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반도에서 산출된 화석목재의 다양성
Diversity of Fossil W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1, 2015년, pp.51 - 58  

김종헌 (공주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화석목재의 개요와 고식물학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를 통하여 이들을 종합하였다. 한반도에서 보고된 화석목재는 중생대에서 신생대로 갈수록 종수와 다양성이 증가하며 특히 신생대에 급증했다. 전기 중생대에서는 구과류 4속 6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이것은 대동식물군의 약 6%에 해당한다. 후기 중생대의 화석목재는 모두 구과류이며 총 7속 15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이것은 낙동식물군의 약 29%에 해당한다. 신제3기의 화석목재는 16과 21속에 속하는 35분류군이 기재되었는데 대부분이 쌍자엽식물이고 다른 시대에 비하여 다양성이 가장 크다. 이것은 장기식물군의 약 83%에 해당한다. 신제3기에 화석목재가 급증한 이유는 식물군의 구성이 쌍자엽식물이 많고, 화석층에 목재 화석화에 적합한 화산쇄설암이 풍부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broad outline and palaeobotanical significances, the fossil woods from the Korean Peninsula were integrat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s. Types and diversity of them are gradually increasing from Mesozoic to Cenozoic, especially increased sharply in Cenozoic. Duri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로 현재까지 한반도의 각 시대별 지층에서 보고된 화석목재를 분석하여 다양성을 알아보고, 둘째로 각 시대별로 알려진 식물군과 비교해서 화석목재로 보존된 비율을 알아보며, 셋째로 이들 화석의 보존 특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접선단면은 방사단면에 직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으로 방사계의 횡단면을 관찰하여 그 폭과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고생대층에서 신생대층에 이르기까지 모든 시대의 지층에서 산출된 화석목재의 분류군을 문헌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무의 횡단면을 통해서 관찰할 수 있는 정보는? 화석목재는 횡단면, 방사단면 및 접선단면으로 자른 박편을 광학현미경으로 목재해부학적 특징을 관찰하여 일반적으로 속 수준까지 분류한다. 횡단면은 나무의 축에 직각이 되도록 잘라낸 단면이고, 횡단면에서 나타나는 표본의 거시적인 나이테의 측정뿐 아니라 형성층과 춘재 및 추재에 나타나는 가도관 세포의 형태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도관에 의한 관공(pores)의 유무로 겉씨식물(나자식물)과 속씨식물(피자식물)로 구분할 수 있다.
신제3기에 화석목재가 급증한 이유는? 이것은 장기식물군의 약 83%에 해당한다. 신제3기에 화석목재가 급증한 이유는 식물군의 구성이 쌍자엽식물이 많고, 화석층에 목재 화석화에 적합한 화산쇄설암이 풍부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화석목재가 많은 식물학자와 고생물학자의 관심을 끌고 연구된 이유는? 화석목재는 목재의 해부학적 구조가 잘 보존되는 경우가 많고 이를 통해 목재의 수종을 비교적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과거의 식생, 고기후 및고환경 등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며, 각 시대의 지층에서 그리고 세계의 곳곳에서 산출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식물학자와 고생물학자들의 관심을 오랫동안 끌어왔고, 그들에 의하여 1세기 이상 연구되어왔다(Buurman, 197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Buurman, P., 1972, Mineralization of fossil wood. Scripta Geologica, 12, 1-43. 

  2. Cheong, C.H. and Paek, K.H., 1992, Study on the tree ferns of Keummubong fossil cite. In Geological Society of Korea (ed.), Report of the Natural monuments and dinosaur foot prints. Geological Society of Korea, Seoul, Korea, 3-41. (in Korean) 

  3. Chough, S.K., and Sohn, Y.K., 201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a Cretaceous continental arcbackarc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New view. Earth-Science Review, 101, 225-240. 

  4. Felix, J., 1887, Untersuchungen uber fossile Holzer 1. Holz von Phyongyang in Korea. Zeitschrift der Deutschen Geologischen Gesellschaft, 39, 517-528. 

  5. Gottsche, O.C., 1886, Geologische Skizze von Korea, Won. Preuss.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e Berlin, 1, 83-105. 

