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화병 인식에 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Hwa-byung Awareness i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2, 2015년, pp.1304 - 1317  

박선정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최은영 (송곡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이 화병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화병에 관한 인식을 광범위하게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인식하는 화병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descriptive study)이다. 결과: 중년여성 40, 50대의 화병에 관한 면담자료를 화병의 개념, 화병의 원인, 화병의 증상, 화병 대처를 위한 방법으로 분류하여 내용 분석한 결과 총 261개의 의미 있는 진술문과 33개의 범주로 도출 되었다. 결론: 중년 여성의 화병 인식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화병을 극복하는데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화병에 대한 예방 및 중재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extensive analysis of middle-aged women's awareness of Hwa-byung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ir understanding of it. Method: A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to make content analysis of middle-aged women's awareness of Hwa-byung. Results: The interview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여 40, 50대 중년여성의 화병의 개념, 화병의 발생 시기, 화병의 증상, 화병 예방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중년여성들의 화병에 관한 인식을 넓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이 이해하고 있는 화병의 인식 정도를 면담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이 인식하는 화병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descriptive study)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화병에 대한 중년여성 40, 50대의 화병에 대한 개념, 원인, 증상 및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중년여성 40대 89명, 50대 8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내용분석법과 절차에 따라 대상자들이 진술한 내용을 범주로 구분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이 화병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화병에 관한 인식을 광범위하게 파악하여 이를 기초로 추후 중년여성의 요구에 부합되는 화병 예방교육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중년여성의 화병에 대한 정의, 원인, 증상 및 대처방법에 대해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특징은 무엇인가? 여성은 생의 전 과정을 통하여 남성보다 정신질환에 더 많이 이환되며, 호르몬 주기에 따른 변화에 민감한 반응을 보임으로써 정신건강에 보다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1]. 특히 중년기에 접어들면서 여성은 생리적으로는 폐경기를 접하게 되어 호르몬의 감소와 불균형으로 인해 다양한 정신-신체증상을 경험하게 된다[2].
정신건강 의학에서 정의 내려지고 있는 화병은 무엇인가? 또한 심리적, 생리적, 신체적, 사회적으로 매우 취약한 시기이며, 특히 한국의 경우 사회문화와 관련되어 화병 유병률이 높고 대부분 화병 환자의 80%가 여성으로 남성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발생률을 보이며, 이들의 연령은 대부분 40-50대의 중년기 여성이다[3]. 현재 우리나라의 정신건강 의학에서 정의 내려지고 있는 화병은 선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을 살아가면서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억울하고 분한 감정과 스트레스를 장기적으로 받게 되고 이를 풀지 못하면 나이가 들어 어떤 외부적인 스트레스에 자신의 화를 억제하지 못하고 불처럼 폭발하는 병이다[1]. 화병은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종의 분노증후로[3], 한국의 중년여성은 누구나 화병에 대하여 익히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화병의 증후를 경험하는 중년 여성들은 그 원인을 알고, 스스로 화병으로 진단을 내리며 병원을 쉽게 찾지 않는 경향이 있다[2].
화병에 대한 중년여성 40, 50대의 화병에 대한 개념, 원인, 증상 및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을 연구한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화병의 개념으로「억눌림」, 「치밀어 오름」, 「가슴앓이」, 「스트레스」, 「신체적 증상」, 「모름」 6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화병의 원인으로 「시댁과의 관계」, 「응어리」, 「스트레스」, 「뜻대로 되지 않을 때 」, 「외로움」, 「가족 문제」,「무시」, 「나쁜 감정」,「나쁜 건강」, 「모름」10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셋째, 화병의 증상에 대해서는 「심리적 증상」, 「신체적 증상」, 「과민반응」, 「우울」, 「불면」, 「분노」,「대인기피」,「경련」,「모름」9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넷째, 화병의 대처 방법 대해서는「대인관계」,「마인드컨트롤」, 「심리상담」, 「취미 생활」, 「화를 표현」, 「종교생활」,「마음 다스리기」,「모름」8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 S. Shin, & D. S. Shin, "Korean Women's Causal Perceptions of Hwabyung" Korean J Women Health Nurs, Vol.10, No.4, pp.283-290, 2004. 

  2. S. K. Min, M. H. Lee, J. H. Shin, M. H. Park, M. K. Kim, & H. Y. Lee, "A diagnostic study of Hwabyung" J Korean Med Assoc, Vol.29, No.6, pp.653-661, 1986. 

  3. S. K. Min, "A Study of the Concept of Hwabyung"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28, No.4, pp.604-616, 1989. 

