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비체중지지자세에서의 수동적 발목 발등굽힘과 동적균형검사 수행력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Ankle Dorsiflexion With a Non-Weight Bearing Condi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Dynamic Balance Test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2 no.1, 2015년, pp.30 - 36  

박준상 ((주)한국델파이 노경협력팀 건강증진센터) ,  양노열 ((주)위드알앤에이 연구개발부) ,  권오윤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nkle dorsiflexion passive range of motion (DF PROM) under a non-weight bearing condition and the normalized reach distance in three directions of the Y-Balance Test (YBT). Sixty-one healthy adults (32 males and 29 females, ag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체중지지자세뿐 아니라 비체중지지자세에서의 발목 발등굽힘 관절가동범위와 SEBT의 도달거리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YBT를 이용하여 비체중지지자세에서의 수동적 발목 발등굽힘과 동적균형능력 수행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05). 본 연구에서는 YBT의 앞쪽 도달거리와 관계가 있는 발목 발등굽힘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와 동적균형능력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하지 부상 방지를 위한 발목 발등굽힘의 기능적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신체가 균형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발목관절은 가장 우선적인 전략으로써 사용되기 때문에 발목관절이 동적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체중지지자세에서 측정된 발목 발등굽힘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와 동적균형능력 평가 도구인 YBT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그 결과, 비체중지지자세에서 측정한 발목 발등굽힘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는 앞쪽 도달 거리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뒤쪽 방향(뒤안쪽, 뒤가쪽)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발목 발등굽힘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가 클수록 동적균형능력 평가도구인 YBT의 앞쪽 방향 도달 거리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건강한 성인 남녀 61명을 대상으로 비체중지지자세에서 발목 발등굽 힘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한 후 YBT 키트를 이용하여 앞쪽, 뒤안쪽, 뒤가쪽 방향의 동적균형능력을 검사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적균형이란 무엇인가? 동적균형(dynamic balance)은 신체가 움직이는 동안 무게 중심을 지지 기저면 내에 두어 원하는 자세를 유지 하는 능력이다(Wade와 Jones, 1997). 동적균형능력 측정 방법으로는 Timed Up & Go test(TUG), 버그균형척도 (Berg Balance Scal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SEBT), Y-Balance Test(YBT)와 같은 평가도구가 있다(Berg 등, 1992; Duncan 등, 1990; Podsiadlo와 Richardson, 1991).
동적균형능력 측정 방법으로는 무엇이 있나? 동적균형(dynamic balance)은 신체가 움직이는 동안 무게 중심을 지지 기저면 내에 두어 원하는 자세를 유지 하는 능력이다(Wade와 Jones, 1997). 동적균형능력 측정 방법으로는 Timed Up & Go test(TUG), 버그균형척도 (Berg Balance Scal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SEBT), Y-Balance Test(YBT)와 같은 평가도구가 있다(Berg 등, 1992; Duncan 등, 1990; Podsiadlo와 Richardson, 1991). TUG는 평편한 바닥에 팔걸이가 있는 의자를 놓고 앉은 다음 일어난 후 3 m 거리를 왕복 하여 의자에 다시 앉는 동안 소요된 시간만을 측정하는 검사로 기본적인 운동성과 균형을 빠르게 측정할 수 있지만 일정시간동안의 보행 이동 중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과 같이 균형의 일부분만 한정적으로 측정할 수밖에 없다.
Timed Up & Go test 장단점은 무엇인가? 동적균형능력 측정 방법으로는 Timed Up & Go test(TUG), 버그균형척도 (Berg Balance Scal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SEBT), Y-Balance Test(YBT)와 같은 평가도구가 있다(Berg 등, 1992; Duncan 등, 1990; Podsiadlo와 Richardson, 1991). TUG는 평편한 바닥에 팔걸이가 있는 의자를 놓고 앉은 다음 일어난 후 3 m 거리를 왕복 하여 의자에 다시 앉는 동안 소요된 시간만을 측정하는 검사로 기본적인 운동성과 균형을 빠르게 측정할 수 있지만 일정시간동안의 보행 이동 중 균형을 유지하는 능력과 같이 균형의 일부분만 한정적으로 측정할 수밖에 없다. 버그균형척도는 정적 균형능력과 동적 균형능력을 평가하는 척도로 크게 앉기, 서기, 자세 변화의 3개 영역의 14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본적인 활동 동안 균형능력을 평가하며 천장효과가 나타날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측정도구의 변별력이 감소된다(de Oliveira 등, 2008; Hatch 등, 2003; Mao 등, 2002; Salbach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nnell KL, Talbot RC, Wajswelner H, et al.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a weight-bearing lunge measure of ankle dorsiflexion. Aust J Physiother. 1998;44(3):175-180. 

