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찰거대배아미를 이용한 팝라이스와 흑미차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Pop-rice and Rice Tea Using Black Sticky Rice with Giant Embryo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1 = no.177, 2015년, pp.68 - 74  

한상익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서우덕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나지은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박지영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박동수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조준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이종희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서경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심은영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남민희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거대쌀눈의 특성과 검정쌀 그리고 찹쌀의 특성을 보유한 흑찰거대배아미인 '눈큰흑찰'을 이용한 팝라이스 제조와 이를 이용한 현미차로 이용하였을 경우의 주요 성분의 분석 결과, 눈큰흑찰을 이용한 최적의 팝라이스 가공조건은 $157^{\circ}C$에서 5 ~ 20분 볶는 조건이 상품성이 가장 적당함을 확인하였다. 눈큰흑찰 팝라이스는 대조인 일미에 비해 단백질(11.3%)과 지방(3.7%)이 높음을 보였고, 당 함량과 조성에서도 일미에 비해 다량 함유함을 보였다. 멜라노이딘 색소 함량에서 일미에 비해 4배(0.2 OD) 증가하였고, 폴리페놀, 가바(GABA), 총 아미노산 등 주요 영양과 기능성분에서 가공에 의한 눈큰흑찰의 특성이 좋음을 확인하였다. 현미차로 눈큰흑찰 팝라이스를 우려내었을 경우도 글루코오스, 슈크로오스, 라피노오스, 총 당함량에서 현미와 일미에 비해 다량 용출됨을 보였고, 특히 당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슈크로오스는 현미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함을 보였다. 항산화성 분석을 통한 생리활성 검정에서도 눈큰흑찰 팝라이스는 현미에 비해 4배(DPPH, $SC_{50}$, 0.24 mg/ml) 이상의 항산화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developed black waxy rice with a giant embryo ('Nunkeunheukchal', BGE) was selected and processed to produce high quality nutritional food. BGE contains high levels of several phytochemical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other reported health beneficial properties. In additio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2 μm로 필터(Woongki Ltd., Seoul, Korea)한 20 μl 시료에 60 μl의 AccQ-fluor borate buffer와 20 μl의 AccQ-fluor reagent를 혼합하여 55℃에서 5분간 반응시키고 AccQ·Tag Ultra column (2.1×100 mm, Waters)를 이용하여 30℃에서 AccQ·Tag 시약 A (AccQ·Tag Ultra Eluent A, Waters)와 AccQ·Tag 시약 B (AccQ·Tag Ultra Eluent B, Waters)의 혼합 용매 조건으로 PDA eλ detector (Waters)를 이용하여 표준품의 검량선과 대조하여 함량을 계산하였다.
  • 냉각한 시료에 5 ml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층을 분리하고 상등액을 취하여 anhydrous Na2SO4 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1 ml을 취해서 GC (Agilent 7890A gas chromatograph equipped with a FID and HP-FFAT capillary column, Santa Clara, CA)로 분석하였다. 분석조건은 oven 온도는 150에서 230℃까지 2.
  • 눈큰흑찰 팝라이스를 현미차로 음용을 위해 5 g의 가공된 형태의 시료에 50 ml의 끓인 물로 30분간 우려내었을 경우의 주요 성분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유리당 함량 비교 분석결과 가공하지 않은 현미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 모든 성분에서 추출률이 좋음을 보였다.
  • 눈큰흑찰 팝라이스의 기능성 성분 분석에서는 볶음 가공을 통해 종자의 갈변과정에서 생성되는 멜라노이딘 성분의 함량은 갈변도 측정을 통해 비교하였다[1]. 눈큰흑찰의 경우 일미에 비해 4배(OD 0.
  • 눈큰흑찰 팝라이스의 단단함을 비교하기 위하여 경도를 분석하였다. 종자의 경도는 직경 5 mm의 팁이 받는 무게와 파단점까지의 시간과 이동 거리로 분석하였다.
  • 눈큰흑찰 현미와 팝라이스의 항산화 활성 검정은 DPPH법과 ABTs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검정하였다. DPPH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은 Hatano 등[6]의 방법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 눈큰흑찰을 이용하여 기호성이 우수한 가공품을 제조하기 위해 현미를 볶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온도는 150내지 170℃ 조건을 사용하였다. 볶음 시간은 5 내지 20분으로 회전시키면서 고루 호화가 이루어지는 조건을 찾았다.
