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미 휴브글로브 주변 삼림생태계에서 불화수소가스 유출 사고에 기인한 식생피해 진단 및 그 피해를 완화시키기 위한 복원 계획
Diagnostic assessment on vegetation damage due to hydrofluoric gas leak accident and restoration planning to mitigate the damage in a forest ecosystem around Hube Globe in Gumi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1, 2015년, pp.45 - 52  

김경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안지홍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임치홍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임윤경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정성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이창석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미의 화학약품 제조업체 휴브글로브에서 불산 유출사고가 발생하고 약 1년 후인 2013년 8월 초 사고 발생 현장 주변에 성립한 식생 피해에 대한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소나무와 스트로브잣나무는 매우 심한 피해, 은행나무, 상수리나무, 리기다소나무, 왕버들, 무궁화 및 배롱나무는 심한 피해, 굴참나무, 참싸리참억새는 중간수준의 피해 그리고 갈참나무, 청미래덩굴, 새, 아까시나무 및 오동은 가벼운 피해를 나타내었다. 우리는 피해 현장 주변에서 피해를 입지 않은 어떤 식물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불소가 대기, 토양 및 물에 오랫동안 남아 생태계의 모든 수준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졌듯이 이 지역에서 지난 해 발생한 불소피해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여천공업단지에서 조사된 결과에 의하면, 식물 잎에 포함된 불소 농도는 비료공장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달라졌고 식생 피해는 그 농도에 비례하는 경향이었다. 이런 점에서 불산 유출사고 현장 주변 생태계에 잔존하는 불소의 제거 및 해독 대책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불소를 불활성화 시킬 수 있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는 돌로마이트의 시비가 그 피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복원계획의 하나로 준비되었다. 그밖에 토양개량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인산염 비료 시비가 복원계획으로 추가되었다. 나아가 우리는 불소피해를 완화시키기 위한 두 번째 대책으로 내성종의 도입을 추천하였다. 불소가스 피해로 고사된 나무들을 대체하여 새로운 숲을 만들기 위한 내성종으로 우리는 갈참나무를 추천하였고, 그 숲이 안정된 내부 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망토군락을 이룰 식물 종으로는 청미래덩굴과 새를 추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investigation on vegetation damage from 5 to 6 August, 2013, about one year after an accident that hydrofluoric acid leaked from a chemical maker, Hube Globe in Gumi. Pinus densiflora and Pinus strobus showed very severe damage. Ginko biloba, Quercus acutissi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study aims to report the results that we diagnosed on the ecosystem around the Hube Globe in Gumi where the hydrofluoric acid leaked before about one year. Furthermore, we also aim to recommend a restoration plan to mitigate the damag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bdallah FB, Elloumi N, Mezghani, Garrec JP, and Boukhrisb M (2006). Industrial fluoride pollution of Jerbi grape leaves and the distribution of F, Ca, Mg, and P in them. Fluoride 39(1), pp. 43-48. 

  2. Baunthiyal M and Ranghar S (2013). Accumulation of fluoride by plants: potential for phytoremediation. Clean - Soil, Air, Water 41(9999), pp. 1-6 

  3. Charlot C and Kisman S (1983). Effects de la pollution fluoree sur la repartition des elements mineraux dans les feuilles et les raciness tuberifiees de radis Raphanus sativa L. Environ Pollut 31, pp. 311-319. 

  4. Domingos M, Klumpp A, Rinaldi MCS, Modesto IFm Klumpp G, and Delitti WBC (2003). Combined effects of air and soil pollution by fluoride emissions on Tibouchina pulchra at Cubatao, SE Brazil, and their relations with aluminum. Plant Soil 249, pp. 279-308. 

  5. George EF (1993). The components of culture media. In: Plant Propagation by Tissue Culture. Part 1: The Technology. 2nd ed (George EF ed) Edington, Westbury, Wilts, UK. 

  6. Gheorghe IF and Ion B (2011). The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vegetation and the role of vegetation in reducing atmospheric pollution. In: The Impact of Air Pollution on Health, Economy,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Sources (Mohamed K ed), ISBN: 978-953-307-528-0, In Tech, Available from: http://www.intechopen.com/books/the-impact-of-air-pollution-on-health-economy-environment-and agricultural-sources/the-effectsof-air-pollutants-on-vegetation-and-the-role-ofvegetation-in-reducing-atmospheric-pollu. 

  7. Gu S, Choi I, Kim W, Sun O, Kim S, and Lee Y (2013).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fluorides in plants and the estimation of ambient concentration of hydrogen fluoride around the area of the accidental release of hydrogen fluoride in Gumi. J. of Environ Health Sci 39(4), pp. 346-353. [Korean Literature with English Abstract] 

  8. Haidouti C, Chronopoulou A, and Chronopoulou P (1993). Effects of fluoride emissions from industry on the fluoride concentration of soils and vegetation. Biochem. Syst. Ecol. 21, pp. 195-208. 

  9. Jacobson JS, Weinstein LH, McCune DC, and Hitchcock AE (1966). The accumulation of fluoride by plants. J. of Air Pollut Control Assoc 16, pp. 412-417. 

  10. Konishi S and Miyamoto S (1983). Alleviation of aluminum stress and stimulation of tea pollen tube growth by fluoride. Plant Soil Physion 24, pp. 857-862. 

  11. Lee CS, Lee KS, Hwangbo JK, You YH, and Kim JH (2004). Selection of tolerant plants and their arrangement to restore a forest ecosystem damaged by air pollution.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56, pp. 251-273. 

  12. Lee CS, Moon JS, and Cho YC (2007). Effects of soil amelioration and tree planting on restoration of an air-pollution damaged forest in south Korea.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79, pp. 239-254. 

  13. Machoy-Mokrynska A (1995). Fluoride-magnesium interaction. Fluoride 28(4), pp. 175-177. 

  14. Mezghani I, Elloumi N, Abdallah FB, Chaieb M, and Boukhris M (2005). Fluoride accumulation by vegetation in the vicinity of a phosphate fertilizer plant in Tunisia. Fluoride 38(1), pp. 69-75. 

  15. Miller GW (1993). The effect of fluoride on higher plants with special emphasison early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disorders. Fluoride 26, pp. 3-22. 

  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1984). Studies on the impact of air pollution on the Plants, NIER, Seoul, 276 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Vike E and Habjorg A (1995). Variation in fluoride content and leaf injury on plants associated with thee aluminium smelters in Norway. Sci Total Environ 163, pp. 25-34. 

  18. Weinstein LH (1977). Fluoride and plant life. J. of Occup Med 19, pp. 49-78. 

  19. Weinstein LH and Davison AW (2003). Native plant species suitable as bioindicators and biomonitors for airborne fluoride. Environ Pollut 124, pp. 3-11. 

  20. Weinstein LH and Davison AW (2004). Fluorides in the Environment: Effects on Plants and Animals. Wallingford, Oxon, U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