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불진화 헬기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연구
Study on Efficient Operation on Aerial Fire Fighting Helicopter in Forest Fir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9 no.1, 2015년, pp.45 - 52  

배택훈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  이시영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불현장에서 운영되는 산림청, 소방, 민간헬기의 특성과 배치현황을 분석하였다. 헬기 배치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면 충북, 전남이 타 지역에 비하여 산불발생 건수가 다소 많으나 헬기배치의 공백으로 인한 초동진화에 취약하다. 경기도는 산불발생이 비교적 적은데 비하여 헬기가 많이 배치되어 강원도와 비교할 때 불균형적인 배치가 되어있다. 결론적으로 산불조심기간에 일부지역의 편중배치를 일부분 조정하여 지역별로 공백이 있는 취약한 지역에 헬기 배치와 민간헬기를 국비로 임차하여 운영하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더불어 대전, 충북, 전남, 제주 등은 임차예산을 확보한 헬기 배치가 필요하며 특히, 대전은 소방헬기 기지 개설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nalyzed synthetically the characteristic of forest helicopter, fire helicopter, civil helicopter and deployment assets are in operated in forest fire places of our country. Looking at arrangement of helicopter, Chung-buk, Jeonnam has a number of outbreak a forest fire rather than o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불조심기간에 산림헬기의 지자체 전진배치 및 임차헬기 배치의 중복성으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볼 때 불균형 배치가 되어 있어 산불진화의 효율성이 다소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불진화 헬기의 균등한 배치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공중 산불 진화에 있어 향후 정책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불현장에서 운영되는 산림청, 소방, 민간헬기의 특성과 배치현황을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헬기배치 정책에 대한 향후 정책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S. Y. Lee and T. H. Bae, "Analysis o the Helicopter Fire Attack Pattern on Forest Fire Behavio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3, No. 2, p. 96 (2009). 

  2. US Forest Service FY2012 Aviation Safety Summary, p. 4 (2012). 

  3. DoD Report, "Go Go MAFFS/C-130 Proposal Report on Joint Use Federal Forest Fire Fighting Assets/C-130 Fire Fighting Capabilities" (2010). 

  4. H. S. Lee and S. Y. Lee,"The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in Korea", J. Kor. Inst. Fire. Eng., Vol. 25, No. 5, p. 41 (2011). 

  5. T. H. Bae, "A Study on Method of Aerial Fire Fighting by Helicopter on the Forest Fire", Department of Disaster Prevention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p. 22 (2014). 

  6. Forest Service, "Statistics Data of Forest Fire", 2012 years, pp. 87-91 (2013). 

  7. Forest Service, "Statistics Data of Forest Fire", 2013 years, pp. 41-121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