  6. Huzioka, K., 1972, The Tertiary flora of Korea. Journal of Mining College Akita University, Series A, 5, 73-103. 

  7. Im, D.B., Ko, K.S., and Im, U.K.(translation), 1983, Anatomy of seed plants. Useong, Seoul, Korea, 541 p. (in Korean) 

  8. Im, J.H., Shim, S.H., Choo, C.O, Jang, Y.D., and Lee, J.S., 2012, Volcanological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 of charcoals of the Nari Formation in Nari Caldera, Ulleung Island, Korea. Geosciences Journal, 16, 105-114. 

  9. Jeong, E.K., 2003, Fossil woods flora of Tertiary Janggi Group, Korean Peninsula.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73 p. 

  10. Jeong, E.K., 2009, The comparison of the Miocene fossil wood floras between Korea and Japan. Ph.D. Thesis, Tohoku University, Sendai, Japan, 175 p. 

  11. Jeong, E.K., Kim, K., Kim, J.-H., and Suzuki, M., 2003, Comparison of Korea and Japanese Tertiary fossil floras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genus Wataria. Geosciences Journal, 7, 157-161. 

  12. Jeong E.K., Kim, K., Kim, J.-H., and Suzuki, M., 2004, Fossil woods from Janggi Group (Early Miocene) in Pohang Basin, Korea. Journal of plant Research, 11, 183-189. 

  13. Jeong, E. K., Kim, K., Suzuki, M. and Kim, J.W., 2009, Foosil Woods from the Lower Coal-bearing Formation of the Janggi Group (Early Miocene) in the Pohang Basin, Korea. Review of Paleonbotany and Palynology, 153, 124-138. 

  14. Jeong, E.K., Kim, K., Uemura, K., Paik, I.S., and Kim, H.J., 2010, Leaf architecture and Morphotypes of Ulmaceous fossil plants from the Geumgwangdong Formation of the Janggi Group in Pohang City, Korea. Journal of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6, 271-289. (in Korean) 

  15. Jeong, E. K., Kim, K., Paik, I.S., and Kim, H.J., 2011, Firstly reported Reevesia (Malvaceae) fossil woods from the Eoil Casin (Gampo area) in Gyeongju, Korea.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7, 199-204. (in Korean) 

  16. Jeong, E.K., Kim, K., Paik, I.S., and Lim, J.D., 2013, Miocene Tilia (Malvaceae) woods in Korea: Including a new taxon. Geosciences Journal, 17, 249-254. 

  17. Jeong, E.K., Oh, C., Kim, K., Paik, I.S., Philippe, M., Kim, H.J. and Lim, J.-D., 2014, Co-occurrence of Xenoxylon meisteri Palib. et Jarm. and fossil tree ferns within the Lower Cretaceous Nakdong Formation at Mt. Geummubong, Korea and its palaeoclimatic implications. Cretaceous Research, 50, 120-125. 

  18. Kim, J.-H., 1993, Fossil plants from the Lower Mesozoic Daedong Supergroup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ir phytogeographical and paleogeographical significance in East and Southeast Asia. Ph. D. thesis, Kyushu University, Hukuoka, Japan, 315 p, pls. 1-36. 

  19. Kim, J.-H., 2008, The mode of occurrence and composing minerals of petrified woods from the Tertiary Deposit of Pohang Basin in Korea. Journal of the Earth Science Society, 29, 531-538. (in Korean) 

  20. Kim, J.-H., 2009, New occurrence of Cupressinocladus sp. from the Lower Cretaceous Jinju Formation, Shindong Group, Korea. Journal of the Earth Science Society, 30, 605-610. 

  21. Kim, J.-H. and Choi, S.-I., 2008, Discussion on the Metasequoia fossils from the Miocene Keumkwandong Formation of the Janggi Group, Korea. Journal of the Earth Science Society, 29, 319-327. (in Korean) 

  22. Kim, K., Jeong, E.K., Suzuki, M., Huh, N., and Paek, I.S., 2002, Some coniferous fossil woods from the Cretaceous of Korea. Geosciences Journal, 6, 131-140. 

  23. Kim, K., Jeong, E.K., Kim, J.-H., Paek, S.D., Suzuki, M., and Philippe M., 2005, Coniferous fossil woods from the Jogyeri Formation (Upper Triassic) of the Nampo Group, Korea. IAWA Journal, 26, 253-265. 

  24. Kim, K., Jeong, E.K., Yun, B.-Y., and Lee, J.D., 2008, New record of fossil woods from the Janggi Group in Pohang,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4, 135-147. 

