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MEMS 기반 루버 및 셔터 개폐형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는 온도 조건에 따라 방사율이 가변되어 효율적인 열 제어가 가능하나 발사 환경에서의 기계적 구동부의 취약점과 변경된 방사율 유지를 위해 지속적인 전력 소모가 요구되는 단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MEMS 기반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는 대전되는 비드를 사용하여 전극의 극성 변화에 따라 방사율 가변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EMS 기반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의 광학 물성치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고정 방사율 라디에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MEMS 기반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MS-based louver and shutter type conventional variable emissivity radiators change their emissivity properties in accordance with a temperature condition to achieve efficient thermal control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some drawbacks such as a structural safety of the mechanical moving part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비드 구동 실험을 통해 작동이 검증된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의 광학물성치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기 위해 상용 소프트웨어인 Thermal Desktop[8]을 사용하여 Fig. 3과 같은 수학적 열 해석 모델을 구축하였다. 고온 조건에서는 비드가 저 방사율 코팅부(ε=0.
  • 본 연구에서는 정전 효과로 대전되는 비드를 사용하여 전극의 극성 변화에 따라 방사율이 가변하는 MEMS 기반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의 광학 물성치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고 기존의 고정 방사율 라디에이터와 궤도 열 해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최적화 결과, 실리콘 재질의 덮개 상부는 저 흡수율·고 방사율, 하부는 고 흡수율·고 방사율을 갖는 광학 물성치와 비드는 대전 특성이 좋은 알루미나 비드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전 효과로 대전되는 비드를 이용하여 단 한 번의 전극 극성 변화에 따라 방사율 조정이 가능한 방식의 MEMS 기반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구동방식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MEMS 기반 루버 및 셔터 방식 라디에이터가 갖는 발사 환경에서의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가능하며, 정전효과에 의해 변경된 방사율 유지를 통해 지속적인 전력소모가 불필요로하며 소모 전력 최소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이와 같은 구동방식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MEMS 기반 루버 및 셔터 방식 라디에이터가 갖는 발사 환경에서의 구조적 취약점을 보완가능하며, 정전효과에 의해 변경된 방사율 유지를 통해 지속적인 전력소모가 불필요로하며 소모 전력 최소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라디에이터의 덮개와 구동부에 해당하는 비드 그리고 가변 방사면 등의 광학 물성치 최적화 설계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최적화된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와 고정 방사율 라디에이터와의 열 제어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궤도 열 해석 전용 소프트웨어인 SINDA/FLUINT를 이용한 궤도 열 해석을 실시하여 MEMS 기반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의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가설 설정

  •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의 크기는 셀단위의 라디에이터가 확장된 30 cm × 30 cm로 가정하였으며, 전장품의 발열 조건으로는 15 W를 적용하였다.
  • 라디에이터 덮개 재질 및 위치 선정을 위해 1mm 크기의 알루미나 비드를 적용하였으며 덮개 상·하부의 광학 물성치는 0.81/0.12(α/ε)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 제어를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위성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서브시스템 중 열제어 서브시스템은 위성이 운용되는 동안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저온 영역에서는 히터에 의해 열을 인가하고 고온 영역에서는 라디에이터에 의해 열을 방출하여 위성의 작동 허용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1]. 열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는 MLI(Multi Layer Insulation), OSR(Optical Solar Reflector), SSM(Second Surface Mirror), 표면코팅 등 소재 자체 특성을 이용하는 수동적 열 제어 방식과 히터, 루버 방식 라디에이터 등 열 제어 장치를 통해 열 제어를 실시하는 능동적 방식이 있다. 그 중 OSR, SSM과 같은 라디에이터는 열 광학 물성 특성을 이용해 발열원의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고정된 방사율로 인해 탑재 장비의 비운용 시에 지속적인 방열에 의한 열 손실로 히터와의 조합에 의한 열 제어가 요구된다.
가변 방사율 라디에이터의 능동형 방식은 어떻게 개발 및 개선되었는가? 능동형 방식으로는 D. Farrar 등[5]이 탑재 장비의 온도 조건에 따라 루버가 개폐하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반 루버 라디에이터를 개발하여 기존의 대형 위성에 적용되던 루버 방식 라디에이터의 문제점인 부피와 무게를 크게 축소하였다. R. Osiander 등[6]은 루버 방식이 극심한 발사 환경에서의 기계적 구동부가 갖는 취약점을 셔터 방식으로 보완하여 설계를 개선하였다.
열제어 서브시스템의 역할은 무엇인가? 위성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서브시스템 중 열제어 서브시스템은 위성이 운용되는 동안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저온 영역에서는 히터에 의해 열을 인가하고 고온 영역에서는 라디에이터에 의해 열을 방출하여 위성의 작동 허용온도 범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1]. 열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는 MLI(Multi Layer Insulation), OSR(Optical Solar Reflector), SSM(Second Surface Mirror), 표면코팅 등 소재 자체 특성을 이용하는 수동적 열 제어 방식과 히터, 루버 방식 라디에이터 등 열 제어 장치를 통해 열 제어를 실시하는 능동적 방식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S. M. Shin, H. U. Oh, "Thermal Design and Analysis for Space Imaging Sensor on LE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2011, Vol. 39, No. 5, pp. 474-480 

  2. K. Shimazaki, S. Tachikawa, A. Ohnishi, Y. Nagasaka, "Temperature Dependence of Total Hemispherical Emittance in Perovskitetype Manganese Oxides, $La_{1-x}Sr_{x}MnO_{3}$ ", High Temperature-High Pressures, 2001, Vol. 33, pp. 525-531 

  3. K. Shimazaki, A. Ohnishi, Y. Nagasaka, "Development of Spectral Selective Multilayer Film for a Variable Emittance Device and Its Radiation Properties Measur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mophysics, 2003, Vol. 24, pp. 757-769 

  4. S. W. Han, B. S. Choi, T. H Song, S. J Kim, B. J Le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Variable Emittance Material Based on $(La, Sr)MnO_3$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37, No. 6, 2013, pp. 583-590 

  5. D. Farra, W. Schneider, R. Osiander, J.L. Champion, M.A.G. Darrin, D. Douglas, T.D. Swanson, "Controlling Variable Emittance (MEMS) Coating for Space Applications", Inter Society Conference on Thermal Phenomena, 2002, Vol. 8, pp. 1020-1024 

  6. R. Osiander, S.L. Firebaugh, J.L. Champion, D. Farra, M.A.G. Darrin,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for Satellite Thermal Control", IEEE Sensors Journal, 2004, Vol. 4, No. 4, pp. 525-530 

  7. C. U. Lee, H. W. Ha, H. U. Oh, T. K. Kim, "Experimental Validation of MEMS-based Variable Emissivity Radiator for Space Ap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n MEMS Conference, 2014 

  8. D. Panczak, G. Ring, J. Welch, D. Johnson, P. Bell, "Sinda/Fluint Thermal Desktop User's Manual", C&R Technology, 2008 

  9. V. V. Vlassov, F. L. Sousa, A. P. C. Cuco, A. J. S. Neto, "New Concept of Space Radiator with Variable Emittance", Journal of the Brazilian Society of Mechan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Vol. 32, No. 4, 2010, pp. 400-408 

  10. M. Darrin, R. Osiander, J. Lehtonen, D. Farrar, "Novel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Packaging for the Skin of the Satellite", 2004 IEEE Aerospace Conference,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