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체동결 굴(Crassostrea gigas)을 이용한 굴소스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ocessing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Oyster Sauce from IQF Oyster Crassostrea giga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8 no.6, 2015년, pp.833 - 838  

황영숙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김상현 (부산테크노파크 해양생물산업육성센터) ,  김병균 (한성수산식품) ,  김선근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조준현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오광수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value-added product from individually quick-frozen oyster Crassostrea gigas extract (IQFOE), we prepared two types of oyster sauce (OS): bottled OS (BOS) and retort pouched OS (ROS). We investigated processing conditions, quality metrics and flavor compounds in each type of sauce. We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부 가공품에 관한 연구도 단순가공품인 조미료 중간소재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상품가치를 상실한 개체동결(IQF) 굴의 효율적 활용과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독자적인 고급가공품의 개발 및 제품화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미를 개선시킨 IQF 굴 복합엑스분을 주소재로 하여 국내외에서 풍미조미소재 및 건강식품소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굴소스 시작품의 가공공정, 성분조성 및 품질특성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소스(oyster sauce)란? 굴소스(oyster sauce)는 굴 자숙농축액이나 효소 가수분해물에 전분, 당 및 각종 향미소재를 혼합하여 가열 조리한 풍미계 천연소스로 중화요리에서 필수 조미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굴소스는 주로 가공부산물인 굴 자숙농축액을 주소재로 한 제품이 개발되어 중국을 비롯한 전세계 시장에 공급되고 있으며, 1980년대 이후 국제적인 상품화가 이루어져 있다.
굴소스의 주 개발 상품과 공급처는 어떠한가? 굴소스(oyster sauce)는 굴 자숙농축액이나 효소 가수분해물에 전분, 당 및 각종 향미소재를 혼합하여 가열 조리한 풍미계 천연소스로 중화요리에서 필수 조미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굴소스는 주로 가공부산물인 굴 자숙농축액을 주소재로 한 제품이 개발되어 중국을 비롯한 전세계 시장에 공급되고 있으며, 1980년대 이후 국제적인 상품화가 이루어져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굴 양식 생산 및 굴 가공품의 수출 국가이면서도 최근까지 가공부산물인 굴 자숙액의 대부분을 부분정제 및 농축하여 가공한 중간소재화 단계에 머물러 왔다.
독자적인 굴소스의 개발 및 브랜드화에 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이들의 효율적인 활용 및 고부가가치화를 위하여 세계시장용이 가능한 독자적인 굴소스의 개발 및 브랜드화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굴의 식품학적 성분 특성과 이용, 그리고 굴 통조림 제조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굴 자숙액의 효율적 이용에 대하여 국내외에서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굴의 성분특성, 굴 자숙액의 탈염,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물의 추출조건 및 풍미성분에 관한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Lee et al., 1990; Shiau and Chai, 1990; Cha, 1995; Oh, 1998;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PHA.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bacteriological examin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 3rd ed., Am Pub Health Accoc Inc, New York, U.S.A., 17-24. 

  2. Cha YJ. 1995. Volatile compounds in oyster hydrolysate produced by commercial protease. J Kor Soc Food Nutr 24, 420-426. 

  3. Chung IK, Kim HS, Kang KT, Choi YJ, Choi JD, Kim JS and Heu MS. 2006. Prepara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enzymatic oyster hydrolysates. J Kor Soc Food Sci Nutr 35, 919-925. 

  4. Han IJ, Park JS. Choi JI, Kim JH, Song BS, Yoon YH, Byun MW, Chun SS and Lee JW. 2009. Change in flavor patterns of gamma irradiated raw oyster and oyster cooking drip determined using an electric nose. Korean J Fish Aquat Sci 42, 209-214. http://dx.doi.org/KFAS.2009.0209. 

  5. Hayashi T, Yamaguchi K and Konosu S. 1981. Sensory analysis of taste-active components in the extract of boiled snow crab meat. J Food Sci 46, 479-483. 

  6. Hwang SM and Oh KS. 2013.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dendely lamellated oyster(Ostrea denselamellosa) in Seomjin river. J Agric Life Sci 47, 167-176. 

  7. Hwang SM, Hwang YS, Nam SG, Lee JD, Ryu SG and Oh KS. 2014. Flavor improvement of a complex extract from poor-quality, individually quick-frozen oysters Crassostrea gigas. Korean J Fish Aquat Sci 47, 733-739. http://dx.doi.org/10.5657/KFAS.2014.0733. 

  8. Kang JY, Roh TH, Hwang SM, Kim YA, Choi JD and Oh KS. 2010. The precursors and flavor constituents of the cooked oyster flavor. Korean J Fish Aquat Sci 43, 606-613. http://dx.doi.org/KFAS.2010.0606. 

  9. KFDA. 2008. Korea Food Code. Kor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121. 

  10. Kim WJ and Goo KH. 2001. Food Sensory Evaluation Method. Hyoil Pub Co., Seoul, Korea, 68-94. 

  11. Kim DH. 1985. Food Chemistry. Tamgudang, Seoul, Korea, 30-32. 

  12. KSFSN. 2000a. Handbook of Experimental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Pub Co., Seoul, Korea, 96-127. 

  13. KSFSN. 2000b. Handbook of Experimental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Pub Co., Seoul, Korea, 625-627. 

  14. Lee YC, Kim DS, Kim YD and Kim YM. 1990. Preparation of oyster and sea mussel hydrolysates using commercial protease. Kor J Food Sci Technol, 22, 234-240. 

  15. Lee YM, Lee SJ, Kim SG, Hwang YS, Jeong BY and Oh KS. 2012. Food components characteristics of cultured and wild oysters Crassostrea gigas. Korean J Fish Aquat Sci 45, 586-593. http://dx.doi.org/10.5657/KFAS.2012.0586. 

  16. Oh KS. 1998. Processings of flavoring substances from low-utilized shelfishes. Korean J Fish Aquat Sci 31, 791-798. http://dx.doi.org/10.5657/KFAS.1998.0791. 

  17. Ohara T. 1982a. Food Analysis Handbook. Kenpakusha Pub Co., Tokyo, Japan, 51-55. 

  18. Ohara T. 1982b. Food Analysis Handbook. Kenpakusha Pub Co., Tokyo, Japan, 264-267. 

  19. Park PJ, Lee SH and Kim SK. 2000. Desalination of boiled oyster extract by electrodialysis. Kor J Biotechnol Bioeng 15, 167-173. 

  20. Ryder JM. 1985. Determination of ATP and its breakdown products in fish muscle by HPLC. J Agric Food Chem 33, 678-680. 

  21. Shiau CY and Chai T. 1990. Characterization of oyster shucking liquid wastes and their utilization as oyster soup. J Food Sci 55, 374-3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