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 엽록소와 고분자 나노섬유를 이용한 광합성 나노섬유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hotosynthesis Nanofiber Composite Membrane by Using Chlorophyll and Polymer Nanofiber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5 no.1, 2015년, pp.75 - 83  

윤재한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장원기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  변홍식 (계명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채취할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하여 엽록체를 추출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PP부직포 위에 도포하여 복합막을 제작하였으며, 산소 발생여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조된 엽록체의 도입 방법에 따른 실험에서, 딥(dipping) 코팅법과 스프레이(spraying) 코팅법을 이용하였으며, 밀폐된 용기와 진공오븐 내 초를 이용한 연소 시험 모두에서 스프레이 코팅이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엽록체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nylon6/6 나노섬유를 PP부직포 위에 전기방사하여 복합지지체를 제조한 후, 엽록체를 도입하여 제조한 샘플의 경우, 나노섬유가 도입되지 않은 샘플에 비해 낮은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iO_2$가 포함된 샘플들의 경우, 포함되지 않은 샘플들에 비해 엽록체 함량이 50%가 도입되었지만, 16%에서 21%까지 도달되는 시간과 초를 이용한 연소실험에서 각각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입된 스프레이 코팅법과 $TiO_2$ 접목은 산소발생용 분리막 및 공기청정기용 필터소재로의 응용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hlorophylls were been extracted from common local plants, deposited on polypropylene (PP) substrate using various approaches, and the oxygen generation effect of the chlorophylls were investigated. The loading of chlorophylls on the substrates was achieved by dipping and spraying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는 광화학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유해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환경정화(항균, 탈취효과)하는데 이용되거나, 초친수성 기능을 응용하여 셀프크리닝 효과가 있는 유리 및 타일, 공기청정기, 커튼, 벽지, 인공관엽식물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iO2를 엽록체에 복합화할 경우 광합성반응의 활성을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각각의 흡광도를 분석하여 증가여부를 확인하였다. TiO2 농도별 흡광도를 측정하여 Fig.
  • 본 연구에서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채취할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하여 엽록체를 추출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PP부직포 위에 도포하고, 복합막형태로 제조하여 산소 발생여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류(망초, 민들레) 식물을 이용하여 엽록체를 추출하고, 부직포 복합화를 통해 산소발생용 필터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표면적의 증가를 위해 부직포 위에 nylon을 이용한 나노섬유복합화를 통해 엽록체의 활성 증가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였다.
  • 7의 CNS 샘플의 결과와 같이 활성이 증가되지 않는다는 결과(91 min)를 얻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TiO 2 광촉매를 엽록체와 복합화한 용액을 도입한 연구를 더불어 진행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엽록체의 활성 증가에 nylon이 적합한 이유는? 그리고 표면적의 증가를 위해 부직포 위에 nylon을 이용한 나노섬유복합화를 통해 엽록체의 활성 증가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였다. 사용된 Nylon6/6의 경우 친수특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 중의 수분을 원활히 엽록체로 공급하여 다른 소재에 비해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흡수법은 어떤 물질을 이용하는가? 따라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산업에서는 크게 흡수법, 흡착법, 막분리법, 승화법 등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중 메탄올, 암모니아수, 아민류를 이용한 흡수법이 대표적인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3-8].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는 공기정화 장치를 설치하거나, 실내에 식물을 배치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1].
대기오염물질 중 이산화탄소는 어떻게 발생하는가? 도시의 산업화와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도시형 대기오염 물질의 발생이 증가되고 있다. 대기오염 물질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그중 지구 이산화탄소의 경우 미생물의 분해 작용이나 인간의 물질 대사 과정 및 실내에서 사용되는 개방형 연소기구의 작동으로 다량 발생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의 발생은 실내에서 85~90%를 보내는 현대 도시인들에게 호흡장애, 두통 및 어지러움 등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A. Park, M. G. Kim, M. H. Yoo, M. M. Oh, and K. C. Son, "Comparison of Indoor $CO_2$ Removal Capability of Five Foliage Plants by Photosynthesi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8, 864 (2010). 

  2. S. J. Lee, C. Y. Oh, S. H. Han, K. W. Kim, and P. G. Kim, "Photosynthetic Responses Populus $alba{\times}glandulosa$ to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Air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6, 22 (2014). 

  3. K. H. Lee, "Membrane Seperation of Carbon Dioxide", Membr. J., 4, 78 (1994). 

  4. A. S. Woong, "A study on estimation of reduction technology for $CO_2$ from fossil-fuelled power plant", Master Degree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006). 

  5. D. H. Cho, J. H. Rho, D. S. Kim, and J. H. Cho, "A Study for Carbon dioxide Removal Process Using Methanol Solvent in DME Manufacture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 1502 (2013). 

  6. J. J. Kang, J. H. Noh, J. S. Ahn, and J. H. Cho,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rbon dioxide removal capability between the processes using physical solvent and membrane proces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 6590 (2013). 

  7. C. K. Yeom, H. S. Ahn, K. R. Kang, J. Y. Kim, J. S. Han, and K. O. Kwon, "Development of Adsorptive Permeation Membrane (APM) and Process for Separation of $CO_2$ from gas mixtyres", Membr. J., 23, 409 (2013). 

  8. J. K. You, H. S. Park, W. H. Hong, J. K. Park, and J. N. Kim, "Effect of Precipitation on Operation Range of the $CO_2$ Capture Process using Ammonia Water Absorbent",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45, 258 (2007). 

  9. G. W. Lee, "A Recent Technology Advance of the Oxygen Generator and its Future Trend", Master Degree Dissertation, Anyang University, Anyang (2010). 

  10. J. P. Kim, S. H. Son, J. H. Park, and Y. T. Lee, "Preparation and Oxygen Permeability of Nb-doped BCFN Ceramic Membrane", Membr. J., 21, 55 (2011) 

  11. H. Y. Kim,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mass- based nylon copolymers", Master Degree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014). 

  12. S. S. Shin, S. H. Park, Y. S. Lee, M. J. Jung, and H. K. Choi, "Prepar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ylon/Clay Nanocompo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pplication, 12, 5 (2009) 

  13. S. C. Park, H. G. Kim, and K. E. Min, "Effect of MMT on Anti-Water Absorption of Polyamide/MMT Nanocomposites", Polymer(Korea), 37, 113 (2012). 

  14. N. Shi, X. Li, T. Fan, H. Zhou, D. Zhang, and H. Zhu, "Artificial chloroplast: Au/chloroplast-morph- $TiO_2$ with fast electron transfer and enhanced photocatalytic activ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39, 5617 (2014). 

  15. I. H. Park, S. H. Seo, H. J. Lee, C. B. Lee, and Y. G. Sunwoo,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olyvinylalcohol-Immobilized Spinach Chloroplasts", Korean J. Bot, 34, 215 (1991). 

  16. M. S. Cho, K. W. Kwon, G. N. Kim, and S. Y. Woo, "Chlorophyll Contents and Growth Performances of the Five Deciduous Hardwood Species Growing Under Different Shade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 149 (2008). 

  17. S. J. Lee, "Effects of experimental warming on growth, chlorophyll contents and net photosynthetic rate of Quercus variabilis seedings", Master Degree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