  25. Kimura, T. and Kim, B.K., 1984, General review on the Daedong flora, Korea. Bulletin of Tokyo Gakugei University, 36, 201-236. (in Japanese) 

  26. Lee, K.-J., and Yang, S.-Y., 2006, Fossil woods from the Lower part of Gyeongsang Group,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2, 263-280. 

  27. Leo, R. F. and Barghoorn, E. S., 1976, Silicification of Wood. Botanical Museum Leaflet Harvard University, 25, 1-47. 

  28. Lim, J.-D., Jeong, E.K., Kim, K., Suzuki, M., Paik, I.S., and Kim, H.-M., 2010, Miocene woods of the Janggi Basin in Korea: Implications for paleofloral changes. Geosciences Journal, 14, 11-22. 

  29. Maejima, S., 1935, Geology of Phyongyang (Preliminary Report). Chikyu, 24, 81-89, pl. 2. (in Japanese) 

  30. Nakamura, S., Matsushita, S., Kobatake, N., and Ikebe, N., 1957, Studies on the geologic structure of the Phyongyang Coal Field, Korea. Memories of the College of Science, University of Kyoto, Series B, 23, Special Number, 1-63. 

  31. Ogura, Y., 1927, On the structure and affinities of some fossil tree ferns from Japan. Journal of Faculty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Section 3, 1, 351-380, pls. 2-8. 

  32. Ogura, Y., 1941, Additional notes on the structure of fossil tree ferns. Botanical Maganine Tokyo, 55, 453-461. 

  33. Ogura, Y., 1944, Notes on fossil woods from Japan and Manchoukuo. Japan Journal of Botany, 13, 345-365, pls. 3-5. 

  34. Oh, C., 2010, Conifer fossil woods of the Cretaceous in Northeast Asia: Occurrences and paleobiological implications. Ph.D.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185 p. 

  35. Oh, C., Kim, K., Paik, I.S., and Lim, J.-D., 2011, Cretaceous conifer woods of Korea: Occurrence and paleobiological implications. Review of Palaeobotany and Palynology, 164, 67-83. 

  36. Oh, C., Kim, K., Philippe M., and Paik I.S., 2013, Mid-Cretaceous (Albian-Cenomanian) fossil woods from Hwawon-myeon in Jeollanam-do, Korea, and their palaeoclimatic implications. Cretaceous Research, 43, 40-47. 

  37. Oishi, T., 2003, On the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petrified woods. Resource and Material, B8-8, 351-252. (in Japanese) 

  38. Paek, S.D., 2003, Study on the silicified wood fossils from the Upper Triassic Amisan Formation, Korea. Unpublished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Korea, 42 p. (in Korean) 

  39. Paik, I.S., Huh, M., Park, K.H., Hwang, K.G., Kim, K. and Kim, H.J., 2006, Yeosu dinosaur track sites of Korea: The youngest dinosaur track records in Asi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8, 457-468. 

  40. Pak, I.S. and Kim, Y.N., 1996, Mesozoic Era. In Paek, R.J., Kang, H.G., and Jon, G.P.(eds.), Geology of Korea. Foreign Languages Books Publishing House, Pyongyang, DPR of Korea, 155-188. 

  41. Park, N.-T. and Kim. J.-H., 2010, Paleoenvironmental factor on the fossil woods from the Lower and Upper Coal-bearing Formations of the Janggi Group (Miocene) of Korea. Journal of the Earth Science Society, 31, 573- 583. (in Korean) 

  42. Shimakura, M., 1936, Studies on fossil woods from Japan and adjacent lands. Contribution 1. Science Report of Tohoku University, Second Series, 18, 267-310, pls. 12-22. 

  43. Song, I.H., 2010. Genesis of wood fossils from the Jogyeri Formation in Cheongyang. Unpublished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32 p. Gongju, Korea. (in Korean) 

  44. Stein, C.L., 1982, Silica recrystalization in petrified wood. 

  45. Tateiwa, I., 1976, The Koreo-Japanese geotectonic zone. New interpretations on the geotectonic development of the Far East continental territories and the insular arcs of Japa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history of geological research in Korea. Tokyo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654 p. (in Japanese) 

  46. Terada, K., 2008, Review of silicified woods from Japan. Fossils, 83, 64-77.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