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의 특정수질유해물질 유입 및 방류 현황조사
Sampling Survey of Hazardous Water Pollutants i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7 no.10, 2015년, pp.590 - 595  

박수형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진영 (영남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재훈 (국립환경과학원) ,  이원태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의 유입수 및 방류수에 존재하는 특정수질유해물질 농도분포 현황을 조사하여 폐수종말처리장으로부터 수계로 배출되는 특정수질유해물질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태조사는 산업단지에 위치하고 실제 처리 및 방류량 기준 $2,000m^3$/일 이상 규모인 27개 폐수종말처리장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시료채취는 2012년 7~9월에 걸쳐 각 처리장별로 3회(월 1회) 실시하였고, 관리대상 특정수질유해물질 28개 항목 중 22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 유입수에서는 수은, 비소, 1,1-디클로로에틸렌, 벤젠 등이 특례지역기준대비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고, 방류수에서는 수은, 비소 등이 청정지역기준대비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폐수종말처리장의 특정수질유해물질 평균 제거율(상전이 포함)은 셀레늄(30%), 1,4-다이옥산(18%)을 제외하고는 60%이상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mpling campaigns were conducted for hazardous chemicals and heavy metals in influents and effluents of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in Korea for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of those pollutants through the plants and the receiving water bodies. Twenty seven WWTPs, receiving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특정수질유해물질의 폐수종말처리장 유·입출 실태조사 및 종합적인 관리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6)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의 특정수질유해물질 유입 및 방류 실태를 조사하고 폐수종말처리장의 효율적인 특정수질유해물질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의 유입수 및 방류수에 대해 특정수질유해물질 검출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조사(유입수와 방류수의 채수 및 분석)를 실시하였다. 국내 산업단지 폐수종말처리장 중 2,000 m3/일 이상을 처리 및 방류하는 27개소 폐수종말처리장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일 이상인 15개 산업폐수 종말처리장(27개 중 15개 처리장에서 자료 제공)에서 자료를 제공받 아 개별배출시설 배출수의 산업폐수 종말처리장 유입시 특정수질유해물질의 희석률을 구하였다. 희석률은 유입승인 서상 특정수질유해물질이 기재된 모든 개별업체에서 해당 유해물질을 방류한다고 가정하고 산정하였다. 예를 들어 구리를 포함한 처리수를 배출하는 개별업체의 배출량이 1,000 m3/일이고 산업폐수 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이 10,000 m3/일 이면 희석률은 10배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질환경보전법에서 특정수질유해물질로 2008년 추가 지정된 것은 무엇인가? 3) 국내에서는 1991년 수질환경보전법 제정시 구리(동) 및 그 화합물 등 12개 항목이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되었고, 1999년에는 셀레늄 및 그 화합물, 벤젠, 사염화탄소, 디클로로메탄, 1,1-디클로 로에틸렌 등 5개 항목이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추가 지정되었다. 2008년에는 1,4-다이옥산, 비스(2-에틸헥실)프탈레이트 (DEHP),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브로모포름 등 5개 물질이 추가 지정되었고, 2013년에는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 3개의 물질이 추가 지정되어 2014 년 1월 1일 총 28종의 특정수질유해물질이 지정되어 관리 되고 있다. 4)
특정수질유해물질이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산업폐수에 대해서 각 업체 별로 특정수질유해물질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을 설정하고 수계로 배출되는 특정수질유해물질을 관리하고 있다. 수질 및 수생태계 보 전에 관한 법률에서 “특정수질유해물질이라 함은 사람의 건강, 재산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위해를 줄 우려가 있는 수질 오염물질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것을 말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수질환경보전법에서 특정수질유해물질로 1999년 추가 지정된 것은 무엇인가? ”라고 명시하고 있다. 3) 국내에서는 1991년 수질환경보전법 제정시 구리(동) 및 그 화합물 등 12개 항목이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지정되었고, 1999년에는 셀레늄 및 그 화합물, 벤젠, 사염화탄소, 디클로로메탄, 1,1-디클로 로에틸렌 등 5개 항목이 특정수질유해물질로 추가 지정되었다. 2008년에는 1,4-다이옥산, 비스(2-에틸헥실)프탈레이트 (DEHP), 염화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브로모포름 등 5개 물질이 추가 지정되었고, 2013년에는 나프탈렌, 포름알데히드,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 3개의 물질이 추가 지정되어 2014 년 1월 1일 총 28종의 특정수질유해물질이 지정되어 관리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extended authorization of specific toxic substance and establishment of the effluent standard(I),"(2002). 

  2. Choi, J. Y., Han, D. H., Kim, Y. K. and Ahn, J. H., "New permit system for manage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facilities," J. Korean Soc. Water Wastewater, 25, 169-170 (2011). 

  3.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on extended authorization of specific toxic substance and establishment of the effluent standard(II),"(2003). 

  4.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nservation Act,"(2010). 

  5. Park, J. G. and Lee, H. S., "A Study of the Present State and Response Measures of POPs-focus on By-product," Korea Environment Institute,(2000). 

  6. Lee, I. S., Sim, W. J., Oh, J. E., Kim, C. W., Chang, Y. S. and Yoon, Y. S., "Evaluation of removal efficiencies of micropollutant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J. Korean Soc. Environ. Eng., 29(2), 214-219(2007). 

  7.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2011). 

  8. Wang, L. K., Hung, Y. T. and Shammas, N. K., "Advanced Physicochemical Treatment Processes,"(2006). 

  9. Na, G. J., "A Study on Removal of VOCs by Air Stripping, (2012). 

  10. Ave, A., "Distribution of 1,4-dioxane in relation to possible sources in the water environment," Sci. Total Environ., 227 (1), 41-47(1999). 

  11. Kumar, A. V. A., Hashimi, S. A. and Hilal, N., "Investigation of kinetics and mechanism involved in the biosorption of heavy metals on activated sludge," Int. J. Green Energy, 5(4), 313-321(2008). 

  12. Pagnanelli, F., Mainelli, S., Bornoroni, L., Dionisi, D. and Toro, L., "Mechanisms of heavy-metal removal by activated sludge," Chemosphere, 75, 1028-1034(2009). 

  13. EU Risk Assessment, "General Substance Information," pp. 10-16(2008). 

  14. Saeger, V. W. and Tucker, E. S., "Biodegradation of phthalic acid esters in river water and activated sludge," Appl. Environ. Microbiol., 31, 29-34(1976). 

  15. Marttinen, S. K., Kettunen, R. H., Sormunen, K. M. and Rintala, J. A., "Removal of bis(2-ethylhexyl) phthalate at a sewage treatment plant," Water Res., 37(6), 1385-1393(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