  4. S. P. Tomas, "Distressing aspects of women's role, vicarious stress, and health consequences" Issues Ment Health Nurs, Vol.18, No.6, pp.539-557, 1997. DOI: http://dx.doi.org/10.3109/01612849709010339 

  5. K. K. Chon, W. W. Whang, J. W. Kim, & H. K. Park, "Emotional Stress and Hwabyung(An Anger Syndrom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2, No.1, pp.168-185, 1997. 

  6. J. W. Kim, K. K. Chon, & J. H. Lim, "Exploration of Hwabyung (anger syndrome)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constitutional medicine" Korean constitutional medicine, Vol.12, No.2, pp.193-203. 2001. 

  7. J. H. Kwon, D. G. Park, J. W. Kim, M. S. Lee, S. G. Min, & H. I. Kw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wa-Byung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7, No.1, pp.237-252, 2008. DOI: http://dx.doi.org/10.15842/kjcp.2008.27.1.014 

  8. I. C. Jung, S. R. Lee, Y. C. Park, K. E. Hong, Y. K. Lee, W. C. Kang, et al., " The Effect of Sa-am Acupuncture Simjeongkyeok Treatment for Major Symptom of Hwa-byung"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19, No.1, pp.1-18, 2008. 

  9. S. K. Min, & J. H. Kim, "A study of the Hwa-Byung in Bokil islan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25, No.3, pp.459-465. 1986. 

  10. S. H. Park, S. H. Seok, G. W. Kim, & B. S. Koo, "An improved case by operating the traditional oriental medical remedy with mindfullness to the Hwa-Byung patient suffering from insomnia and physical symptoms"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19, No.3, pp.231-244. 2008. 

  11. E. J. Bae, "(The)Clinical study of effectiveness of Yuldahansotang in Hwabyung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city. Seoul, 2009. 

  12. S. K. Min, S. Y. Suh, D. I. Jon, H. J. Hong, S. J. Park, & K. J. Song, "Effects of Paroxetine on Symptoms of Hwa-Byung"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Vol.20, No.2, pp.90-97, 2009. 

  13. H. C. Choi, "Family systems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the Church in Korea vase priva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i Univercity. Gyeonggi, 2003. 

  14. J. Y. Jeong, "The Effects of MAUM Meditation on Hwa-byung Symptoms, Mental Health Condition, Self esteem and Anger.Stress Coping Meth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unggji University Social Education, Seoul, 2008. 

  15. E. J. Min, "Healing function of Han in Christian spiritu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Yonsei University, Seoul, 2005. 

  16. S. J. Park, S. Y. Chung, W. W. Hwang, & J. W. Kim, "Effectiveness of Music-listening intervention on Hwa-byung Patients"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18, No.3, pp.23-41, 2007. 

  17. J. H. Yang, "A Study on Health Behavior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2, No.5, pp.694-705, 2002. 

  1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 J. W. Kim, J. H. Lee, S. K. Lee, H. J. Um, & E. W. Hwang, "A clinical study on Hwa-byung with Hwa-byung model of oriental medicine" Korean J Stress Res, Vol.4, No.2, pp.23-32, 1996. 

  20. W. G. Cochran, "Sampling techniques (3r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1977. 

  21. K. Krippendorff,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Beverly Hills: Sage, 2004. 

  22. K. D. Kim, & O. J. Lee, "Methods in social research" Seoul: Pakyoungsa, 1986. 

  23. D. K. Kim, & J. C. Yu, "Mass media research" Seoul: Nanam, 2005. 

  24. S. K. Min, & K, H. Kim, "Symptoms of Hwabyung"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37, No.6, pp.1138-1145, 1998. 

  25. Y. H. Lee, "A study on the processing mechanism of Hwa-byu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Daegu University of Korea, Daegu, 2003. 

  26. H. J. Lee, "The effect of life-stress, unfairness appraisal, and anger coping on Hwa-byung symptoms on middle-aged wom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09. 

  27. M. J. Kim, & M. H. Hyu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Hwa-byung of me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15, pp.19-33, 2010. 

  28. K. K. Chon, J. W. Kim, & H. K. Park, "Life stress and coping styles of Hwa-Byung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6, pp.9-23. 1998. 

  29. M. S. Kim, & S. H. Kim, "The effects of attribution about emotional dissonance and positive mood on the emotional regulation behavior"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21, pp.1-26, 2008. 

  30. H. J. Lee, J. M. Seo, & S. H. Ahn,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mong Family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J Korean Acad Nurs, Vol.33, No.6, pp.713-721,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