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지역 내방수제 착공 이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류군
Taxonomic Group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fter the Commencement of the Construction of a Waterproofing Dike in Saemangeum Reg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1, 2015년, pp.895 - 899  

여환구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만금수역 내부의 방수제 착공시점(2011년)으로부터 2013년까지 새만금 수역을 담수역, 하구역, 만경호와 동진호 수역, 방조제 밖 외해역 등 4개의 수역으로 나누어 연 4회씩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하였다. 2011년 조사(3월, 6월, 9월, 11월)에서는 각 시기별로 48-59종씩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만경호 및 동진호 수역에서 6월의 결과는 담수종이 우세하였으나 9월에는 담수종과 해수종의 공존이 관찰되었다. 2012년 조사(4월, 6월, 9월, 11월)에서는 각 시기별로 45-65종이 출현하였고 9월에 가장 다양하였는데 그 원인은 담수정점들을 중심으로 남조류의 출현종수가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결과였다. 2013년 조사(3월, 6월, 9월, 11월)는 56-69종이 출현하여 연구수역은 최근으로 오면서 오히려 출현종수는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6월의 결과에서 최대 출현종수를 보였는데 해수영향을 받는 곳에서는 와편모조류 출현종의 증가, 그리고 담수역에서는 남조류와 녹조류 출현종의 증가에 의한 결과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of 4 regions, fresh water sites, estuary, Mankyeong and Dongjin lake and offshore regions, 4 times a year from 2011 to 2013. The number of species were 48-59 in 2011 (March, June, September, and November). From Mankyeong and Dongjin lake, f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새만금 방조제가 준공되고 내방수제가 착공된 2011년 이후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성을 조사하였다. 차후 현존량과 우점종 및 여러 생태지수를 통한 복합적 연구로 이어지기 위한 전단계로서 군집구성의 주요 분류군별 출현종의 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공 직후, 만경대교 인근 식물플랑크톤의 변화는? 김 등[1]은 만경강 하구역에서 새만금방조제 공사 이전의 조사결과(1999~2000년)로 반일주조 조석연동에 의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변화와 뚜렷한 계절주기의 변동을 보고한 바 있다. 장 등[4]은 새만금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공 직후(2006~2007년), 만경대교 인근 고정 정점에서 조사한 결과로 그 이전의 연구들에 비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출현종수는 감소하고 현존량은 증가하는 추세라고 보고하였다.
새만금호 수질악화의 원인은? 새만금호는 인근에 공단이 위치하고 있어서 만경강 및 동진강으로부터 부영양화된 담수가 유입되고 그에 따른 수질 악화가 진행 중이다[2]. 한편, 방조제 물막이 공사 완공 직후에 연구된 결과를 보면 새만금 수역의 수질이 담수와 해수의 혼합으로 지속적인 변화를 하고 있다.
2001년~2010년 동안, 새만금호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을 모니터링한 결과는? 그 결과, 시공간적으로 다변하는 본 연구 수역을 하천과 인공호수 그리고 해역으로 구분하여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새만금호로 유입되는 하천수 정점들에서는 잦은 녹조의 발생을 보고했으며 만경호와 동진호 예정 수역은 담수 및 해수의 유입량 변화와 계절 변화에 기인하여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급변함을 보고한 바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Y. G. Kim, J. W. Park, K. G. Jang, W. Yih, "Cyclic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mankyeong River Estuary Prior to the Completion of the Saemankeum Seawall", Ocean Polar Res.., Vol. 31, No. 1, pp. 63-70, 2009. DOI: http://dx.doi.org/10.4217/OPR.2009.31.1.063 

  2. C. H. Choi, S. W. Jung, S. M. Yun, S. H. Kim, J. G. Park,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aemangeum Artificial Lake, South Korea between 2006 and 2009", Korean J. Environ. Biol., Vol. 31, No. 3, pp. 213-224, 2013. DOI: http://dx.doi.org/10.11626/KJEB.2013.31.3.213 

  3. S. H. Kim, "The Water Chemistry of Saemangeum Area with Respect to Seawater-Freshwater Mixing Process", Master Thesis of Kunsan National Univ., 2007. 

  4. K. G. Jang, J. W. Park, J. H. Park, N. Ha, W. Yih, "Drastic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t the Station 'Mankyeong Bridge' of the New Saemangeum Lake during 2006-2007", Ocean Polar Res., Vol. 31, No. 1, pp. 71-76, 2009 DOI: http://dx.doi.org/10.4217/OPR.2009.31.1.071 

  5. H. G. Yeo, "Phytoplankton Community and Phytohydr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Saemangeum Reservoi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0, No. 8, pp. 2021-2025, 2009. DOI: http://dx.doi.org/10.5762/KAIS.2009.10.8.2021 

  6. H. G. Yeo, "Diversity of Planktonic Micro Algae in Saemangeum Water Regio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1, No. 9, pp. 3610-3614, 2010.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0.11.9.3610 

  7. H. G. Yeo, "Annual Variations(2001-2010) of Phytoplankton Standing Stocks in Saemangeum Water Rig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9, pp. 4326-4333,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9.4326 

  8.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Environmental Impact Report on Saemangeum Project", 2010. 

  9. H. G. Marshall, R. V. Lacouture, C. Buchanan, J. M. Johnson, "Phytoplankton Assemblages Associated with Water quality and Salinity Region in Chesapeake Bay, USA", Estuar. Coast. Shelf. Sci., Vol. 69, pp. 10-18, 2006. DOI: http://dx.doi.org/10.1016/j.ecss.2006.03.019 

  10. J. H. Shim, Y. K. Shin, H. G. Yeo, "Abiotic Environment and Primary Producer of Estuarine Pelagic Ecosystem in the Lower Water of the Mankyung River and Dongjin River. I.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J. Oceanol. Soc. Korea, Vol. 26, No. 2, pp. 155-168,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