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유물의 문양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rtifact pattern representation of a method using digital technology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6 no.1, 2015년, pp.113 - 121  

구자봉 (Jungwon University Religion culture conten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유물의 문양표현 방법은 크게 디지털 탁본기술과 디지털 명암기술의 두 가지가 있다. 디지털 탁본기술은 유물에 새겨진 명문이나 문양을 원형의 훼손 없이 3차원으로 스캐닝하고 이를 객관적 수치로 입체화시켜 명암효과를 표현함으로써 디지털 탁본 데이터를 구축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원래의 명문이나 문양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말한다. 디지털 명암기술은 유물 표면의 유리질 피막으로 인해서 대상물의 깊이정보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 3차원으로 스캐닝하고 이를 실감이미지 맵핑기술을 응용하여 디지털 명암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기술을 말한다. 디지털 탁본기술은 주로 토기나 기와 그리고 비석 등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현된 명문이나 문양을 표현하는데 유용하며, 디지털 명암기술은 디지털 탁본기술이 적용될 수 없는 자기나 유리 등의 유물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tifact pattern representation of a method using the digital technology is largely are two digital rubbing technique and digital contrast technique. Digital rubbing technique is clearly with the naked eye to see the original prestigious and difficult to build a digital rubbing data patterns by sc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유물의 문양표현 방법을 살펴보는 가운데 우선 기존의 디지털 탁본데이터의 최적화를 통한 디지털 탁본 기술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다음으로 자기의 명암표현법에서 실감이미지 맵핑기술을 응용하여 디지털 명암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명암기술의 내용과 과정 그리고 기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유물의 문양표현 방법엔 무엇이 있는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유물의 문양표현 방법은 크게 디지털 탁본기술과 디지털 명암기술의 두 가지가 있다. 디지털 탁본기술은 유물에 새겨진 명문이나 문양을 원형의 훼손 없이 3차원으로 스캐닝하고 이를 객관적 수치로 입체화시켜 명암효과를 표현함으로써 디지털 탁본 데이터를 구축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원래의 명문이나 문양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말한다.
압출양각으로 표현된 자기의 경우에서 3차원의 입체적 유물을 2차원 도면 위에 나타내는 현재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자기의 경우 양각표현법 특히 압출양각으로 표현된 문양의 경우 일반적으로 3차원의 입체적 유물을 2차원 도면 위에 나타내기 위한 방법으로 손으로 직접 점을 찍어 조밀도에 따라 명암을 표시해 실물에 가깝도록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명암표현법은 많은 소요시간과 복잡한 작업 과정이 필요하며, 숙련도에 따라 결과물이 달라진다. 최근에는 명암표현법을 이용해 도면을 완성하는 것이 번거롭고 어려워 사진이미지를 가공하여 사용하기도 하나 이것은 1 : 1의 이미지가 아니므로 정확한 실측도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3D스캔데이터의 최적화를 통한 디지털 탁본 기술로는 명암표현법에 적용될 수 없는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문양이 양각표현법에 의해서 시문된 자기의 경우에는 디지털 탁본 기술이 아니라 디지털 명암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디지털 탁본기술은 무엇인가? 디지털 기술을 이용한 유물의 문양표현 방법은 크게 디지털 탁본기술과 디지털 명암기술의 두 가지가 있다. 디지털 탁본기술은 유물에 새겨진 명문이나 문양을 원형의 훼손 없이 3차원으로 스캐닝하고 이를 객관적 수치로 입체화시켜 명암효과를 표현함으로써 디지털 탁본 데이터를 구축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원래의 명문이나 문양을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말한다. 디지털 명암기술은 유물 표면의 유리질 피막으로 인해서 대상물의 깊이정보를 계산할 수 없는 경우 3차원으로 스캐닝하고 이를 실감이미지 맵핑기술을 응용하여 디지털 명암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지털 기술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oo jabong.Yoon sunhee, "Archaeological relics actual methods", Chunchugak, 2004. 

  2. Gyeongju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Gyeongju Namsan", 2004. 

  3. Koo jabong.Yoon sunhee, "Measured against the archaeological relics method using a 3D" TECHNOLOGY archaeological research, Ajou- university Museum, 2006. 

  4. Yoon sunhee,"Archaeological relics actual building systems",Pusan National Archaeology Master's Thesis, 2008. 

  5. Koo jabong,"3D scanning methods for building relics Cultural Heritage Digital"Journal of Korea culture & contents technology assoclation VOL.6 NO.11, Korea culture & contents technology assoclation, 2011. 

  6. Koo jabong,"Research of Digital Rubbed Coping Technology of Cultural Assets",Journal of Korea culture & contents technology assoclation VOL.8 No.2, 2013. 

  7. J. Zhu, L. Wang, R. Yang, and J. Davis. Fusion,"time-of fligh depth and stereo for high accuracy depth maps. in Proc", 2008. 

  8. S. Schuon, C. Theobalt, J. Davis, and S. Thrun. "Lid arboost: Depth superresolution for tof 3d shape scanning." in Proc, 2009. 

  9. S. Seitz, B. Curless, J. Diebel, D. Scharstein, and R. Szeliski. "A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multi-view stereo reconstruction algorithms". In Proc, 2006. 

  10. A. Swadzba, B. Liu, J. Penne, O. Jesorsky, and R. Kompe. "A comprehensive system for 3D modeling from range images acquired from a 3D ToF sensor." In Proc,, 2007. 

  11. Ga-Ram Jang,"Real-time Polygon Generation and Texture Mapping for Tele-operation using 3D point Cloud Data"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2013) 19(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