in The Mobile Environment",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09. 

  4. S. H. Seo, U. J. Kang, "OTP Technology and Case Studies on Domestic Banks", Review of KIISC, Vol. 17, No. 3, 2007. 

  5. D. H. Choi, S. J. Kim, D. H. Won, "One-time Password Technology Analysis and Standardization", Review of KIISC, Vol. 17, No. 3, 2007. 

  6. Financial Security Agency, "Financial Security Weekly Information", 2006. 

  7. Y. S. Jeong, S. H. Han, S. S. Shin, "A Study on Mobile OTP Generation Model",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10, No. 2, pp. 183-191, 2012. 

  8. Neil M Haller, "The S/Key One-Times Password System," RFC 1760, 1995. 

  9. H. G. Kim, I. Y. Lee, "A Study on One-time Password Authentication Scheme Enhanced Randomness",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Vol. 13, No. 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