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WRF-Chem 모델을 이용한 2010년 한반도의 황사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Asian Dusts Using the WRF-Chem Model in 2010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1, 2015년, pp.90 - 108  

정옥진 (한국교원대학교 제 3대학 환경교육과) ,  문윤섭 (한국교원대학교 제 3대학 환경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0년 11월 11-13일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던 황사에 대해 WRF-Chem 모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WRF-Chem 모델에서 미세먼지의 인위적 배출량은 RETRO 전구 배출량을 사용하였고, RADM2 화학 메커니즘과 MADE/SORGAM 에어로졸 스킴 및 GOCART 광물성 먼지 옵션을, 그리고 Fast-J 광해리 스킴을 선택하여 $PM_{10}$ 농도를 시뮬레이션 하였는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WRF-Chem 모델 결과에 따른 $PM_{10}$ 농도의 공간적 분포와 연직 프로파일 분석결과 2010년 11월 11-13일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던 황사는 강한 가을황사로 저기압의 발달로 인해 형성된 콤마구름 때문에 황사가 한랭전선 후면에서 갇혀 상공 2.5 km 이내에서 이동 및 유입됨을 알 수 있었다. 황사 발생 기간 동안 백령도와 서울의 기상청 관측 자료와 모델의 $PM_{10}$ 농도를 시계열로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와 평균제곱근오차(RMSE)는 백령도의 경우 0.763과 $192.73{\mu}g/m^3$, 서울의 경우 0.725와 $149.68{\mu}g/m^3$로 나타났다. 미세먼지인 $PM_{10}$$PM_{2.5}$ 농도의 공간적 분포는 유사하였고 $PM_{2.5}$$PM_{10}$의 약 50% 정도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상청 UM-ADAM 모델 결과와도 유사하였다. $PM_{10}$ 농도와 경계층 높이, 동서 성분 바람장의 공간적 분포는 유사성을 지니고 있어 두 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PM_{10}$의 농도를 예측하는 회귀 방정식을 구하고자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쳤던 강한 가을 황사(2010년 11월 11-13일)와 봄 황사(2011년 3월 19-20일) 사례를 선정하였고, 통계 모델을 이용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RF-Chem model was applied to simulate the Asian dust event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from 11 to 13 November 2010. GOCART dust emission schemes, RADM2 chemical mechanism, and MADE/SORGAM aerosol scheme were adopted within the WRF-Chem model to predict dust aerosol concentrations. The resul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RF-Chem 모델을 여러 번 수치모의를 시도한 결과에 따르면 모델이 약한 황사보다 강한 황사에서 PM10의 농도를 더 잘 모사하였기 때문에 첫째로 황사 경보 수준(PM10의 1시간 평균농도 800 µg/m3 이상 2시간 이상 지속 예상될 때)의 강한 황사 사례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을 황사 사례에 대해 모델을 검증해보고, 동서 성분 바람장(U)과 경계층 높이(PBL, Planetary boundary layer), PM10 농도의 상관 관계를 보임으로써 수치 모델이 아닌 통계(회귀) 모델만으로 황사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황사 예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필요했던 황사 사례는 사례 1, 2로 사례 1은 WRF-Chem 모델의 수치모의를 검증하기 위함이었으며, 사례 2는 동서 성분 바람장과 경계층 높이를 이용한 회귀 방정식의 도출 및 검증을 위해 제시하고자 하였는데 이를 위해 고려했던 요인은 세 가지였다.
  • 먼저 우리나라에 2010년 11월 11-13일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던 황사의 발생 메커니즘을 기상청 관측 자료와 일기도를 통해 이해하고자 한다. 황사 발생 기준을 시간별 미세먼지 농도가 200 µgm−3 이상이 관측될 때로 본다면 우리나라에서는 11월 11일 오후 4시에 백령도 기상대에서 관측된 것을 시작으로 하여 13일 새벽 4시 고산기상대에서 마지막으로 관측되기 까지 약 36시간 동안 한반도에 영향을 미쳤고 전국 적으로 황사 경보가 발령되었다.
  • 본 연구는 WRF-Chem 3.4 버전을 이용하여 2010년 11월 11-13일에 발생한 가을 황사 사례를 통해 미세먼지 농도의 수치모의 결과를 분석하였고, 동서 성분 바람장(U)과 경계층 높이(PBL)과 PM10 농도와의 관계식을 도출하여 황사를 예보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WRF-Chem 모델에서 미세먼지의 인위적 배출량은 RETRO 전구 배출량을, RADM2 화학 메커니즘과 MADE/SORGAM 에어로졸 스킴 및 GOCART 광물성 먼지 옵션, 그리고 Fast-J 광해리 스킴을 선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7. Time series of PM10 concentrations between simulated by WRF-Chem and observed for the episodes from 11 November to 13 November 2010 measured at air quality monitoring sites in (a) Seoul and (b) Backnungdo, relativ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사란 무엇인가? 중국과 몽골의 사막지역과 같은 건조지역에서 상승 기류를 타고 부유한 먼지(dust)가 상층에서 부는 편서풍을 타고 한반도까지 이동하는 현상을 뜻하는 황사는 봄철 주로 발생하는 기상현상이지만, 대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를 급격히 증가시켜 시정을 악화시키고 인류와 생태계의 건강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반도체 산업과 교통 운행 등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어(Lee et al., 1986; Lei et al.
에어로졸 스킴은 섹션 스킴, 모달 스킴, 벌크 스킴으로 분류되는데 각각 무엇인가? 에어로졸 스킴은 에어로졸 입자의 크기 분포에 따른 개수를 수학적으로 어떻게 기술하느냐에 따라 섹션 스킴(Sectional scheme), 모달 스킴(Modal scheme), 벌크 스킴(Bulk schem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섹션 스킴의 경우 입자의 발생이 크기별로 일어난다고 보고 직경에 따라 구간을 나누어 처리하는 방식이고, Modal 스킴은 크기별 입자의 개수를 세 가지 모드로 나누어 모형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Bulk 스킴의 경우 에어로졸 화합물의 개수나 크기분포를 알 수 없고 총 질량에 대해서만 알고 있을 때, 복사 전이나 구름의 분포로 에어로졸의 크기 분포를 가정하는 방식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MADE 스킴은 모달 스킴으로 에어로졸을 각 모드의 너비를 동일하게 하여 세 가지 모드(Aitken, accumulation, coarse)로 모형적으로 처리하며, 에어로졸의 종류는 SO42− , NH4+ , NO3− , H2O, NaCl, 알케인, 알켄, 방향족 탄화수소, 이소프렌, PM2.
황사 예보를 위한 모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편 황사 예보를 위해 기상청에서는 황사농도 단기모델(ADAM; Asian Dust Aerosol Model)과 사계절용 황사모델(UM-ADAM2)을 활용 중에 있고,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WRF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CMAQ (Community Multi-scale Air Quality)를 이용하여 황사를 포함한 미세먼지 예보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예보를 위한 수치모의 연구는 기상모델을 이용해 기상과 입자상 또는 가스상 물질의 상호작용 없이 오프라인 상태에서 황사의 발생량, 수송, 침적, 영향, 복사강제력, 강도 등을 예측하여 왔기 때문에(Tegen and Fung, 1994; Wa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Chang M.-H., E.-H. Ha, Y.-J. Suh, B.-E. Lee, H.-J. Kwon, S.-S. Hwang, Z.-M. Li, J.-H Seo, and B.-M. Kim, 2009, The Perceived Symptom and Preventive Behavior Related to Asian Dust Event: in South Korean and Chines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1), 26-37. (in Korean) 

