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단기법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타액은 의학과 치의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진단 샘플로서의 가능성이 있다. 타액은 혈장과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단순하고 비 침습적이며 큰 집단의 검사 시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샘플 채취 시 감염의 위험이 극히 적고, 임상적으로 샘플 채취가 어려운 어린이나 장애인, 불안한 환자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종설은 타액의 진단적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최근의 연구에 대한 요약을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rapid advancements in detection technologies, saliva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first-line diagnostic sample of choice in the fields of medicine and dentistry. Saliva has many useful advantages to serum. Simple, non-invasive and cost-effective approaches can be made possible for the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이 연구에서는 타액선 생리와 함께타액선과 관련한 기초연구를 살펴보고, 임상활용을 위하여 의료현장에서 전신질환 및 구강질환의 조기발견 및 질병 예측지표로서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기존의 진단법과 함께 타액진단과 관련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정리하여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액을 이용한 진단기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분자생물학적 분석기법의 발달로 이전에는 분석할 수 없었던 액체 내 미량 무기물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진 것을 계기로 여러 분야의 연구에서 분석관련 기술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타액을 이용한 진단 기술은 종래의 혈액을 분석하는 방법에 비하여 비침습적이고 간편하며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구강질환의 진단(예.
타액이란 무엇인가? 타액은 사람의 치아와 구강점막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특수한 인체 내 분비물의 일종으로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 등 3쌍의 대타액선과 소타액선 및 치은열구액으로 구성된다. 대타액선이 타액분비의 90%이상을 담당하고, 구강저와 뺨, 입술 안쪽 등에 수 많은 소타액선이 분포한다.
구강 내 타액 부족으로 인한 건조증은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이외에도 여러 가지 기능이 있으나 상당부분이 보호기능이다. 생리적 또는 병적으로 구강건조증(xerostomia)을 보이는 환자는 음식물을 씹거나 삼키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발음이나 미각이상, 구강점막의 궤양과 구내감염, 치아우식증 등이 발생하기 쉽다. 소아 청소년의 경우에는 전신질환(백혈병 등)이나 기타 악성종양으로 항암치료나 두경부 방사선 치료를 진행할 경우에도 연령과 상관없이 구강건조가 나타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lavkin HC : Toward molecularly based diagnostics for the oral cavity. J Am Dent Assoc, 129:1138-1143, 1998. 

  2. Tabak LA : Arevolution in biomedical assessment:the development of salivary diagnostics. J Dent Educ, 65:1335-1339, 2001. 

  3. Gupta S : Salivary Diagnostics-an Insight-Saliva as a diagnostic tool LAP LAMBERT Academic Publishing, 2012. 

  4. Kaufman E, Lamster IB : The diagnostic applications of Saliva-a review. Crit Rev Oral Biol Med, 13:197-212, 2002. 

  5. Edgar M, Dawes C, O'Mullane D : Saliva and Oral Health-An essential overview for the health professional. 3rd ed. BDJ books, 2004. 

  6. Schwarzenbach H, Hoon Dave SB, Pantel K : Cellfree nucleic acids as biomarkers in cancer patients. Nature Reviews Cancer, 11:426-437, 2011. 

  7. Melvin JE, Yule D, Shuttleworth T, Begenisich T : Regulation of fluid and electrolyte secretion in salivary gland acinar cells. Annu Rev Physiol, 67:445-469, 2005. 

  8. Wong David T : Salivary Diagnostics. pp. 14-15 Wiley-Blackwell 2008. 

  9. Hector MP, Linden RWA : Reflexes of salivary secretion. In Garret JR, Ekstrom J, Anderson LC(Eds) Neural Mechanisms of Salivary Gland Secretion, pp 196-217. Basel:Karger, 1999. 

  10. Turner RJ, Sugiya H : Understanding salivary fluid and protein secretion. Oral Dis, 8:3-11, 2002. 

  11. Fujita-Yoshigaki J : Divergence and convergence in regulated exostosis: the characteristics of cAMPdependent enzyme secretion of parotid salivary acinar cells. Cell Signal, 10:371-375, 1998. 

  12. Loo DD, Wright EM, Zeuthen T : Water pumps. J Physiol, 542(Pt I):53-60, 2002. 

  13. Agre P, King P, Landon S, et al. : Aquaporin water channels-from atomic structure to clinical medicine. J Physiol, 542(Pt I): 3-16, 2002. 

  14. Nieuw Amerongen AV, Bolscher JGM, Veerman ECI : Salivary mucins-protective functions in relation to their diversity. Glycobiology, 5:733-740, 1995. 

  15. Tabak LA : In defense of the oral cavity-structure, biosynthesis, and function of salivary mucins. Annu Rev Physiol, 57:547-564, 1995. 

