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속담지 활성탄의 인산염 흡착특성
Phosphate Adsorption on Metal-Impregnated Activated Carbon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7 no.11, 2015년, pp.642 - 648  

황민진 (안전성평가연구소 미래환경연구센터) ,  황유식 (안전성평가연구소 미래환경연구센터) ,  이원태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계에 존재하는 인산염의 흡착제거 용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참나무 기반 활성탄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Fe^{3+}$$Al^{3+}$이온의 혼합물을 흡착제 표면에 담지 하였다. 금속담지 활성탄의 인산염의 흡착용량은 금속이온으로 표면을 개질 하지 않은 활성탄에 비해 약 8배 높게 나타났다. 흡착평형량은 흡착반응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Langmuir 흡착등온식의 경향과 일치하였다. 제조된 금속담지 활성탄의 인산염 흡착제거공정은 흡열의 자발반응으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흡착공정의 거동과 제거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공확산모델을 통해 내부 확산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는 실험결과와 매우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ak wood based activated carbon was modified with surface impregnation of $Fe^{3+}$ and $Al^{3+}$ metal ions mixture for enhancements of phosphate adsorption capacity in aqueous solution. The phosphate adsorption capacity of the prepared metal impregnated carbon (MC) was abou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활성탄에 인산염과 강한 상호작용을 통해 불용성 침전염을 형성하는 Al과 Fe 금속이온을 담지하여 흡착제거 및 회수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최적의 금속이온 주입비율과 주입량 선정을 위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제조된 금속담지 활성탄의 표면특성과 흡착평형량 및 흡착속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에서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은 어느정도 입니까? 지구에서 인류가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은 전체량의 2.7%에 불과하며, 여기서 불과 0.6%만이 먹는 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OECD에 따르면 2050년 인류의 몇 퍼센트가 물 스트레스 지역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하나요? 6%만이 먹는 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OECD 2050 환경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인류의 40% 이상이 심각한 물 스트레스 지역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1)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연평균 강수량이 세계평균인 880 mm보다 높은 1,245 mm로 조사 되고 있으나, 인구밀도가 높고 지형특성상 유출계수가 매우 높아 인구 1인당 강수총량은 인류전체 1인당 강수총량의 약 12.
UN이 대한민국을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하는 이유는? OECD 2050 환경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까지 전인류의 40% 이상이 심각한 물 스트레스 지역에 거주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1)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연평균 강수량이 세계평균인 880 mm보다 높은 1,245 mm로 조사 되고 있으나, 인구밀도가 높고 지형특성상 유출계수가 매우 높아 인구 1인당 강수총량은 인류전체 1인당 강수총량의 약 12.5%에 불과하다.2) 또한, 계절적으로 여름철에 연간 강수 총량의 60%가 집중되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UN에서는 대한민국을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있으며, OECD 국가 중 물 스트레스가 가장 심한 국가로 지목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OECD Environmental Outlook to 2050, "The Consequences of Inaction," OECD Publishing (2012). 

  2. Park, D. S. and Lee, H. J., "The Emergency Management Measures for the Water Shortage by Climate Change," Korean Rev. Crisis & Emergency Manage., 6(2), 198-213(2010). 

  3. Rudra, N. D. and Kunal, R., "Predictive Modeling Studies for the Exotoxicity of Ionic Liquids Towards the Green Algae Scenedesmus Vacuolatus," Chemosphere, 104, 170-176(2014). 

  4. Zhang, J., Shen, S., Shan, W., Chen, Z., Mei, Z., Lei, Y. and Wang, W., "Adsorption Behavior of Phosphate on Lanthanum (III) Doped Mesoporous Silicates Material," J. Environ. Sci., 44(4), 507-511(2010). 

  5. Lee, D. S., Jeon, C. O. and Park, J. M., "Biological Nitrogen Removal with Enhanced Phosphate Uptake in a Sequencing Batch Reactor Using Single Sludge System," Water Res., 35(16), 3968-3976(2001). 

  6. Weis, T., "The Accelerating Biophysical Contradictions of Industrial Capitalist Agriculture," J. Agrar. Chang., 10(3), 315-341(2010). 

