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뇌종양 확산강조영상에서 High B-value의 유용성 평가
Usefulness of the High B-value DWI in Brain Tumor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digital imaging in medicine : KJDIM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17 no.1, 2015년, pp.33 - 41  

김진태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변재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박용성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이래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  황선광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linical usefulness of High b-value DWI (diffusion weighted imaging) for brain tumors with an edema. Subjects were seven patients selected from 65 patients who received an MRI scan for suspected encephalopathy and confirmed diagnosis at our hospital from February 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 T MR 기기를 이용한 b-value 1,000 s/mm이상의 확산강조영상에 대한 연구보고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종 (edema) 이 동반된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High b-value 확산강조영상 (DWI: diffusion weighted imaging) 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뇌종양에 있어서 DWI 는 낭성 병변과 고형 병변을 감별해 내는데 많은 도움을 주지만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는 b-Value 1000 이하의 값은 종양과 부종과의 경계선이 명확히 구별되지 않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b-Value 1000 과 2000, POST CE 영상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로 임상에 적용할 때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확산강조영상이란 무엇인가? 확산강조영상은 경사자장 내에서 조직내의 물 분자의 확산에 따른 신호 감쇄를 영상화하는 기법이다. 확산강조영상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경사자장 외에 매우 강한 한 쌍의 확산강조 경사자장을 추가로 사용한다.
에코평면영상의 장점은 무엇인가? 확산강조영상을 검사하기 위한 파라메터는 경사자장에코 (gradient echo) 의 일부인 에코평면영상 (EPI: echoplanerimage) 과 같은 초고속 영상을 사용한다. 한번의 Pulse 를 가해줌으로써 신속하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좋은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많이 이용하고 있다6). 확산강조영상에서 사용하는 확산강조 경사자장의 세기 정도 인 b-value 는 현재까지1,000 s/mm2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확산강조영상은 어디에 이용되고 있나? 확산강조영상은 급성 뇌 경색의 진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고, 뇌 농양과 중심부 낭성 변이를 동반한 뇌종양의 감별4) 뿐만 아니라 지주막 낭종과 표피양낭의 감별5) 등 두개강내 낭성 종괴의 구별에 도움을 주는 영상진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확산강조영상을 검사하기 위한 파라메터는 경사자장에코 (gradient echo) 의 일부인 에코평면영상 (EPI: echoplanerimage) 과 같은 초고속 영상을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