  16. Dinwiddie R : Pathogenesis of lung disease in cystic fibrosis. Respiration, 67:3-8, 2000. 

  17. Patinen P, Bjorksten F, Malmstrom M, et al. : Salivary and serum IgA antigliadin antibodies in dermatitis herpetiformis. Eur J Oral Sci, 103:280-284, 1995. 

  18. Daniels TE, Fox PC : Salivary and oral components of Sjogren's syndrome. Rheum Dis Clin North Am, 18:571-589, 1992. 

  19. Dodds MWJ, Johnson DA , Yeh C : Health benefits of saliva-a review. J Dent, 33:223-233, 2005. 

  20. Rosen L, Rydberg A, Sjostrom I, Stecksen-Blicks C : Saliva profiles in children using heart failure medication:a pilot study, Eur Arch Paediatr Dent, 11:262, 2010. 

  21. Li Y, St John MA, Zhou X, et al. : Salivary transcriptome diagnostics for oral cancer detection, Clin Cancer Res, 10:8442-50, 2004. 

  22. Tiwari SK, Khan AA, Ahmed KS, et al. : Rapid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dyspeptic patients using salivary secretion: a non-invasive approach. Singapore Med J, 46:224-228, 2005. 

  23. van der Eijk AA, Niesters HG, Gotz HM, et al. : Paired measurements of quantitative hepatitis B virus DNA in saliva and serum of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implications for saliva as infectious agent. J Clin Virol, 29:92-4, 2004. 

  24. Ikuta K, Satoh Y, Hoshikawa Y, Sairenji T : Detection of Epstein-Barr virus in salivas and throat washings in healthy adults and children. Microbes Infect, 2:115-120, 2000. 

  25. Spicher VM, Bouvier P, Schlegel-Haueter SE, et al. : Epidemiology of herpes simplex virus in children by detection of specific antibodies in saliva. Pediatr Infect Dis J, 20:265-72, 2001. 

  26. El-Guebaly N, Davidson WJ, Sures HA, Griffin W : The monitoring of saliva drug levels: psychiatric applications. Can J Psychiatry, 26:43-48, 1981. 

  27. Takahashi T, Fujiwara Y, Sumiyoshi H, et al. : Salivary drug monitoring of irinotecan and its active metabolite in cancer patients. Cancer chemother Pharmacol, 40:449-452, 1997. 

  28. McColl KEL, Whiting B, Moore MR, Goldberg A : Correlation of Ethanol concentrations of blood and saliva. Clin Sci, 56:283-286, 1979. 

  29. Larmas M : Saliva and dental caries: diagnostic tests for normal dental practice. Int Dent J, 42:199-208, 1992. 

  30. Kim JG, Kim YS, Baik BJ, Yang YM : Relationship between salivary caries related tests and dental caries experience in Korean dental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32:67-74, 2005. 

  31. Chang HS, Cho WS, Choi BJ, et al. :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aliva to be linked to the multiple caries in children. J Korean Acad Pediatr Dent, 25:691-703, 1998. 

  32. Kaufman E, Lamster IB : Analysis of saliva for periodontal diagnosis-a review. J Clin Periodontol, 27:453-65, 2000. 

  33. Battino M, Ferreiro MS, Gallardo I, et al. : The antioxidant capacity of saliva. J Clin Periodontol, 29:189-194, 2002. 

  34. Tulunoglu O, Demirtas S, Tulunoglu I : Total antioxidant levels of saliva in children related to caries, age, and gender. Int J Paediatr Dent, 16:186-191, 2006. 

  35. Kumar D, Pandey RK, Agrawal D, Agrawal D : An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saliva in children with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Int J Paediatr Dent, 21:456-464, 2011. 

  36. Christodoulides N, Floriano PN, Acosta SA, et al. : Toward the development of a lab-on-a-chip dualfunction leukocyte and C-reactive protein analysis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inflammation and cardiac risk. Clin Chem, 51:2391-5, 2005. 

  37. Lloyd JE, Broughton A, Selby C : Salivary creatinine assays as a potential screen for renal disease. Ann Clin Biochem, 33(Pt 5):428-431, 1996. 

  38. Walt DR, Blicharz TM, Hayman RB, et al. : Microsensor arrays for saliva diagnostics. Ann N Y Acad Sci, 1098:389-400, 2007. 

  39. Streckfus CF, Bigler LR : Saliva as a diagnostic fluid. Oral Dis, 8:69-76, 2002. 

  40. Bosch JA : The use of saliva markers in psychobiology: mecanisms and methods. Monogr Oral Sci, 24:99-108, 2014. 

  41. Bailey B, Klein J, Koren G : Noninvasive methods for drug measurement in pediatrics. Pediatr Clin North Am, 44:15-26,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