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송하인의 운송물 처분청구권과 항공화물운송장
Right of disposition of cargo and Air waybill 원문보기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v.30 no.2, 2015년, pp.177 - 199  

남현숙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최준선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외 상거래에 있어서 운송이 차지하는 부분은 매우 크다. 특히 항공화물 운송은 보험료, 포장 및 재고관리 등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신속성 면에서는 해상운송보다 탁원하므로 국제거래에 있어서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운임이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항공운송을 선택하는 예가 점점 더 늘고 있다. 항공화물운송에는 항공화물운송장과 같은 항공서류가 필요한데, 항공화물운송장은 단순히 자격을 증명하는 자격증권일 뿐으로, 권리를 행사할 때 제시하거나, 상환할 필요도 없다. 선하증권과 비교하여 볼 때 항공화물운송장의 가장 큰 특징은 비유통증권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선하증권과 달리 제3자에 권리이전을 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일정한 경우 유통성이 있는 항공화물운송장 출현이 필요한 것은 아닌지 의문이 생기나, 전자화물운송증서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어 사실상 유통성을 갖춘 항공화물운송장의 출현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는 전자화물운송장의 이용 및 확대와 관련하여 일어날 수 있는 법률상 문제점을 발견하고 연구하는 편이 합리적일 것이다. 운송이 시작되고나서 수하인의 자력에 문제가 생기거나 거래상황 등에 변화가 생긴 경우, 운송을 중지하거나 운송물을 반환하거나 애초에 지정한 수하인 이외의 자에게 화물을 인도하는 등의 처분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도 송하인은 항공화물운송장을 이용하여 처분청구권을 행사하게 되는데, 처분청구권의 종료시점과 관련하여 육상운송이나 해상운송과는 달리 항공운송물이 목적지에 도착하면 바로 처분청구권이 소멸하도록 한 규정은 지나치게 송하인의 권리를 제한한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이 있다. 실제 항공화물 약관에 우리상법이나 몬트리올협약보다 처분권의 소멸시기가 늦게 설정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리고 신용장거래시의 대금결제와 관련하여서는 은행의 화물에 대한 담보권의 성질과 송하인의 처분권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신용장거래 보다는 송금결제가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앞으로는 무신용장 방식으로 결제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와 미수금 위험에 대비하여 법률적으로 어떠한 예방책 및 사후적인 구제책 등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merce enriches human life enriched and within commerce, transportation of cargo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in business transactions. Traditionally, marine transport has been major commercial transaction, but carriage cargo by air is on the increase. While the fare for freight in comparison 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법 항공운송편의 내용 및 관련 협약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학자들이 활발하게 연구한 결과, 많은 논문이 나와 있다. 본고에서는 범위를 좁혀 물품 운송이 시작된 뒤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수단과 관련하여 송하인의 운송물 처분청구권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 상법상 육상과 해상운송과는 달리 항공운송의 경우는 처분청구권의 주체를 송하인으로 한정하고 있다.
  • 우리 상법을 기준으로 하여 보면 송하인의 운송물 처분청구권과 운송물 인도에 관하여 육상운송에서 상법 제139조와 제140조를 두고 그 내용을 제815조 해상운송에서 준용하고 있고, 항공운송과 관련해서는 상법 제917조에 ‘운송물의 처분청구권’이라는 표제로 새로 규정하고 있다. 상법상의 운송물 처분청구권과 유사한 제도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고, 상법 규정이 어떠한지 보기로 한다.

가설 설정

  • 3) 3종의 운송증권의 법적 성질이 각각 다르다.4) 본고에서는 항공화물운송장에 대한 내용만을 다루기로 한다.
  • 현재 국제항공사법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는 1929년 바르샤바 협약은 현재 152개국으로 미국 등 항공대국이 대부분 참가하고 있고 5) 국제항공운송협회(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는 항공운송장의 양식 및 항공운송약관의 통일화를 꾀하여 운송장에 기재해야 할 사항과 사항란의 구성까지도 정형화 시키고 있어 사무처리의 자동화에도 유리하도록 하였다. 6) 현재 전체 항공운송에 약 86%에 해당하는 260개 항공사가 IATA에 회원이고 실무상 IATA가 마련한 표준약관을 토대로 하여 마련된 항공화물운송장이 이용되고 있어 7) 그 형식 및 내용 등이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상운송의 문제점은? 전통적으로 국제거래는 바다를 통하여 장기간에 거쳐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해상운송의 경우는 황천, 폭풍우 등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게 마련이다. 따라서 해상으로 운반되는 화물 손상의 대부분은 운송 중 발생하는 좌초, 침몰, 선박화재, 충돌 또는, 도난, 폭풍우, 태풍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해상운송과 비교하여 항공운송이 가진 장점은? 반면 항공운송의 경우는 운송 중에는 화물에 대한 사고가 거의 없다. 왜냐하면 목적지가 세계 어느 곳이든 하루 정도면 대부분의 물품이 도착하는 등 신속성 면에서 해상운송보다 탁월하기 때문이다.
해상으로 운반되는 화물 손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그런데 해상운송의 경우는 황천, 폭풍우 등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게 마련이다. 따라서 해상으로 운반되는 화물 손상의 대부분은 운송 중 발생하는 좌초, 침몰, 선박화재, 충돌 또는, 도난, 폭풍우, 태풍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반면 항공운송의 경우는 운송 중에는 화물에 대한 사고가 거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두환, 국제.국내항공법과 개정상법(항공운송편), 한국학술정보, 2011 

