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VdF/GO 복합 나노섬유 평막의 제조 및 활성슬러지 내 투과특성
Preparation of PVdF/GO Composite Nanofibrous Flat Membrane and its Permeation Characteristics in Activated Sludge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5 no.1, 2015년, pp.67 - 74  

원인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장원기 (계명대학교 화학시스템 공학과) ,  정건용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변홍식 (계명대학교 화학시스템 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dimethylformamide (DMF)와 acetone의 혼합용액에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GO)을 분산시키고 기질 고분자인 PVdF (polyvinylidene fluoride)를 도입하여 전기방사법으로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또한 PVdF/GO 복합 나노섬유를 평막 형태로 적층시켜 기공크기 $0.4{\mu}m$인 정밀여과막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GO의 고유한 항균 특성으로 생물학적 오염을 줄일 수 있는 PVdF/GO 복합막의 막오염을 평가하기 위하여 막간 압력차(transmembrane pressure, TMP)를 측정하였다. 유효 막면적이 $0.01m^2$인 PVdF/GO 평막과 상용화된 MBR용 CPVC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평막을 MLSS 4,500 mg/L인 활성슬러지 수용액 내에서 동시에 투과 실험하였다. 공기를 주입하지 않을 경우, 투과유속이 $10L/m^2{\cdot}h$일 때 PVdF/GO 막의 TMP는 CPVC 막의 최대 79%까지 감소하였다. 또한 운전/휴직 방식으로 운전할 경우, $10L/m^2{\cdot}h$일 때 PVdF/GO 막의 TMP는 CPVC 막의 최대 69%까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nanofiber wa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method with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a completely dispersed solution of graphene oxide (GO) in the mixed solvent of dimethylformamide (DMF) and acetone. The $0.4{\mu}m$ pore size microfiltration flat membrane was mad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실적으로 제조한 GO가도입된 친수성 PVdF(polyvinylidene fluoride)/GO 분리막을 제조하고 이를 하폐수 처리용 분리막에 적용하여 막 오염 제어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적 규모의 MBR 활성슬러지 시스템에 정밀여과용 PVdF/GO 평막을 침지시키고 투과 시간에 따른 분리막간 차압(transmembrane pressure, TMP)을 측정하여 분리막 투과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BR공정 중 분리막의 오염의 제어를 위해 하는 방법과 이에 따라 운전비용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45 µm 이하의 용해성 대사 생성물질(soluble microbial products, SMP) 등으로 구성되어 심각한 막오염을 일으킨다[9,10]. 따라서 이와 같은 막오염 제어를 위한 과량의 공기를 공급하며 이에 따른 에너지 비용 상승과 분리막 세정을 위한 약품비 등으로 운전비용이 높은 편이다[11]. 그리므로 MBR 공정 중 분리막의 오염을 최소화시키는 방안으로 모듈 디자인의 최적화, 간헐적 흡입, 임계 투과유속 이하 운전[12,13], 역세척 [14], 간헐적 산기[15,16], 응집제 주입[17] 등의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며 MBR의 투과유속 증가를 위한 새로운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graphene의 특성은? 2004년 스카치테이프를 이용하여 graphene의 박리가 성공함에 따라 graphene에 대한 많은 특성들이 연구되어져 왔다. graphene은 이차원적 탄소의 sp2 혼성결합을 하고 있는 육각 벌집 모양으로 단원자층 평면의 구조를 하고 있으며 강한 반데르발스 힘으로 층간결합을 이루고 있어 높은 전하 이동도, 전류밀도 특성을 가지고, 내화학성 및 열전도도가 뛰어나며 화학적 기능화가 가능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1,2]. 이러한 graphene을 얻기 위하여 top-down방식으로 기계적 박리(mechanical exfoliation), 화학적 박리(chemical exfoliation) 그리고 비산화 박리(nonoxidative exfoliation)법 등을 활용하고 있다.
graphene을 얻는 방법은? graphene은 이차원적 탄소의 sp2 혼성결합을 하고 있는 육각 벌집 모양으로 단원자층 평면의 구조를 하고 있으며 강한 반데르발스 힘으로 층간결합을 이루고 있어 높은 전하 이동도, 전류밀도 특성을 가지고, 내화학성 및 열전도도가 뛰어나며 화학적 기능화가 가능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1,2]. 이러한 graphene을 얻기 위하여 top-down방식으로 기계적 박리(mechanical exfoliation), 화학적 박리(chemical exfoliation) 그리고 비산화 박리(nonoxidative exfoliation)법 등을 활용하고 있다. 이들 중 화학적 박리는 산화 흑연(graphite oxide) 으로부터 산화그래핀(graphene oxide, GO)의 박리를 유도하며, 환원을 통하여 GO의 전기적 특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K. Geim, "Graphene: Status and prospects" Science, 324, 1530 (2009). 

