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도시의 제도적 구성과 운영의 한계 -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을 사례로 -
Limits to the Institutional Formation and Operation for the Network City : A Case Study of Daegu-Gyeongbuk Free Economic Zone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1 no.3, 2015년, pp.461 - 473  

정성훈 (강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정혜윤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교육과 지리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경제자유구역이 지니는 '네트워크 도시'의 제도적 구성과 운영의 한계를 영남권의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을 사례로 서설적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이다. 경제자유구역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법 제도의 특성은 관련 주체들이 다층적이면서도 수직적 또는 수평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지역 주민이 자신들의 재산권을 행사하는 데 있어서 의견수렴 기간이 짧아서, 이로 인한 정책 실패의 개연성도 높을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과 동시에 광역시 도, 기초지자체, 경제자유구역청 간 행정적으로 강한 수직적 거버넌스 성향이 나타난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을 네트워크 도시 특성에서 살펴 볼 때, 계획단계에서 네트워크 도시의 특성을 반영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행단계에서는 단위 지구별로 성과지향형 거점개발 전략을 취하고 있어서 계획과 실행 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의 행정 조직을 개발 중심에서 투자 중심을 거쳐 광역 시 도 중심으로 개편한 점은 계획단계에서 제시한 네트워크 도시 전략으로서의 위상이 운영 단계에서 퇴색하면서 개별 지역주의로 회귀하고 있는 현실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징은 지구 지정, 재지정, 해제를 둘러싼 단위 지구의 변경과정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면서 경제자유구역에 기초한 네트워크 도시의 구성과 운영의 한계를 보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limits to the institutional formation and operation for network city as a case study of Daegu-Gyeongbuk Free Economic Zone (DGFEZ) in the introductory contex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of FEZ in Korea can be characterized by multi-dimensional, vert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0km2 규모의 지구로, 지능형 자동차 부품단지, R&D 센터, 미래형 자동차 테마파크, 부품물류센터, 특성화대학을 유치하여 지능형자동차부품과 같은 첨단 메카트로닉스 중심의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경산시의 경우, 많은 대학교가 입지한 것을 활용하기 위해서 3.92km2 규모의 경산지식산업지구를 개발하며, 기계부품 특화, 그린부품소재, 첨단의료기기 및 메디컬 신소재 산업, 교육연구 관련 기관을 유치하여 교육연구 및 첨단산업이 융합된 첨단지식산업지구를 육성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의 경우 연구중심대학인 포항공과대학, 포스코 중심의 동국제강・연합철강 등 비철산업의 중심인 포항시 내부에 위치하는 곳으로 이를 활용하여 1.
  •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2014년 산업통상자원부는 경제자유구역 1.0 시대(’03∼’12)를 돌아보고 2.0시대(’13∼’22)를 위한 제1차 경제자유구역 기본계획을 수립하면서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제자유구역 개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지식경제자유구역은 경제자유구역의 운영을 지식기반산업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기관 및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개방형 기술혁신을 창출하는 연구개발 거점으로의 성장을 주요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대구경북연구원, 2007).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는 지식기반산업과 관련 네트워크의 육성을 위해 기존 산업단지로 지정된 단위 지구들을 재개발하는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지역에 존재하는 지식기반산업관련 자원들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앞서 지정되었던 경제자유구역들이 새롭게 단위 지구를 개발한 것과 비교해 볼 때,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만이 지니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또 하나의 지구인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는 2.30km2 규모의 지구로, 지능형 자동차 부품단지, R&D 센터, 미래형 자동차 테마파크, 부품물류센터, 특성화대학을 유치하여 지능형자동차부품과 같은 첨단 메카트로닉스 중심의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 영천시의 경우, 주변의 경산, 포항, 울산, 구미의 국내 부품・소재 관련 집적지라는 입지를 활용한 두 개의 단위지구가 위치한다.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는 1.46km2의 규모로 첨단 수송시스템 관련 고부가가치 핵심부품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것이 지구개발의 목적이며, 이와 관련하여 금속기계자동차 부품 제조업, 메카트로닉스 기업을 유치하고자 한다. 또 하나의 지구인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는 2.
  • 1km2/정주지구, 외국인교육기관 및 전문병원)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역의 경우, 동해항과 옥계항, 양양국제공항을 연계한 투자지구를 개발하여 강원도 동해안 지역을 환동해권 경제중심지로 건설하고자 한다. 동해안권은 금속・신소재, 항만물류, 관광레저산업이 주요 유치업종이다.
  • 이 논문의 목적은 네트워크 도시 정부의 구성과 운영의 측면에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지닌 한계점들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3가지 측면에서 사례 지역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서설적 차원에서 한국 경제자유구역이 지니는 ‘네트워크 도시’의 제도적 구성과 운영의 한계를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을 사례로 고찰하였다.
  • 기존 2본부・3부・3실・1관은 그대로 유지하되 기존 8개의 과를 4개과로 축소, 팀을 6개에서 10개로 확대하여 투자유치분야를 대폭 강화하고 전체 조직의 유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경북일보, 2012). 이 외에도 개인별 직무분석 및 조직진단을 통한 조직개편, 목표관리제와 같은 제도를 도입하여 효율적인 조직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경제자유구역개발계획 수립과 변경에 관한 것이다. 이 역시도 경제자유구역 지정만큼이나 중요한 사안인데, 경제자유구역개발계획 수립은 시・도에서 작성하여 제출하지만, 변경은 중앙정부, 광역시・도나 심지어 개발사업시행자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3년 이후 참여정부가 시행한 국가 및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수단 중, 대표적인 것은? 2003년 이후 참여정부가 시행한 국가 및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수단 중 대표적인 것으로 경제자유구역1) 정책을 들 수 있다. 이 정책은 지역혁신정책이나 지역산업 클러스터 정책과는 달리 산업발전의 측면에서 기존에 상이한 공간 규모, 즉, 동북아 구상, 국가 경쟁력, 경제자유구역이 위치한 해당 지역의 경쟁력 간 최적 결합이라는 야심을 갖고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은 어떤 곳인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은 총 면적 77.7km2의 규모로, 광양(13.6km2/물류기능), 율촌(27.8km2/생산기능), 신덕(14.1km2/지원기능), 화양(9.9km2/관광・휴양기능), 하동(12.2km2/생산・지원기능) 등 5개 지역, 21개 단위지구로 이루어져 있으며(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청 홈페이지), 주로 석유화학소재, 철강연관(선박부분품, 해양플랜트), 항만물류업이 중점유치업종이다.
경제자유구역1) 정책의 의의는? 2003년 이후 참여정부가 시행한 국가 및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수단 중 대표적인 것으로 경제자유구역1) 정책을 들 수 있다. 이 정책은 지역혁신정책이나 지역산업 클러스터 정책과는 달리 산업발전의 측면에서 기존에 상이한 공간 규모, 즉, 동북아 구상, 국가 경쟁력, 경제자유구역이 위치한 해당 지역의 경쟁력 간 최적 결합이라는 야심을 갖고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산업 경쟁력이 지니는 공간적 규모를 주로 국가에 초점을 두어 왔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국가와 지역 간 산업 경쟁력이 조화를 이루기 어렵다는 회의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