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T24 인체방광암 세포에서 pachym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발
Induction of Apoptosis by Pachymic Acid in T24 Human Bladder Cancer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1 = no.177, 2015년, pp.93 - 100  

정진우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Plus)) ,  백준영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  김광동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21 Plus)) ,  최영현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생화학교실) ,  이재동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chymic acid는 복령에서 분리된 lanostane-type인 triterpenoid의 일종이다. 최근 pachymic acid가 항암 및 항염증 효능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능 등과 같은 약리적인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pachymic acid의 항암활성 및 관련 기전 조사의 일환으로 T24 인체 방광암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pachym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발 여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pachymic acid는 T24 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으며, 이는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음을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Pachymic acid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는 pro-apoptotic 인자들의 발현 증가와 anti-apoptotic 유전자 산물들의 발현 감소가 동반되었으며, MMP의 소실과 tBid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다. 아울러 pachymic acid는 extrinsic 및 intrinsic apoptosis 경로의 개시에 관여하는 caspase-8 및 -9의 활성뿐 만 아니라, caspase-3의 활성도 증가시킴으로서 PARP와 같은 기질 단백질의 단편화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pachymic acid는 항암활성을 지니는 천연생리활성 물질로서의 잠재력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chymic acid (PA) is a lanostane-type triterpenoid derived from the Poria cocos mushroom. Several beneficial biological features of PA provide medicine with a wide variety of valuable effects, such as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t also has antioxidant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Extrinsic 및 intrinsic pathway의 활성화를 통한 apoptosis 유발에는 여러 종류의 caspase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pachymic acid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 있어서 이들의 활성이 관여하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먼저 caspase의 발현 정도를 확인한 결과, Fig.
  • 하지만 이들 사이에 균형이 깨어지게 되면 mitochondria 내부로부터 세포질로 cytochrome c 등과 같은 apoptosis를 유발하는 물질들이 방출되어 cysteine-related proteases인 caspase 및 DNA의 단편화와 연관된 endonuclease 등의 활성이 증가되어 apoptosis가 유발된다[3, 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chymic acid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탐색을 위하여 apoptosis와 연관성을 가지는 Bcl-2 family에 속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achymic acid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Bax, Bad 및 tBid 단백질의 발현 증가와 더불어 Bcl-2 및 Bcl-xL 단백질의 발현 감소가 관찰되어(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령 유래의 pachymic acid가 인체 방광암세포 T24에 미치는 항암 효과의 생화학적 기전의 해석을 위하여 T24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pachymic acid가 유발하는 증식억제 현상이 apoptosis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여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 이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pachymic acid의 항암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방광암세포주인 T24 세포의 생존율 및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연관된 apoptosis 유발 여부 및 관련 인자들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pachymic acid의 처리에 따른 증식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pachymic acid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생존율 및 증식억제 현상이 나타났으며(Fig.
  • 한편 활성화된 caspase는 세포의 정상적인 생존에 필수적인 세포 내 주요 단백질들을 분해할 수 있으며, 단편화가 일어난 이들 단백질들은 apoptosis가 유발되었다는 표지인자로서 활용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caspase-3의 기질 단백질에 해당되는 PARP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PARP는 정상세포의 DNA 수복이나 유전자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apoptosis 유발 시 caspase-3에 의해 분해가 일어나면 이러한 회복기능이 상실된다[2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achymic acid는 무엇인가? Pachymic acid는 복령에서 분리된 lanostane-type인 triterpenoid의 일종이다. 최근 pachymic acid가 항암 및 항염증 효능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능 등과 같은 약리적인 효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나, 그에 대한 구체적인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pachymic acid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복령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은 pachymic acid로 대표되는 lanostane type의 triterpene계 화합물이며, 그 동족체로서 tumulosic acid, eburicoic acid, dehydropachymic acid, poricoic acid 등이 보고되어 있다[25, 26]. 최근 연구에 의하면 pachymic acid은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5, 28, 29]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신생혈관 생성 억제, 세포주기 억제 및 apoptosis 유발등과 같은 항암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 되어지고 있다[4, 8, 14]. 하지만 pachymic acid에 의해 유발하는 항암활성 작용 및 그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caspase는 apoptosis에 관하여 어떤 기능을 하는가? Cystein-containing aspartate-specific protease family인 caspase 또한 apoptosis에 의해 유발되는 많은 생화학적 또는 형태적 변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spase는 large subunit과 small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포가 정상적으로 성장 및 생존할 때 핵과 mitochondria의 외막에 불활성 상태인 proenzyme 형태로 존재하지만 apoptosis를 유발하는 세포 내/외의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표적 단백질들의 분해를 유발한다. 이러한 caspase는 initiator caspase 및 effector caspase로 구분되어지며 특히 effector caspase인 caspase-3의 경우에는 extrinsic pathway에 의하여 활성화된 caspase-8 및 intrinsic pathway에 의하여 활성화된 caspase-9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여러 종류의 기질 단백질들을 분해함으로써 apoptosis를 유발하는 중요한 효소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inder, M., Hibbett, D. S., Larsson, K. H., Larsson, E., Langer, E. and Langer, G. 2005. The phylogenetic distribution of resupinate forms across the major clades of mushroom-forming fungi (Homobasidiomycetes). Syst. Biodivers. 3, 113-157. 