  2. S. Stankovich, D. A. Dikin, G. H. B. Dommett, K. M. kohlhaas, E. J. Zimmney, E. A. Stach, R. D. Piner, S. B. T. Nguyen, and R. S. Ruoff, "Graphene-based composite materials", Nature, 442, 282 (2006). 

  3. S. Park and R. S. Ruoff, "Chemical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graphenes", Nat. Nanotechnol., 4, 217 (2009). 

  4. J. I. Paredes, S. Villar-Rodil, A. Martinez-Alonso, and J. M. D. Tascon, "Graphene oxide dispersions in organic solvents", Langmuir, 24(19), 10560 (2008). 

  5. H. Du, J. Li, J. Zhang, G. Su, X. Li, and Y. Zhao, "Separation of hydrogen and nitrogen gases with porous graphene membrane", J. Phys. Chem. C, 115, 23261 (2011). 

  6. H. M. Jung, W. D. Chen, W. S. Yang, and H. S. Byun, "Study on the PVdF nanofibers and graphene oxide hybrid membrane", Membr. J., 23(3), 204 (2013). 

  7. W. G. Jang, J. H. Yun, and H. S. Byun, "Praparation of PAN nanofiber composite membrane with $Fe_3O_4$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and its application as a water treatment membrane", Membr. J., 24(2), 151 (2014). 

  8. K. Sutherland, "The rise of membrane bioreactors", Filtration & Separation, 47, 14 (2010). 

  9. M. Pribyl, F. Tucek, P. A. Wilderer, and J. Wanner, "Amount and nature of soluble refractory organics produced by activated sludge microorganisms in sequencing batch and continuous flow reactors", Water Sci. Tech., 35, 27 (1997). 

  10. V. J. Boero, W. W. Eckenfelder, Jr., and A. R. Bowers, "Soluble microbial product formation in biological systems", Water Sci. Tech., 23, 1067 (1991). 

  11. A. Fenu, J. Roels, T. Wambecq, K. De Gussem, C. Thoeye, G. De Gueldre, and B. V. D. Steene, "Energy audit of a full scale MBR system", Desalination, 262, 121 (2010). 

  12. J. Lebegue, M. Heran, and A. Grasmick, "Membrane bioreactor: distribution of critical flux throughout an immersed HF bundle", Desalination, 231, 245 (2008). 

  13. W. S. Guo, S. Vigneswaran, H. H. Ngo, and W. Xing,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acclimatized wastewater for membrane bioreactors" Desalination, 207, 383 (2007). 

  14. J. Y. Park and J. H. Hwang, "Hybrid Water Treatment of Photocatalyst Coated Polypropylene Beads and Ceramic Membranes: Effect of Membrane and Water Back-flushing Period", Membr. J., 23, 211 (2013). 

  15. F. Wicaksana, A. G. Fane, and V. Chen, "Fibre movement induced by bubbling using submerged hollow fibre membranes", J. Membr. Sci., 271, 186 (2006). 

  16. Y. K. Choi, O. S. Kwon, H. S. Park, and S. H. Noh, "Mechanism of Gel Layer Removal for Intermittent Aeration in the MBR Process", Membr. J., 16, 188 (2006). 

  17. K. Y. Kim, J. H. Kim, Y. H. Kim, and H. S. Kim, "The Effect of Coagulant on Filtration Performance in Submerged MBR System", Membr. J., 16, 182 (2006). 

  18. I. H. Won, D. C. Kim, and K. Y. Chung, "Transmembrane Pressure of the Sinusoidal Flux Continuous Operation Mode for the Submerged Flat-sheet Membrane Bioreactor in Coagulant Dosag", Membr. J., 25, in press (2015). 

  19. H. Jabeen, K. C. Kemp, and V. Chandra, "Synthesis of nano zerovalent iron nanoparticles- Graphene composite for the treatment lead contaminated water", J. Environ. Manage., 130, 429 (2013). 

  20. K. H. Hwang, B. M. Kwon, and H. S. Byun, "Preparation of PVdF nanofiber membranes by electrospinning and their use as secondary battery separators", J. Membr. Sci., 378, 11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