  2. Chen, F. and Dudhia, J., 2001, Coupling and advanced land surface hydrology model with the Penn State-NCAR MM5 modeling system, Part I: Model implementation and sensitivity, Mon. Weather Rev. 129. 569-585. 

  3. Chin, M., Ginoux, P., Kinne, S., Holben, B. N., Duncan, B. N., Martin, R. V., Logan, J. A., Higurashi, A., and Nakajima, T., 2002, Tropospheric aerosol optical thickness from the GOCART model and comparisons with satellite and sunphotometer measurements, J. Atmos. Sci., 59. 461-483. 

  4. Cho, C., Y. Chun, B. Ku, S.-U. Park, S.-S. Lee, and Y.-A. Chung, 2007, Comparison of ADAM's (Asian Dust Aerosol Model) Results with Observed PM10 Data, Atmosphere, 17(1), 87-99. (in Korean) 

  5. Choi, H., 2010, Impact of Fine Particulate Matters Transported from Gobi Desert to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 $PM_{10}$ , $PM_{2.5}$ , $PM_1$ ) for Yellow Sand Event Period in Fall: Case Study of October 27, 2003, The Journal of climate research, 5(3), 219-233. (in Korean) 

  6. Chou, M.-D. and Suarez, M. J., 1994, An efficient thermal infrared radiation parameterization for use in general circulation models, NASA Tech. Memo. 104606. 85. 