  2. Checinska, A., Hoogeland, B. S., Rodriguez, J. A., Giaccone, G. and Kruyt, F. A. 2007. Role of XIAP in inhibiting cisplatin-induced caspase activa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a small molecule Smac mimic sensitizes for chemotherapy-induced apoptosis by enhancing caspase-3 activation. Exp. Cell Res. 313, 1215-1224. 

  3. Donovan, M. and Cotter, T. G. 2004. Control of mitochondrial integrity by Bcl-2 family members and caspase-independent cell death. Biochim. Biophys. Acta 1644, 133-147. 

  4. Gapter, L., Wang, Z., Glinski, J. and Ng, K. Y. 2005. Induction of apoptosis in prostate cancer cells by pachymic acid from Poria coco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2, 1153-1161. 

  5. Giner, E. M., Manez, S., Recio, M. C., Giner, R. M., Cerda-Nicolas, M. and Rios, J. L. 2000. In vivo studies on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achymic and dehydrotumulosic acids. Planta Med. 66, 221-227. 

  6. Han, S. I., Kim, Y. S. and Kim, T. H. 2008. Role of apoptotic and necrotic cell death under physiologic conditions. BMB Rep. 41, 1-10. 

  7. Holcik, M., Gibson, H. and Korneluk, R. G. 2001. XIAP: apoptotic brake and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Apoptosis 6, 253-261. 

  8. Kaminaga, T., Yasukawa, K., Kanno, H., Tai, T., Nunoura, Y. and Takido, M. 1996. Inhibitory effects of lanostane-type triterpene acids, the components of Poria cocos, on tumorpromotion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in two-stage carcinogenesis in mouse skin. Oncology 53, 382-385. 

  9. Kaufmann, S. H., Desnoyers, S., Ottaviano, Y., Davidson, N. E. and Poirier, G. G. 1993. Specific proteolytic cleavage of poly(ADP-ribose) polymerase: an early marker of chemotherapy-induced apoptosis. Cancer Res. 53, 3976-3985. 

  10. Kirkali, Z., Chan, T., Manoharan, M., Algaba, F., Busch, C., Cheng, L., Kiemeney, L., Kriegmair, M., Montironi, R., Murphy, W. M., Sesterhenn, I. A., Tachibana, M. and Weider, J. 2005. Bladder cancer: epidemiology, staging and grading, and diagnosis. Urology 66, 4-34. 

  11. Kroemer, G. 1997. The proto-oncogene Bcl-2 and its role in regulating apoptosis. Nat. Med. 3, 614-620. 

  12. Lazebnik, Y. A., Kaufmann, S. H., Desnoyers, S., Poirier, G. G. and Earnshaw, W. C. 1994.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by a proteinase with properties like ICE. Nature 371, 346-347. 