  7. Ayranci, E. and Hoda, N., "Adsorption of Bentazon and Propanil from Aqueous Solution at the High Area Activated Carbon-Cloth," Chemosphere, 57(8), 755-762(2004). 

  8. Yao, Y., Gao, B., Inyang, M., Zimmerman, A. R., Cao, X., Pullammanappallil, P. and Yang, L., "Biochar Derived from Anaerobically Digested Sugar Beet Tailings: Characterization and Phosphate Removal Potential," Bioresour. Technol., 102(10), 6273-6278(2011). 

  9. Loganathan, P., Vigneswaran, S. and Kandasamy, J., "Enhanced Removal of Nitrate from Water Using Surface Modification of Adsorbents- A Review," J. Environ. Manage., 131 (15), 363-374(2013). 

  10. Eric, T. K., Veronique, A., Charles, P. Nanseu, N., Nathalie, A., Emmanuel, N. and Andre, D.,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arcoals That Contain Dispersed Aluminum Oxide as Adsorbents for Removal of Fluoride from Drinking Water," Carbon, 48(2), 333-343(2010). 

  11. Doron, K., Liora, S., Ido, N., Daniel, W. and Ishay, C., "Degradation of Adsorbed Sarin on Activated Carbons: A $^{31}P$ -MAS-NMRStudy," Clean, 35(2), 172-177(2007). 

  12. Liu, J., Zhou, Q., Chen, J., Zhang, L. and Chang, N., "Phosphate Adsorption on Hydroxyl-Iron-Lanthanum Doped Activated Carbon Fiber," Chem. Eng. J., 215, 859-867(2013). 

  13. Sebastian, S., Helmut, B. and Wilhelm, F. M., "Characterization of Micro- and Mesoporous Solids by Physisorption Methods and Pore-Size Analysis," Appl. Catal. A-Gen., 174, 137-146(1998). 

  14. Seaton, N. A., "Determination of the Connectivity of Porous Solids from Nitrogen Sorption Measurements," Chem. Eng. Sci., 46(8), 1895-1909(1991). 

  15. Langmuir, I., "The Adsorption of Gases on Plane Surfaces of Glass, Mica and Platinum," J. Am. Chem. Soc., 40(9), 1361-1403(1918). 

  16. Chiton, N., Jack, N. L., Wayne, E. M. and Ramu, M. R.,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s of Agricultural by-Product-Based Powdered Activated Carbons in a Geosmin-Water System," Bioresour. Technol., 85(2), 131-135(2002). 

  17. Lee, C. G., Jeon, J. W., Hwang, M. J., Ahn, K. H., Park, C., Choi, J. W. and Lee, S. H., "Lead and Copper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Carbon Foam Derived from Phenol Resin," Chemosphere, 130, 59-65(2015). 

  18. Jung, K. W., Jeong, T. U., Hwang, M. J., Kim, K. and Ahn, K. H., "Phosphate Adsorption Ability of Biochar/Mg-Al Assembled Nanocomposites Prepared by Aluminum-Electrode Based Electro-Assisted Modification Method with $MgCl_2$ as Electrolyte," Bioresour. Technol., 198, 603-610(2015). 

  19. Namasivayam, C. and Kavitha, D., "Removal of Congo Red from Water by Adsorption onto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Coir Pith, an Agricultural Solid Waste," Dyes. Pigments., 54(1), 47-58(2002). 

  20. Ponnusami, V., Rajan, K. S. and Srivastava, S. N., "Application of Film-Pore Diffusion Model for Methylene Blue Adsorption onto Plant Leaf Powders," Chem. Eng. J., 163, 236-242(2010). 

  21. Quintanilla, A., Casas, J. A., Rodriguez, J. J., Kreutzer, M. T., Kapteijn, F. and Moulijn, J. A., "Kinetics of the Wet Oxidation of Phenol over an Fe/Activated Carbon Catalyst," Int. J. Chem. React. Eng., 5(1), 1542-6580(2007). 

  22. Yu, Y., Yu, L. and Chen, J. P., "Adsorption of Fluoride by Fe-Mg-La Triple-Metal Composite: Adsorbent Preparation, Illustration of Performance and Study of Mechanisms," Chem. Eng. J., 262(15), 839-846(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