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노르웨이의 선망어업 현황 및 생산구조 비교
Comparison of Production Structure of Purse Seine Fishery in Korea and Norway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7 no.1 = no.73, 2015년, pp.308 - 318  

김대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present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on structure of Korean large purse seine fishery by comparing to the production structure of Norwegian purse seine fishery. 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노르웨이 선망어업의 경영성과 자료를 입수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각국이 발표한 자료와 현지조사 시 수집한 것을 토대로 정성적 측면에서 양국의 선망어업을 비교하였다.
  • 다음으로 우리나라와 노르웨이 선망어업의 생산구조를 생산방식, 생산성, 경영성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대형선망어업의 생산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한 산업에 대한 경쟁력 분석은 생산성, 수익성, 무역성과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어업규모가 가장 큰 대형선망어업을 대상으로 노르웨이 근해선망어업과의 생산구조를 비교․분석하여 생산구조의 개선방향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근해선망어선에서 어획된 고등어는 온라인 전자경매를 통해 어업인에서 구매자에게 전달된다. 생산자들은 어장 위치, 어종, 어획량, 평균 크기, 입찰 가능지역 등 경매에 필요한 정보를 청어협회에 유무선으로 보고한다. 청어협회는 어업인으로부터 어획보고를 접수하여 구매자들이 입찰에 참가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경매에 필요한 정보를 공지한다.
  • 이러한 인식 하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해어업 중에서 자본제화가 가장 진전되어 있고, 고등어 등의 부어류를 대량 생산하는 대형선망어업을 대상으로 생산구조의 개선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현재 대형선망어업은 부어류의 자원변동에 따른 생산 불안정성, 선단조업에 의한 고비용·저효율성, 전근대적인 양륙시스템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Kim, 200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형선망어업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인식 하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해어업 중에서 자본제화가 가장 진전되어 있고, 고등어 등의 부어류를 대량 생산하는 대형선망어업을 대상으로 생산구조의 개선방향을 검토한 것이다. 현재 대형선망어업은 부어류의 자원변동에 따른 생산 불안정성, 선단조업에 의한 고비용·저효율성, 전근대적인 양륙시스템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Kim, 2009). 또한 국내 수산물 시장 개방에 따라 고등어 수입이 증가하여 국내산 고등어의 시장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근해어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고비용 양적 확대를 지양하여 저비용 질적 개선을 중시한 어업구조로 재편이 필요한 이유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근해어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고비용 양적 확대를 지양하여 저비용 질적 개선을 중시한 어업구조로 재편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현재의 어장 축소, 자원 감소, 비용 상승 등의 상황에서 과거와 같이 대량 어획을 기반으로 한 수익성 확보가 더 이상 쉽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근해어업은 어떠한 이유로 경영 여건이 악화되어 있는가? 우리나라 근해어업은 1990년대 중반 이후 EEZ 체제 정착에 따른 어장 축소와 과도한 어획노력 투하에 의한 수산자원의 감소, 어업인력의 고령화, 수산물 시장개방의 가속화 등으로 경영 여건이 악화되어 있다. 이에 더해 한정된 어장과 자원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어선규모와 기관 마력을 높인 결과 고비용 구조가 고착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Directorate of Fisheries(2012). Norwegian Fishing Vessels, Fishermen and Licenses. 

  2. Directorate of Fisheries(2012). Profitability Survey on the Norwegian Fishing Fleet. 

  3. Japanes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Finance Corporation. The industry now-response of reconstruction project of the purse seine fishery(www.jfa.maff.go.jp/j/enoki/gyosen). 

  4. Japan's Fisheries Agency. fishing vessels and method structural reform comprehensive measures business, purse seine cooperative regional project reform plan(www.afc.go.jp). 

  5. Kim, Dae-Young(2009). The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Large Purse Seine Fisheries in Korea, Journal of Fishier and Marin Educational Research 18(2), 142-144. 

  6. Kim, Dae-Young(2009). Promoting urgently management improvement for a large purse seine, Korea Maritime Institute, KMI Fisheries trends, Aug. 914. 

  7. Kim, Dae-Young(2012). A Study on the Impact of Immature and Small Sized Fishes on the Fish Stocks and Supply and Demand,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51-64. 

  8. Kim, Jeong-Bong et. al.(2010). A Study on Strategies for an Advanced Korean Fisheries Industry, KMI, 80-131. 

  9. Nam, Jong-Ho, Lee, Chang-Soo, Kim, Soo-Hyun(2009). A Study on the Norwegian Individual Vessel Quota System, Ocean Policy Research Vol. 24, No. 1, 133-179. 

  10. Norwegian Seafood Council(www.seafood.no/). 

  11. Norwegian Ministry of Fisheries and Coastal Affairs(www.fisheries.no/). 

  12. Statistics Norway(www.ssb.no/english). 

  13. Shin, Young-Tae et. al.(2009), A Basic Study to Advance Korea's Fisheries Industry, Korea Maritime Institute, 250-252. 

  14. Statistics Norway(www.ssb.no/english).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