  13. Lee, K. Y. and Jeon, Y. J. 2003.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Poria cocos sclerotiuminduces NF-κB/Rel activation and iNOS expression in murine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3, 1353-1362. 

  14. Li, G., Xu, M. L., Lee, C. S., Woo, M. H., Chang, H. W. and Son, J. K. 2004. Cytotoxicity and DNA topoisomerases inhibitory activity of constituents from the sclerotium of Poria cocos. Arch. Pharm. Res. 27, 829-833. 

  15. Li, H., Zhu, H., Xu, C. J. and Yuan, J. 1998. Cleavage of BID by caspase 8 mediates the mitochondrial damage in the Fas pathway of apoptosis. Cell 94, 491-501. 

  16. Li, P., Nijhawan, D., Budihardjo, I., Srinivasula, S. M., Ahmad, M., Alnemri, E. S. and Wang, X. 1997. Cytochrome c and dATP-dependent formation of Apaf-1/caspase-9 complex initiates an apoptotic protease cascade. Cell 91, 479-489. 

  17. Lindner, D. L. and Banik, M. T. 2008. Molecular phylogeny of Laetiporus and other brown rot polypore genera in North America. Mycologia 100, 417-430. 

  18. Luo, X., Budihardjo, I., Zou, H., Slaughter, C. and Wang, X. 1998. Bid, a Bcl2 interacting protein, mediates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cell surface death receptors. Cell 94, 481-490. 

  19. Nargund, V. H., Tanabalan, C. K. and Kabir, M. N. 2012. Management of non-muscle-invasive (superficial) bladder cancer. Semin. Oncol. 39, 559-572. 

  20. Reed, J. C. 1998. Bcl-2 family proteins. Oncogene 17, 3225-3236. 

  21. Rosse, T., Olivier, R., Monney, L., Rager, M., Conus, S., Fellay, I., Jansen, B. and Borner, C. 1998. Bcl-2 prolongs cell survival after Bax-induced release of cytochrome c. Nature 391, 496-499. 

  22. Salvesen, G. S. and Duckett, C. S. 2002. IAP proteins: blocking the road to death’s door. Nat. Rev. Mol. Cell. Biol. 3, 401-410. 

  23. Schreiber, V., Dantzer, F., Ame, J. C. and de Murcia, G. 2006. Poly (ADP-ribose): novel functions for an old molecule. Nat. Rev. Mol. Cell Biol. 7, 517-528. 

  24. Smaldone, M. C., Jacobs, B. L., Smaldone, A. M. and Hrebinko, R. L. Jr. 2008. Long-term results of selective partial cystectomy for invasive urothelial bladder carcinoma. Urology 72, 613-616. 

  25. Tai, T., Shingu, T., Kikuchi, T., Tezuka, Y. and Akahori, A. 1995. Isolation of lanostane-type triterpene acids having an acetoxyl group from sclerotia of Poria cocos. Phytochemistry 40, 225-231. 

  26. Tai, T., Shingu, T., Kikuchi, T., Tezuka, Y. and Akahori, A. 1995. Triterpenes from the surface layer of Poria cocos. Phytochemistry 39, 1165-1169. 

  27. Tewari, M., Quan, L. T., O’Rourke, K., Desnoyers, S., Zeng, Z., Beidler, D. R, Poirier, G. G., Salvesen, G. S. and Dixit, V. M. 1995. Yama/ CPP32 beta, a mammalian homolog of CED-3, is a CrmA-inhibitable protease that cleaves the death substrate poly (ADP-ribose) polymerase. Cell 81, 801-809. 

  28. Yasukawa, K., Kaminaga, T., Kitanaka, S., Tai, T., Nunoura, Y., Natori, S. and Takido, M. 1998. 3β-p-Hydrooxybenzoyldehydrotumulosic acid from Poria coco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Phytochemistry 48, 1357-1360. 

  29. Zhou, L., Zhang, Y., Gapter, L. A., Ling, H., Agarwal, R. and Ng, K. 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anostane-type triterpenes isolated from Poria cocos. Chem. Pharm. Bull. (Tokyo) 56, 1459-14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