  • 눈큰흑찰을 이용하여 현미차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밥과 열판에 볶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밥은 쌀 200 g을 잘 씻은 후 쌀의 수분함량에 따라 가수량을 조정(쌀 수분함량 14% 기준, 가수량 1.
  • 눈큰흑찰의 현미와 현미차로 우려낸 시료의 유리당 함량은 HPLC (2695 Alliance system, Waters)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글루코오스, 프락토오스, 말토오즈, 슈크로오즈, 레피노오즈 등의 1-3 탄당류를 표준품의 검량선과 대조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 유리당은 시료 1 g과 증류수 20 ml을 혼합하여 vortex 후 30℃에서 12시간 초음파로 추출하였고, 15,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 한 후 여과하여 칼럼은 SugarPak 칼럼(85℃, 10 um, 6.
  • 특히나 고혈압과 신경안정 효과가 우수한 수용성 기능성아미노산인 GABA (γ-aminobutyric acid)를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9, 15, 17, 18]. 본 연구에서는 흑미이며 찹쌀이고 거대배아의 특성을 모두 보유한 눈큰흑찰을 이용하여 팝라이스로 가공하였을 경우와 현미차 형태로 가공하였을 경우의 영양성분과 건강 기능성분을 분석하였다.
  • 분쇄된 시료 1.0g에 초순수 4 ml을 첨가하고 초음파 추출(Wiseclean bath (WUC-N47H), 36.7 kHz)기를 이용하여 5시간 동안 30℃에서 추출하였고, 4℃에서 20,000× g로 10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가바와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 아미노산 분석은 UPLC (AccQ·tag UPLC detection system, Waters)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눈큰흑찰의 현미와 현미차로 우려낸 시료의 유리당 함량은 HPLC (2695 Alliance system, Waters)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글루코오스, 프락토오스, 말토오즈, 슈크로오즈, 레피노오즈 등의 1-3 탄당류를 표준품의 검량선과 대조하여 함량을 측정하였다. 유리당은 시료 1 g과 증류수 20 ml을 혼합하여 vortex 후 30℃에서 12시간 초음파로 추출하였고, 15,000 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 한 후 여과하여 칼럼은 SugarPak 칼럼(85℃, 10 um, 6.5 mm x 300 mm, Waters)과 RI 검출기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눈큰흑찰 팝라이스의 단단함을 비교하기 위하여 경도를 분석하였다. 종자의 경도는 직경 5 mm의 팁이 받는 무게와 파단점까지의 시간과 이동 거리로 분석하였다. 팝라이스의 경도는 폭열이 잘되는 눈큰흑찰이 9.
  • 4 mM이 되도록 용해시킨 다음 암실에서 4~8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흡광도 값이 안정되도록 기다려 사용하였다. 즉, 이 ABTs용액 0.9 ml에 일정농도의 시료액 0.1 ml을 가하여 잘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1분간 반응시켜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시료 무첨가구에 대한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비(%)로 나타내었다.
  • 팝라이스로 가공한 현미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Stable micro system사의 TA-XT2 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종자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직경 5 mm의 팁으로 종자가 파단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과 이동거리 그리고 이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 팝라이스로 가공한 현미의 경도를 측정하기 위해 Stable micro system사의 TA-XT2 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종자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직경 5 mm의 팁으로 종자가 파단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과 이동거리 그리고 이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 2 ml의 Folin-Ciocalteau’s phenol 용액과 혼합한 후 3 ml의 5% Na2CO3 용액과 혼합하였다. 혼합용액은 3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Versa max, Molecular Devices Co., Sunnyvale, CA)를 이용하여 765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폴리페놀 함량 계산은 chlorogenic acid (CGA mg/100g extract)의 함량과 비교하여 계산하였다[11].