  2.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1080. 

  3. Blesh TE. Measurement in Physical Education. 2nd ed. New York, The Ronald Press Co., 1974:89. 

  4. Cote KP, Brunet ME, Gansneder BM, et al. Effects of pronated and supinated foot postures on static and dynamic postural stability. J Athl Train. 2005;40(1):41-46. 

  5. Coughlan GF, Fullam K, Delahunt E, et al. A comparison between performance on selected directions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nd the Y balance test. J Athl Train. 2012;47(4):366-371. 

  6. de Oliveira CB, de Medeiros IR, Frota NA, et al. Balance control in hemiparetic stroke patients: Main tools for evaluation. J Rehabil Res Dev. 2008;45(8):1215-1226. 

  7.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 et al.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1990;45(6):M192-M197. 

  8. Earl JE, Hertel J. Lower-extremity muscle activation during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s. J Sport Rehabil. 2001;10(2):93-104. 

  9. Elveru RA, Rothstein JM, Lamb RL. Goniometric reliability in a clinical setting. Subtalar and ankle joint measurements. Phys Ther. 1988;68(5):672-677. 

  10. Fong CM, Blackburn JT, Norcross MF, et al. Ankle-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nd landing biomechanics. J Athl Train. 2011;46(1):5-10. 

  11. Hatch J, Gill-Body KM, Portney LG. Determinants of balance confide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Phys Ther. 2003;83(12):1072-1079. 

  12. Hoch MC, Staton GS, McKeon PO.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dynamic balance. J Sci Med Sport. 2011;14(1):90-92. http://dx.doi.org/10.1016/j.jsams.2010.08.001 

  13. Hubbard TJ, Kramer LC, Denegar CR, et al. Correlations among multiple measures of functional and mechanical instability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J Athl Train. 2007;42(3):361-366. 

  14. Mao HF, Hsueh IP, Tang PF, et al.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ree balance measures for stroke patients. Stroke. 2002;33(4):1022-1027. 

  15. Milner M, Dall D, McConnell VA, et al. Angle diagrams in the assessment of locomotor function. Studies on normal subjects for various speeds and some preliminary work on patients requiring total hip reconstruction (charnley low-friction arthroplasty). S Afr Med J. 1973;47(22):951-957. 

  16. Neumann DA. Ankle and foot. In: Neumann DA ed.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Foundations for rehabilitation. 2nd ed. St Louis, Mosby, 2009. 

  17. Plisky PJ, Gorman PP, Butler RJ, et al. The reliability of an instrumented device for measuring components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N Am J Sports Phys Ther. 2009;4(2):92-99. 

  18. Plisky PJ, Rauh MJ, Kaminski TW, et al. Star excursion balance test as a predictor of lower extremity injury in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s.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6;36(12):911-919. 

  19.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 142-148. 

  20. Rabin A, Kozol Z. Weightbearing and nonweightbearing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Are we measuring the same thing? J Am Podiatr Med Assoc. 2012;102(5):406-411. 

  21. Robinson R, Gribble P. Kinematic predictors of performance on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J Sport Rehabil. 2008;17(4):347-357. 

  22. Salbach NM, Mayo NE, Higgins J, et al. Responsiveness and predictability of gait speed and other disability measures in 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9):1204-1212. 

  23. Shaffer SW, Teyhen DS, Lorenson CL, et al. Y-balance test: A reliability study involving multiple raters. Mil Med. 2013;178(11):1264-1270. http://dx.doi.org/10.7205/MILMED-D-13-00222 

  24. Shin SH, Lee JW, Jeong KY, et al. Assessment of body for dynamic postural balance exercise. J Korean Soc Precis Eng Spring Conference. 2011;11(10):2718-2719. 

  25. Snow RE, Williams KR, Holmes GB Jr. The effects of wearing high heeled shoes on pedal pressure in women. Foot Ankle. 1992;13(2):85-92. 

  26. Son JS, Choi HS, Hwang SJ, et al. Changes of muscle length and roll-over characteristics during high-heel walking. J Korean Soc Precis Eng. 2007;24(12):29-35. 

  27. Wade MG, Jones G. The role of vision and spatial orientation in the maintenance of posture. Phys Ther. 1997;77(6):619-628. 

  28. Wolfson L, Whipple R, Judge J, et al. Training balance and strength in the elderly to improve function. J Am Geriatr Soc. 1993;41(3):341-3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