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머 굽힘센서를 이용한 손의 형상 추정과 로봇 팔 제어 연구
Shape-Estimation of Human Hand Using Polymer Flex Sensor and Study of Its Application to Control Robot Arm 원문보기

비파괴검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35 no.1, 2015년, pp.68 - 72  

이진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김대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음파 로봇 검사시스템은 발전설비 등 상시감시가 요구되는 구조물의 감시를 위해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비의 구조물은 형상과 구조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단순한 패턴으로 이동과 검사가 가능한 로봇으로는 상시감시에 한계를 가지게 된다. 복잡한 구조물의 정밀검사는 정교한 행동이 가능한 로봇 시스템이 필요하다. 로봇의 제어를 초음파검사 작업자의 손의 형상에 따라 직관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면 보다 정밀한 검사 로봇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머 굽힘센서는 대변형의 측정이 가능하고 곡면에 적용성이 높아 최근 인체 형상 측정 및 재활보조 등 다양한 활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상시감시를 위한 초음파검사 로봇이 작업자의 손동작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직관적 제어를 위해 폴리머 굽힘센서를 이용하여 사람 손의 형상 감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수의 센서를 적용하여 손의 다양한 움직임을 추정하고 실험적 검증을 통해 사람 손의 형상에 따른 직관적 로봇의 제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ltrasonic inspection robot systems have been widely researched and developed for the real-time monitoring of structures such as power plants. However, an inspection robot that is operated in a simple pattern has limitations in its application to various structures in a plant facility because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검사자의 손의 형상에 따른 폴리머 굽힘 센서의 신호 변화를 측정하고 손의 변형과 움직임을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손의 형상과 움직임을 기반으로 로봇의 팔이 직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로봇의 제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바탕으로 굽힘센서 신호 특성을 확인하여 손의 형상을 실시간으로 추정하고 제어를 위한 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 폴리머 센서는 긴 길이와 대변형이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변형을 곡률뿐만 아니라 변형되는 길이에 따른 신호 특성의 확인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센서의 변형이 일정한 곡률로 발생할 수 있도록 아크릴 배관을 이용하여 배관의 표면에 센서를 접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굽힘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손의 형상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파괴검사 로봇의 직관적 제어를 위한 제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폴리머 굽힘센서의 신호 특성에 대한 기초연구 결과 굽힘센서가 원호에 따라 변형될 때 원의 반경과 호가 발생되는 길이에 따른 전압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손의 형상 변화를 실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 굽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손의 형상과 움직임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로봇의 팔을 제어하는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즉 검사자의 손의 형상에 따른 폴리머 굽힘 센서의 신호 변화를 측정하고 손의 변형과 움직임을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음파 로봇 검사시스템의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초음파 로봇 검사시스템은 발전설비 등 상시감시가 요구되는 구조물의 감시를 위해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비의 구조물은 형상과 구조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단순한 패턴으로 이동과 검사가 가능한 로봇으로는 상시감시에 한계를 가지게 된다.
로봇 검사 시스템에서 스캐닝방법이 적용되는 이유는? 로봇 검사 시스템은 작업자의 접근한계 지역에 적용이 가능하여 상시감시에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로봇의 경우 일정한 움직임만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물의 검사 및 적용에 한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로봇을 이용한 검사는 대부분 정량적 결함평가나 검사보다 구조물의 결함 유무를 우선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스캐닝(scanning) .
복잡한 구조물의 정밀검사에는 무엇이 필요한가? 그러나 이러한 설비의 구조물은 형상과 구조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여 단순한 패턴으로 이동과 검사가 가능한 로봇으로는 상시감시에 한계를 가지게 된다. 복잡한 구조물의 정밀검사는 정교한 행동이 가능한 로봇 시스템이 필요하다. 로봇의 제어를 초음파검사 작업자의 손의 형상에 따라 직관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면 보다 정밀한 검사 로봇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R. Murayama, S. Makiyama, M. Kodama and Y. Taniguchi, "Development of an ultrasonic inspection robot using an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 for a Lamb wave and an SH-plate wave," Ultrasonics, Vol. 42, pp. 825-829 (2004) 

  2. J.-H. Lee, S.-J. Lim, I.-K. Park and D.-H. Kim, "Development of automated ultrasonic testing system for partial joint-weld of heat exchanger's header to tube in power pl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30, No. 4, pp. 367-372 (2010) 

  3. J.-H. Lee, S. Han, J. Ahn, D.-H. Kim and H. Moon, "Two-module robotic pipe inspection system with EMATs,"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Vol. 13, No. 6, pp. 1041-1063 (2014) 

  4. G.-S. Kim, "Design of a Three-Axis Force Sensor for Wrist Bending-Exercise Rehabilitation Robot,"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2, No. 2, pp. 118-123 (2013) 

  5. H.-Y. Kim, J.-H. Lee and D.-H. Kim, "Muscla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34, No. 5, pp. 362-368 (2014) 

  6. G. Orengo, L. Sbernini, N. D. Lorenzo, A. Lagati and G. Saggio, "Curvature characterization of flex sensors for human posture recognition," Universal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Vol 1, No. 1, pp. 10-15 (2013) 

  7. http://www.spectrasymbol.com/flex-senso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