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 사용된 재료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포장에서 2012년 생산된 ‘눈큰흑찰(BGE), ‘조생흑찰(BR)’ 그리고 일반미로 ‘일미(IB)’ 벼를 이용하였으며 원료곡인 정조를 제현기(Model SY88-TH, Ssangyong Ltd., Incheon, Korea)를 이용하여 왕겨를 분리한 현미를 시험재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실험결과는 3번 반복값을 구하여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각 변수에 대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으로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적용하였으며, α=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 단백질 함량 분석은 Kim 등(2006)의 방법에 따란 Kjeldahl 자동 분석기(Kjeltech Auto 8560, Foss Tecator AB, Hoeganaes, Swede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지방분석은 Soxhlet 분석법(FOSS 2050 SOXTEC AVANTI Automatic Soxhlet Extraction system, Foss Tecator AB, Hoeganaes, Sweden) 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8]. 지방산 조성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0.
  • 1×100 mm, Waters)를 이용하여 30℃에서 AccQ·Tag 시약 A (AccQ·Tag Ultra Eluent A, Waters)와 AccQ·Tag 시약 B (AccQ·Tag Ultra Eluent B, Waters)의 혼합 용매 조건으로 PDA eλ detector (Waters)를 이용하여 표준품의 검량선과 대조하여 함량을 계산하였다. 크로마토그램은 Empower software (Water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분석법에 따라 수행하였다[3, 16].
  • 눈큰흑찰 현미와 팝라이스의 항산화 활성 검정은 DPPH법과 ABTs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검정하였다. DPPH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은 Hatano 등[6]의 방법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정농도로 조정된 시료에 DPPH-ethanol용액을 가하여 10초간 잘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가바를 포함한 아미노산은 Lee 등[13]의 방법을 변형한 Kim 등[9]의 방법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쇄된 시료 1.
  • 단백질 함량 분석은 Kim 등(2006)의 방법에 따란 Kjeldahl 자동 분석기(Kjeltech Auto 8560, Foss Tecator AB, Hoeganaes, Swede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지방분석은 Soxhlet 분석법(FOSS 2050 SOXTEC AVANTI Automatic Soxhlet Extraction system, Foss Tecator AB, Hoeganaes, Sweden) 에 따라 분석을 수행하였다[8]. 지방산 조성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 침종과 발아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Folin-Ciocalteau colorimetric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4]. 분말 시료를 70% 메탄올을 이용하여 37℃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추출하였고, 추출물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눈큰흑찰이란? ‘눈큰흑찰’ 쌀은 국립식량과학원에서 2013년 개발한 신품종으로 약배양을 통해 개발된 거대배의 특성과 찹쌀의 특성을 같이 가지고 있는 변이체인 ‘YR23517Acp79’을 모본으로 하여 ‘조생흑찰’과 인공교배하여 개발된 품종으로 일반쌀에 비해 배(배아)의 크기가 3배 이상 크고 아미노산, 지방, 무기성분, 안토시아닌 등의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신품종이 다. 특히나 고혈압과 신경안정 효과가 우수한 수용성 기능성 아미노산인 GABA (γ-aminobutyric acid)를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9, 15, 17, 18].
일반미 팝라이스 대비 눈큰흑찰 팝라이스의 영양적 측면에서 본 장점은? 그러나 폭열로 표현되는 팝라이스로 가공 특성은 일반미의 약하게 갈라짐에 비해 눈큰흑찰은 팝콘과 같이 최적 가공온도에서 폭열이 일어 나서 상품성에서 더 적합한 품종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눈큰흑찰 팝라이스는 대조로 사용된 일반미의 팝라이스에 비해 단백질, 지방, 당 함량 등이 높음을 보였고, 멜라노이딘 색소, 폴리페놀, 가바, 총아미노산 함량 등에서도 눈큰흑찰 팝라이스가 영양면에서 우수함을 보여 팝라이스를 그대로 후레이크로 이용하거나 아니면 선식으로 복용해도 좋음을 확인하였다.
눈큰흑찰의 기호성이 우수한 팝라이스를 제조하기 위한 볶음 시간은? 기호성이 우수한 팝라이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눈큰흑찰과 일미 현미의 볶음을 통해 팽화가 골고루 일어나고 타지 않은 조건을 탐색한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공 온도의 범위는 눈큰흑찰은 155℃에서 160℃ 사이가 적당하였고, 최적 가공온도는 157℃였다. 이때의 볶음 시간은 5~20분이 적당하였다. 반면 대조인 일반미 일미의 경우는 165℃에서 170℃의 범위가 가공에 적합하였고, 최적 가공 온도는 눈큰흑찰보다 10℃가 높은 167℃로 분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eigh, H. S., Lee, J. S. and Lee, C. Y. 1993.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melanoidin related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J. Kor. Soc. Food Nutr. 22(5), 570-575. 