  7. Goo, T.-Y., G.-M. Hong, S.-B. Kim, J.-U. Gong and M.-S. Kim, 2008, A case study of aerosol features of Asian dust, fog, clear sky, and cloud at Anmyeon Island in April 2006, Atmosphere, 18(2), 99-111. (in Korean) 

  8. Grell, G. A. and Devenyi, D., 2002, A generalized approach to parameterizing convection combining ensemble and data assimilation techniques, Geophys. Res. Lett., 29(14). 1693. 

  9. Grell, G. A., Peckham, S. E., Schmitz, R., McKeen, S. A., Frost, G., Skamarock, W. C., and Eder, B., 2005, Fully coupled "online" chemistry within the WRF model, Atmospheric Environment, 39(37). 6957-6975. 

  10. Gong, S.L., Zhang, X.Y., Zhao, T.L., McKendry, I. G., Jaffe, D.A., and Lu, N.M., 2003, Characterization of soil dust aerosol in China and its transport and distribution during 2001 ACE-Asia: 2. Model simulation and validation, J. Geophys. Res.. 108(D9). 4262. 

  11. Hong, S. Y., Yign, N., and Dudhia, J., 2006, A new vertical diffusion package with an explicit treatment of entrainment processes, Mon. Weather Rev., 134, 2318-2341, 2006. 

  12. In, H. J., and Park, S. U., 2002, A simulation of longrange transport of Yellow Sand observed in April 1998 i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36(2), 4173-4187. 

  13. Kang, D.-H., J. Kim, K. E. Kim, and B.-S. Lim, 2012, Aerosol Size Distributions and Optical Properties during Severe Asian Dust Episodes Measured over South Korea in Spring of 2009-2010, Atmosphere, 22(3), 369-381. (in Korean) 

  14. Kang, J.-Y., S.-W. Kim, and S.-C. Yoon, 2012, Estimation of Dust Emission Schemes and Input Parameters in Wintertime Asian Dust Simulation: A Case Study of Winter Dust Event on December 29, 2007,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1), 1-11. (in Korean) 

  15. Kim, D.-R., J.-S. Kim, S.-J. Ban, 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il in the Asian Dust Source Regions of Mongoli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6), 606-615. (in Korean) 

  16. Kim, H. and J. Kay, 2010, Forecast Sensitivity Analysis of An Asian Dust Event occurred on 6-8 May 2007 in Korea, Atmosphere, 20(4), 399-414. (in Korean) 

  17. Kim, H., K.-M. Jung, D.J. Kim, and J.T. Lee, 2002,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Components in Fine Particles Collected at Chunchon during the Springtime Yellow Sand Occurrence Period in 2002,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17(4), 333-339. (in Korean) 

  18. Kim, J.-Y., B.-M. Kim, O.-J. Kim, E.-H. Ha, J.-H. Seo, B.-E. Lee, and H.-S. Park, 2006, The Perceived Symptom and Preventive Behavior Related to Asian Dust Event: in South Korean and Chines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4), 509-517. (in Korean) 

  19. Kim, K. H., and Kim, M. Y., 2003, The effects of Asian Dust on particulate matter fractionation in Seoul, Korea during spring 2001. Chemosphere, 51(8), 707-721. 

  20. Kim, M.-J., Y. Kim, E.-H. Sohn, K.-L. Kim, M.-H. Ahn, 2008,. The Study on the Quantitative Dust Index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Atmosphere, 18(4), 267-277. (in Korean) 

  21. Kim, S., S. Lee, 2009,. The Study on Occurrence of Asian Dust and Their Controlling Factor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4(6), 675-690. (in Korean) 

  22. Kim, S. Y., and S.H. Lee, 2009, The Study on Occurrence of Asian Dust and Their Controlling Factors in Ko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44(6), 675-690. (in Korean) 

  23. Kim, S., Y. Chun, and S.-B. Kim, 2010, The Features of Asian Dust Events Originated in Manchuria, Atmosphere, 20(3), 273-286. (in Korean) 

  24. Kim, Y., 2011,. Impacts of Asian Dust on Atmospheric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3), 255-271. (in Korean) 

  25. Kumar, R., Barth, M. C., Pfister, G. G., Naja, M., and Brasseur, G. P., 2014, WRF-Chem simulations of a typical pre-monsoon dust storm in northern India: influences on aerosol optical properties and radiation budget,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4(5), 2431-2446. 