  2. 박원화, 항공사법, 한국학술정보, 2012. 

  3. 송옥렬, 상법강의 제5판, 홍문사, 2015 

  4. 이기수.신창섭, 국제거래법, 세창출판사, 2015, 

  5. 최준선, 국제거래법 제10판, 삼영사, 2015 

  6. 최준선, 보험.해상.항공운송법 제9판, 삼영사, 2015 

  7. 최준선, 상법총칙.상행위 제9판, 삼영사, 2015 

  8. Alexander von Ziegler, "The right of suspension and stoppage in transit (and notification thereof)", Journal of law and commerce, vol. 25. 2005-2006 

  9. 김지훈, "항공물건운송에 관한 상법 항공운송편 규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상사판례연구 제26집 제4권, 2013 

  10. 박세운, "신용장거래에서 항공운송장 서류심사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2권 제3호, 2009 

  11. 양석완, "운송물처분권에 관한 연구", 한국해법학회지 제32권 제2호, 2010 

  12. 양석완, "운송물처분권에 관한 입법론적 고찰", 한국해법학회지 제35권 제2호, 2013 

  13. 양석완, "운송물처분권에 대한 법적 쟁점", 국제거래법연구 제18집 제1호, 2009 

  14. 양석완, "운송인에 대한 운송유지권의 실효적 행사를 위한 법적 논점", 국제법무 제2집 제1호, 2010 

  15. 오수근, "항공화물운송장의 법률관계", 민사판례연구 제19권, 1997 

  16. 이강빈, "국제항공화물운송에 관한 운송증서의 요건 및 효력", 항공우주법학회지 제23권 제2호, 2008 

  17. 이강빈, "국제항공화물운송에 있어서 운송인의 화물인도 의무와 책임", 항공우주법학회지 제21권 제2호, 2006 

  18. 이강빈, "항공화물운송에 관한 상법 항공운송편 제정안의 내용 및 쟁점", 무역상무연구 제43권, 2009 

  19. 이용근.박병호, "운송인의 화물인도관행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판례연구", 관세학회지 제16권 제2호, 2015 

  20. 이제현, "국제항공화물운송계약 당사자 간의 법률관계에 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28권 제4호, 2012 

  21. 이창재, "개정 상법상 항공화물운송인의 책임", 성균관법학 제24권 제1호, 2012 

  22. 이창재, "국제물품매매에서 매도인의 운송중지권", 국제거래법연구 제23집 제2호, 2014 

  23. 이창재, "상법상 운송물 처분청구권과 수하인의 발전적 지위", 성균관법학 제23권 제3호, 2011 

  24. 임태혁, "국제항공운송에서 운송계약의 당사자 및 운송물에 대한 소유권 이전", 국제거래법연구 제17집 제1호, 2008 

  25. 채진익,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이행기전 계약위반과 그 구제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33권 제5호, 2008 

  26. 최준선, "항공운송서류의 전자화", 인터넷법률 통권 제45호, 2009 

  27. 최준선, "항공운송증권", 항공우주법학회지 제7권, 1995 

  28. ?山?治, "航空運送狀と貿易決濟", 政策科學 14-3, 2007 

  29. http://www.iata.org/publications/Pages/wats-freight-km.aspx 

  30. http://www.iata.org/whatwedo/cargo/e/eawb/Documents/e-awb-buzz-october-2015.pdf 

  31. http://www.iata.org/whatwedo/cargo/e/eawb/Documents/e-awb-monthly-report-r17.pdf 

  32. 대법원 1998. 11. 10. 선고 98도2526판결 

  33. 법무부, 선진상사법률연구 통권 제55호 별책부록, 2011 

  34. 한국무역협회, Trade Focus vol. 10 no. 5, 2011 

  35. 한국법제연구원, 항공관련 국제협약과 항공법제 개선방안 연구 워크샵 자료집,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