  2. Choe, J. S., Ahn, H. H. and Nam, H. J. 200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J. Kor. Soc. Food Sci. Nutr. 31, 885-892. 

  3. Choi, Y. M., Ku, J. B., Chang, H. B. and Lee, J. S. 2005.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s of ethanol extracts from several edible mushrooms produced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4, 700-703. 

  4. Choi, Y. M., Lee, S. M., Chun, J., Lee, H. B. and Lee, J. S.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97. 

  5. Goufo, P. and Trindade, H. 2014. Rice antioxidants: phenolic acids, flavonoids, anthocyanins, proanthocyanidins, tocopherols, tocotrienols, gamma-oryzanol, and phytic acid. Food Sci. Nutr. 2(2), 75-104. 

  6. Hatano, T., Kagawa, H., Yasuhara, T. and Okuda, T. 1988. Two new flavonoids and other constituents in licorice root: Their relative astringency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Chem. Pharm. Bull. 36, 1090-2097. 

  7. Huh, C. K., Lee, J. W. and Kim, Y. D. 2012.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According to Different Rice Varieties. Kor. J. Food Preserv. 19(6), 925-932. 

  8. Juliano, B. O. 1985. Biochemical properties of rice.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pp. 175-205.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9. Kim, J. Y., Seo, W. D., Park, D. S., Jang, K. C., Choi, K. J., Kim, S. Y., Oh, S. H., Ra, J. E., Yi, G. H., Park, S. K., Hwang, U. H., Song, Y. C., Park, B. R., Park, M. J., Kang, H. W. and Han, S. I. 2013. Comparative studies on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of black waxy rice with giant embryos and its rice bran. Food Sci. Biotechnol. 22(S), 1-8. 

  10. Kim, S. W., Park, I. J., Lee, Y. Shin, H. R., Park, H. G., Kwon, O. D., Kim, D. H. and Kim, S. C. 2005. Pop-rice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pop-rice with unhulled rice. Korea Patent No. 10-0478829. 

  11. Kweon, M. H., Hwang, H. J. and Sung, H. C. 2001. Identific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vel chlorogenic acid derivatives from bamboo (Phyllostachys edulis). J. Agric.Food Chem. 49, 4646-4655. 

  12. Kyoun, O. Y., Oh, S. H., Kim, H. J., Yoon, Y. K., Kim, H. M. and Kim, M. R. 2006. Analyses of nutrients and antinutrients of rice cultivars. Kor. J. Food Cook Sci. 22, 949-956. 

  13. Lee, Y. R., Kim, C. E., Kang, M. Y. and Nam, S. H. 2007.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xidant status-improving efficacy of germinated giant embryonic rice (Oryza sativa L.) in high cholesterol-fed rats. Ann. Nutr. Metab. 51, 519-526. 

  14. Moon, K. S., Lee, S. J. and Baik, J. H. 2008. Preparation method of parched unpolished rice with excellent taste. Korea Patent No. 10-0836034. 

  15. Park, D. S., Park, S. K., Lee, B. C., Song, S. Y., Jun, N. S., Manigbas, N. L., Cho, J. H., Nam, M. H., Jeon, J. S., Han, C. D., Choi, K. J., Kim, D. H., Woo, Y. M., Koh, H. J., Kang, H. W. and Yi, G. H. 2009.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of a new giant embryo mutant gene (get) in rice (Oryza sativa L.). Genes Genom. 31, 277-283.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 Med. 26, 1231-1237. 

  17. Saikusa, T., Horino, T. and Mori, Y. 1994. Accumulation of γ-amino butyric acid (GABA) in rice germ during water soaking. Biosci. Biotechnol. Biochem. 58, 2291-2292. 

  18. Seo, W. D., Kim, J. Y., Park, D. S., Han, S. I., Jang, K. C., Choi, K. J., Kim, S. Y., Oh, S. H., Ra, J. E., Yi, G. H, Park, S. K., Hwang, U. H., Song, Y. C., Park, B. R. and Kang, H. W.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ochemicals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in new giant embryo mutant, ‘YR23517Acp79’, in rice (Oryza sativa L.). J. Kor. Soc. Appl. Biol. Chem. 54, 700-709. 

  19. Stork, C. R., Silva, L. P. and Fagundes, C. A. A. 2005. Catergorizing rice cultivars based on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J. Food Chem. Anal. 18, 333-341. 

  20. Zhang, L., Hu, P., Tang, S., Zhao, H. and Wu, D. 2005. Comparative studies on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of rice with a giant embryo and a normal embryo. J. Food Biochem. 29, 653-6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