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소 및 초극소 저체중출생아 출생과 사망의 사회적 불평등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Pregnancy Outcome and Infant Mortality: Extremely Low Birth Weight and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Korea, 1995-2010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5 no.4, 2015년, pp.277 - 284  

박혜정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정보통계학과) ,  손미아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status with adverse birth outcomes (low birth weight, preterm birth) and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status with infant mortality, using the birth cohort in Korea, 1995-2010. Methods: 8,648,035 births from National Statis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 연구는 2010년까지 한국 통계청 출생사망연계자료를 이용해서 저체중 출생과 조산의 사회적 불평등, 특히 극소 및 초극소 저체중 출생의 사회적 불평등을 파악하고, 이 출생결과들이 영아사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 1995-2010년까지 15년간 전체 출생과 사망 통계자료를 가지고 분석한 것이므로 전수 자료를 가지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또한 시기별로 구분해서 보았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이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더욱 발전된 연구이다.
  • 그러므로 이 연구는 2010년까지 한국 통계청 출생사망연계자료를 이용해서 저체중 출생과 조산의 사회적 불평등, 특히 극소 및 초극소 저체중 출생의 사회적 불평등을 파악하고, 이 출생결과들이 영아사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 1995-2010년까지 15년간 전체 출생과 사망 통계자료를 가지고 분석한 것이므로 전수 자료를 가지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또한 시기별로 구분해서 보았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이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더욱 발전된 연구이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출산결과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 더불어 출산결과에 따른 영아사망에서는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어느 정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이후 저체중출산과 조산 및 영아사망의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보건행정학적인 측면에서 정책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소 및 초극소 저체중출생아란 무엇인가? 최근 출산율 감소로 매년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조산아 및 저체중출생아의 수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1]. 특히 그 중 극소 및 초극소 저체중출생아라 불리는 출생체중이 각각 1,500 g 미만, 1,000 g 미만인 출생아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2].
사회경제적 수준이 저체중아 출산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각 출산결과에 사회경제적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모의 연령과 출산순위 그리고 출생아 성별을 보정한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저체중출생아(1,500-2,499 g)인 경우 모든 기간에서 어머니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저체중출생아를 출산할 위험이 높았다. 특히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학 이상 집단에 비해 고등학교 집단에서 저체중출생아 출산 보정교차비(adjusted odds ratio)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중학 이하 집단에서 저체중출생아 출산 보정교차비가 1999-2002년도에 증가했다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저체중출생아의 출산위험에 있어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학 이상 집단과 고등학교 집단 간의 격차는 증가하였고, 대학 이상 집단과 중학 이하 집단 간의 격차는 증가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Table 2).
조산아 및 저체중 출생아의 출생 증가 원인은 무엇인가? 조산아 및 저체중출생아 출생의 증가는 저 출산에 따른 산모의 고령화 및 불임의 증가, 이에 따른 인공수정, 시험관 시술에 의존한 임신의 증가, 쌍생아의 증가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3,4], 또한 최근에는 산모의 고령화와 더불어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 및 산전관리가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5,6]. 더구나 극소 및 초극소 저체중출생아들의 경우 예후가 중요하여 산전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하는 논문들이 선행되어 있고[7], 이러한 산전관리는 산모의 교육 및 경제적 수준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KS, Han DH, Bae CW. Changes in statistical birth data related to maternity and newborn over the past 15 years in Korea. Korean J Perinatol 2011;22(3):229-236. 

  2. Lopez PO, Breart G. Trends i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in Chile, 1991-2008: a descriptive epidemiological study. BMC Pregnancy Childbirth 2012;12:121. DOI: http://dx.doi.org/10.1186/1471-2393-12-121. 

  3. Moon JY, Hahn WH, Shim KS, Chang JY, Bae CW. Changes of maternal age distribution in live births and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dvanced maternal age group in Korea. Korean J Perinatol 2011;22(1):30-36. 

  4. Song IO, Kim JI, Moon HS, Shin JH, Chun SH, Woo BH. Clinical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survival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Korean J Perinatol 1994;5(3):327-336. 

  5. Park M, Son M, Kim Y, Paek D. Social inequality in birth outcomes in Korea, 1995-2008. J Korean Med Sci 2013;28(1):25-35. DOI: http://dx. doi.org/10.3346/jkms.2013.28.1.25. 

