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성별에 따른 한부모가계의 경제자원 차이 및 영향 요인 분석
Gender differences and influential factors on economic resources of single-parent household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9 no.4, 2015년, pp.95 - 120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evels of assets and income of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A series of analyses of data from the 2013 Korean Household Finance and Welfare Survey on the economic resources of single-parent households were conducted. One of the major findings was that in a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부모가계의 규모 추정에 인용되는 자료는? 지난 20년 동안 우리사회의 한부모가계 1) 는 꾸준히 늘어났고 앞으로도 조금씩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부모가계의 규모를 추정할 때 빈번 하게 인용되는 자료는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와 인구총조사 자료이다.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 (2012)에 의하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 대비 한부모가계의 비율은 2010년 9.
전체 가구 대비 한부모가계의 비율의 변화는? 7%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인구 총조사 각 년도 자료에 의하면 전체 가구 대비 한부모가계의 비율은 1995년에 5.7%에서 2010년에 6.8%로 나타나 전체 가구 중 한부모가계의 비율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지난 20년 동안 그리고 앞으로 20년간 우리사회에서 한부모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지는 않으나 완만한 증가 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성 한부모가계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여성 한부모가계는 생활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경험하는데 경제적 어려움은 여성한부모 가계의 주요한 문제로 알려져 있다. 남성과 비교하여 여성의 임금수준이 낮은 것,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의 어려움과 선택할 수 있는 일자리의 한계 등은 여성한부모 가계가 경제적으로 취약할 가능성이 높은 사회적 조건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자녀를 양육 하는 여성한부모의 경우 자녀양육과 시장노동을 병행하기 어려운 현실에서 자녀양육에 시간을 할애할 수 있는 일을 택하거나 자녀를 양육하는 기간 동안 시장노동에 참여하지 않게 된다(손서희,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기정.박수선(2013). 저소득 여성한부모가족 사례관리 실천 경험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39-62. 

  2. 고선강(2014). 한부모 가계의 자산과 부채 상태: 남성가구주와 여성가구주 가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93-114. 

  3. 곽민주.이희숙(2003). 재무비율을 이용한 편모가계의 재정상태 평가.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4(1), 55-71. 

  4. 김연우(2012). 한부모가족의 생활실태와 복지 욕구. 보건복지포럼, 187, 50-59. 

  5. 김진욱(2010). 한부모 가구의 빈곤과 소득이전: 양부모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1), 101-125. 

  6. 노정자.강기정(2012). 한부모 이혼 남성의 홀로서기과정.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145-163. 

  7. 문은영(2011).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공공사회연구, 1(2), 135-174. 

  8. 박정윤.원아름(2014). 한부모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개인자원, 가족자원, 발달환경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21-141. 

  9. 배다영.진미정(2011). 한부모의 성별 및 가구 구성별 경제적 여건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5), 1-20. 

  10. 백은영(2009). 라이프사이클에 따른 가계 재무구조와 저축성향 분석. 소비자학연구, 20(2), 1-25. 

  11. 서지원(2013). 한부모가족의 사회적 자원의 삶의 질에 대한 효과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103-124. 

  12. 손서희(2013). 이혼한 여성 한부모의 홀로서기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2), 59-75. 

  13. 손진분.박미려(2007). 한부모 가정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1(3), 45-65. 

  14. 이성림(2004). 편모가계 여성가장의 취업 및 가계의 경제상태: 양부모 가계와의 비교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69-179. 

  15. 이연주.김승권(2011).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편부.편모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 비교: 이혼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4(2), 17-43. 

  16. 이윤금.양세정(1999). 양부모가계와 편모가계의 가계경제구조 비교. 소비자학연구, 10(4), 93-108. 

  17. 조희금.김경신.정민자.송혜림.이승미.성미애.이현아(2010). 건강가정론. 서울 : 신정. 

  18. 진미정.김은정(2005). 빈곤 여성가장 가족의 소득구성과 물질적 곤궁 경험. 사회복지연구, 27, 163-188. 

  19. 통계청(1995, 2000, 2005, 2010). 인구주택총조사. 대전:통계청. 

  20. 통계청(2012). 2010-2035 장래가구추계. 대전:통계청. 

  21. 통계청(2014). 201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대전:통계청. 

  22. Fisher, P.(2010).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 saving behaviors. Journal of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21(1), 14-24. 

  23. Han, W., Huang, C., & Garfinkel, I.(2003). The importance of family structure and family income on family's educational expenditure and children's college attendance: Empirical evidence from Taiwan. Journal of Family Issues, 24(6), 753-786. 

  24. Hanson, T., McLanahan, S., & Thomson, E. (1998). Windows on divorce: Before and after. Social Science Research, 27, 329-349. 

  25. Lyons, A., Neelakantan, U., & Scherpf, E. (2008). Gender and marital differences in wealth and investment decisions. Journal of Personal Finance, 6(4), 57-76. 

  26. Ozawa, M., & Lee, Y.(2006). The net worth of female-headed households: A comparison to other types of households. Family Relations, 55, 132-145. 

  27. Yao, R., & Hanna, S. D.(2005). The effect of gender and marital status on financial risk tolerance. Journal of Personal Finance, 4(1), 66-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