  26. Lee, B.-I., E.-H. Sohn, M.-L. Ou., and Y. Kim, 2009, Infrared Spectral Signatures of Dust by Ground-based FT-IR and Space-borne AIRS, Atmosphere, 19(4), 319-329. (in Korean) 

  27. Lee, B.-I., S.-C. Yoon, and Y. Kim, 2008, Analysis of Vertical Profiles and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Asian Dust Using Groung-based Measurements, Atmosphere, 18(4), 287-297. (in Korean) 

  28. Lee, D.-E., W.-H. Kim, H.-J. Ko, Y.-S. Oh, and C.-H. Kang, 2013, Chemic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Size-fractionated Particles during Heavy Asian Dust Event in Spring, 2010,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9(3), 325-337. (in Korean) 

  29. Lee, E.-H., S. Kim, J.-C. Ha, and Y. Chun, 2012, Performance Analysis of Simulation of Asian Dust Observed in 2010 by the all-Season Dust Forecasting Model, UM-ADAM2, Atmosphere, 22(2), 245-257. (in Korean) 

  30. Lee, H.-J., E. H. Lee, S.-S. Lee, and S. Kim, 2012, Study on Methodology for Estimating PM10 Concentration of Asian Dust Using Visibility Data, Atmosphere, 22(1), 13-28. (in Korean) 

  31. Lee, H.-J., J. E. Kim, and Y. Chun, 2013, Aerosol Vertical Distribution Measured by LIDARs in Baengnyeongdo, Munsan, and Gunsan during 10-11 May 2010, Atmosphere, 23(4), 519-526. (in Korean) 

  32. Lee, H., S.-B. Kim, S. Kim, S. Song, and Y. Chun, 2011, The Aerosol Characteristics in Coexistence of Asian Dust and Haze during 15-17 March, 2009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2), 168-180. (in Korean) 

  33. Lee, J., M.-Y. Kim, K.-H. Kim, SM Hong, Z-H Son, and S.-C. Lee, 2007, Inspection on the Influence of Asian Dust on th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Mercury Observed for a Long Tim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3(2), 169-182. (in Korean) 

  34. Lee, J.-J. and C.-H. Kim, 2008, Characteristics of Recent Occurrence Frequency of Asian dust over the Source Regions-Analysis of the dust Occurrence since 2002, Atmosphere, 18(4), 493-506. (in Korean) 

  35. Lee M. H., E. J. Han, and Y. S. Won, 1986, Yellow Sand Phenomena Influence to the Atmosphere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2(3), 33-34. (in Korean) 

  36. Lee, Y.-J. Lee, S.-A Jung, M.-R. Jo, S.-J. Kim, M.-K. Park, J.-Y. Ahn, Y.-S. Lyu, W.-J. Choi, Y.-d. Hong, J.-S. Han, and J.-H. Lim, 2014, Characteristics of PM Chemical Component during Haze Episode and Asian Dust at Gwang-ju,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0(5), 434-448. (in Korean) 

  37. Lei, Y. C., Chan, C. C., Wang, P. Y., Lee, C. T., and Cheng, T. J., 2004, Effects of Asian dust event particles on inflammation markers in peripheral blood and bronchoalveolar lavage in pulmonary hypertensive rats. Environmental Research, 95(1), 71-76. 

  38. Lin, S. J., and Rood, R.B.,, 1994, Multidimensional fluxform semi-Lagrangian transport schemes, Monthly Weather Review, 124, 2046-2070. 

  39. Mlawer, E. J., Taubman, S., Brown, P., Iacono, M., and Clough, S., 1997, Radiative transfer for inhomogeneous atmosphere: RRTM, avalidated correlated-k model for the long-wave, J. Geophys. Res., 102, 16663-16682. 

