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두이노 기반 스마트 신발 모듈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shoes module based on Arduino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19 no.11, 2015년, pp.2697 - 2702  

서상현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DONG-EUI University) ,  장시웅 (Department of IT Convergence, DONG-EU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악의 속도에 따라 운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기존의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재생되는 음악을 변경해주어야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음악 재생을 조절하는 방법에서 빠른 음악을 재생하고자 했을 때 사용자가 음악을 검색하다가 운동 흐름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스마트 신발의 사용자로부터 걸음 수를 측정하는 모듈아두이노 기반으로 설계하고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정확한 걸음 수를 측정 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그리고 GPS를 활용함으로써 걸음속도 및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동거리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과 걸음 수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의 평균값을 측정해 기존의 제품보다 정확한 칼로리 소모를 측정하며, 걸음속도에 따라 음악 장르 변경 알고리즘을 적용시켜 사용자에게 운동 동기를 부여하고 동시에 운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existing studies providing a method which do exercise according to music speed, the method was used which a user changes playing musics. However, if the method which a user changes directly playing musics is used, flow of exercise can be discontinued during searching musics when anyone wa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이동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기반 위치 추적을 활용해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6]. 위에서 제안하는 방식을 종합하면 전체적인 시스템 구성도는 그림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본 연구논문에서 제안한 아두이노 기반 스마트 신발 모듈을 실험하였으며 직접 설계한 알고리즘이 정상적으로 적용되는지 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논문에서는 오픈소스 기반 저가 디바이스를 활용한 개방형 통합 플랫폼과 안드로이드 통신을 위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실제 연구 개발한 플랫폼 구성은 그림 3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써 블루투스를 채택한 이유는 무엇인가? UWB(Ultra Wideband)는 저전력 및 속도에서 구현이 용이하며 투과율이 높지만 타 기기에서 간섭이 종종 발생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이 힘들며 WLAN은 흔히 많이 사용하는 와이파이(Wi-Fi)이며 모든면에서 월등한 면을 보여주지만 전력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적합하지 않다. 블루투스는 저가형 스마트폰에서 고가형 스마트폰에 이르기까지 모두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고 걸음 수를 측정하는 간단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다[5].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를 채택하여 구현하였다.
스마트폰에서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은 어떻게 나누어지는가? 스마트폰에서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은 크게 네트워크 기반, 핸드셋 기반, 하이브리드로 나누어 진다.
스마트폰에서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중 네트워크 기반 방식의 단점은 무엇인가? 네트워크 기반은 Operator Cell-Id 방식으로 실내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적은 비용으로 추적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250~5km의 낮은 정밀도가 단점이다. 핸드셋 기반은 Cell-Id, GPS, WIFI의 3가지로 나누어 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Han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Wearable device, Future Growth Engines,"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2015, no. 6, pp. 626-627, Jun. 2015. 

  2. Terry, Peter C. and Karageorghis, "Psychophysical effects of music in sport and exercise: an update 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sychology Bridging the Tasman: Science, Culture and Practice, pp. 26-30, Sep 2006. 

  3. Ji-Hyuk Kim, Jee-Eun Son, Dae-Taek Lee, "Tempo of Music Played in Inner City Park Walking Trail and Age and Sex Variations of Walking Patterns in Unrestricted Free Wal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15, no. 2, pp. 233-241, Jun. 2008. 

  4. Peng Zhou, Fangfang Sui, Anqiong Zhang, Fang Wang, Guohui Li, "Music therapy on heart rate variability," Biomed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cs (BMEI), 2010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ol. 3, pp 965-968, Oct. 2010. 

  5. Hyeok-jung Gwon, "Study on the Patent Trend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 The Graduate School : Electronic information communication department of engineering, A Master's thesis, Dec. 2012. 

  6. Byeong-joon Kim, Myeung-sung Lee, Seung-jin Moon, "Location based service based platform of analysis and new service models research,"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19, pp. 105-108,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