  6. Lee SY. The effect of pregnant women's old age on birth outcome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7. Lee BK, Lee HJ, Joo MS, Kim DH, Kim HS. Comparison of outcomes according to the hospitals of antenatal care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J Korean Soc Neonatol 2009;16(2):205-212. 

  8. Song YW, Shin JH, Yoon YS, Jeong HC, Yim HE, Choi BM, et al. Perinatal complications of mothers and neonates resulting from inadequate prenatal care. Korean J Perinatol 2010;21(4):347-355. 

  9. Ahn JH, Jung YH, Shin SH, Lee J, Sohn JA, Lee JA, et al. The associations of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status on the risks of low birth weight. J Korean Soc Neonatol 2012;19(4):262-268. DOI: http://dx.doi.org/10.5385/jksn.2012.19.4.262. 

  10. Mumbare SS, Maindarkar G, Darade R, Yenge S, Tolani MK, Patole K. Matern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erm low birth weight neonates: a matched-pair case control study. Indian Pediatr 2012;49(1):25-28. DOI: http://dx.doi.org/10.1007/s13312-012-0010-z. 

  11. Blumenshine P, Egerter S, Barclay CJ, Cubbin C, Braveman PA.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adverse bir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m J Prev Med 2010;39(3):263-272. DOI: http://dx.doi.org/10.1016/j.amepre. 2010.05.012. 

  12. Chiavarini M, Bartolucci F, Gili A, Pieroni L, Minelli L. Effec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n preterm birth and low birth weight: empirical evidence from regional data in Italy. Int J Public Health 2012;57(2): 261-268. DOI: http://dx.doi.org/10.1007/s00038-011-0311-3. 

  13. Smith LK, Draper ES, Manktelow BN, Dorling JS, Field DJ.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very preterm birth rates.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2007;92(1):F11-F14. DOI: http://dx.doi.org/10.1136/adc.2005.090308. 

  14. Petersen CB, Mortensen LH, Morgen CS, Madsen M, Schnor O, Arntzen A, et al. Socio-economic inequality in preterm birth: a comparative study of the Nordic countries from 1981 to 2000. Paediatr Perinat Epidemiol 2009;23(1):66-75. DOI: http://dx.doi.org/10.1111/j.1365-3016.2008.00977.x. 

  15. Shim JW, Kim MJ, Kim EK, Park HK, Song ES, Lee SM, et al. The impact of neonatal care resources on regional variation in neonatal mortality among very low birthweight infants in Korea. Paediatr Perinat Epidemiol 2013; 27(2):216-225. DOI: http://dx.doi.org/10.1111/ppe.12033. 

  16. Horbar JD, Badger GJ, Carpenter JH, Fanaroff AA, Kilpatrick S, LaCorte M, et al. Trends in mortality and morbidity for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1991-1999. Pediatrics 2002;110(1 Pt 1):143-151. DOI: http://dx.doi.org/10.1542/peds.110.1.143. 

  17. Park SE, Jeon GW, Choi CW, Hwang JH, Koo SH, Kim YJ, et al. Evaluation of perinatal and management factors associated with improved survival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Korean J Pediatr 2005;48(12): 1324-1329. 

  18. Kim EY, Jung JM, Jung YJ, Kim MJ, Jeon GW, Hong YR, et al. Recent outcom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of the three university hospital in the Busan area. Korean J Perinatol 2010;21(4):395-402. 

  19. Bae CW. Neonatal viability, morbidity, mortality and outcom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J Korean Pediatr Soc 2000;43(1):1-12. 

  20. Lee HJ, Kwon SW, Byun SO, Oh JS. Clinical observation for low birth weight infants. J Korean Pediatr Soc 1993;36(7):928-935. 

  21. Arntzen A, Samuelsen SO, Daltveit AK, Stoltenberg C. Post-neonatal mortality in Norway 1969-95: a cause-specific analysis. Int J Epidemiol 2006;35(4):1083-1089. DOI: http://dx.doi.org/10.1093/ije/dyl047. 

  22. Kim SM, Kim DS.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birth outcome and infant mortality in Korea: focusing on early and late 2000's. Korean Demogr 2012;35(1):131-149. 

  23. Park HJ.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pregnancy outcome and infant mortality: extremely low birth weight and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master's thesis).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