  40. Moon, Y.-S., and S.-H. Lee, 2009, Estimation of Hourly Emission Flux of Asian Dust Using Empirical Formulas in the Source A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5(6), 539-549. (in Korean) 

  41. Moon, Y.-S., E.-J. Hwang, and S.-H. Lee, 2006, Suggest on Meteorological Guideline for Asian Dusts in the Korean Peninsular, Proceeding of the 43rd Meeting of KOSAE (2006)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471-472. (in Korean) 

  42. Moon, Y.S., Koo Y.S., and Jung, O.J., 2014, Analysis of Sensitivity to Prediction of Particulate Matters and Related Meteorological Fields Using the WRF-Chem Model during Asian Dust Episode Days, The Journal Korea Earth Science Society, 35(1), 1-18. (in Korean) 

  43. Moon, Y.S., Lim Y.K., and Lee, K., 2011, An estimation of concentration of Asian dust using WRF-SMOKECMAQ (MADRID) during springtime in the Korean peninsula, J.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276-293. (in Korean) 

  44. Park, I., S. Lim, M. Lee, Y. J. Lee, and J. S. Kim, 2011, Ionic Compositions of PM10 and Reactive Gases during Asian Dust Events in March 2007,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4), 395-404. (in Korean) 

  45. Park, S. M., K. J. Moon, J. S. Park, H. J. Kim, J. Y. Ahn and J. S. Kim, 2012,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mbient Aerosol during Asian Dusts and High PM Episodes at Seoul Intensive Monitoring Site in 2009,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3), 282-293. (in Korean) 

  46. Pfister, G. G., Parrish, D. D.,Worden, H., Emmons, L. K., Edwards, D. P., Wiedinmyer, C., Diskin, G. S., Huey, G., Oltmans, S. J., Thouret, V., Weinheimer, A., and Wisthaler, A., 2011, Characterizing summertime chemical boundary conditions for airmasses entering the US West Coast, Atmos. Chem. Phys., 11, 1769-1790. 

  47. Schell, B., Ackermann, I. J., Hass, H., Binkowski, F. S., and Ebel, A., 2001, Modeling the formation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within a comprehensive air quality model system, J. Geophs. Res., 106, 28275-28293. 

  48. Shaw, W., Allwine, K.J., Fritz, B.G., Rutz, F. C., Rishel, J.P., and Chapman, E.G., 2008, An evaluation of the wind erosion module in DUSTRAN, Atmospheric Environment, 42, 1907-1921. 

  49. Shaw, Y., 2004, Simplification of dust emission scheme and comparison with data, J. Geophys. Res., 109, D10202 

  50. Shin, D. C., 2007, Health Effects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0(2), 175-182. (in Korean) 

  51. Shin S. A., J. S. Han and S. D. Kim, 2006, Source Apportionment and the Origin of Asian Dust Observed in Korea by Receptor Modelling (CMB),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2(2), 157-166. (in Korean) 

  52. Sim, S.-Y., S. S. Park., D.-R. Kim. and S.-J. Lee., 2013, Impact of Acidification on the Solubility of Metal Species in Asian Desert Dusts: Results from Laboratory Experim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9(1), 64-73. (in Korean) 

  53. Song, S.-K. and Y.-K. Kim, 2005, A Case Study of an Asian Dust (Hwangsa) Event Observed in November 2002 in Korea, Atmosphere, 41(5), 707-715. (in Korean) 

  54. Shin, D. S., Kim, S., Kim, J. S., and Cha, J.W., 1999, Aerosol Optical Thickness of the Yellow Sand from Direct Solar Radiation at Anmyeon Island during the Spring of 1998, J.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5(6), 739-746. (in Korean) 

  55. Stockwell, W. R., Middleton, P., Chang, J. S., and Tang, X., 1990, The second-generation regional acid deposition model chemical mechanism for regional air quality modeling, J. Geophys. Res., 95, 16343-16367. 

  56. Tegen, I. and Lacis, A. A., 1996, Modeling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radiative properties of mineral dust aerosol, J. Geophys. Res., 101, 19237-19244. 

  57. Wang Z., Ueda, H., and Huang, M., 2000, A deflation module for use in modeling long-range transport of yellow sand over East Asia, J. Geophys. Res., 105, 26947-26959. 

  58. Wild, O., Zhu, X., and Prather, M. J., 2000, Fast-J: Accurate simulation of in-and below-cloud photolysis in tropospheric chemical models, Journal of Atmospheric Chemistry, 37(3), 245-282. 

  59. Zhao C., X. Liu, L.R. Leung, B. Johnson, S. A. McFarlane, W.I. Gustafson Jr., J.D. Fast, and R. Easter, 2010,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ineral dust and its shortwave radiative forcing over North Africa: modeling sensitivities to dust emissions and aerosol size treatments, Atmos. Chem. Phys., 10, 8821-8838. 

  60. Zhang, R., R. Arimoto, J. An, S. Yabuki, and J. Sun, 2005, Ground observations of a strong dust storm in Beijing in March, J. Geophys. Res., 1, 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