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물 격자지도 기반 가상차선 추정 기법
A Method for Virtual Lane Estimation based on an Occupancy Grid Map 원문보기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21 no.8, 2015년, pp.773 - 780  

안성용 (국방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vigation in outdoor environments is a fundamental and challenging problem for unmanned ground vehicles. Detecting lane markings or boundaries on the road may be one of the solutions to make navigation easy. However, because of various environments and road conditions, a robust lane detection is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에 반해 해당 두 분야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군수와민수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가상의 차선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장애물 격자지도 상에서차량이 주행하기 위한 도로의 영역을 결정하고, 가상의 차선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2차원 곡선을 기반으로 도로의모델을 생성한 후 생성된 모델들 중에서 가장 전방 도로를잘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을 선택함으로써 가상 차선을 추정한다.
  • 다시 말해 도로모델은 시작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s의 범위만큼 좌 /우측 방향의 곡선을 표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의 곡선모델을 상기 정해진 도로의 너비 怀만큼 떨어진 좌/우에동일한 곡률의 곡선을 위치시킴으로써 도로의 영역을 생성한다. 따라서 도로의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좌/우측 도로모델의 (%, 饥)를 먼저 결정해야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상기의 두 가지 가정을 이용하여 차량 전방에서 도로 모델의 생성 기준 위치를 찾아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모델과 현재 프레임의 장애물 격자지도 정보뿐만 아니라 이전 프레임의 도로 영역 결정 결과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더 정확한 도로 영역을 찾고자 한다. 가상 차선의 결과 또한 현재와 이전의 결과를 피팅함으로써 결과의갑작스러운 변동을 최소화 한다.
  • 그러므로 올바른 경로계획을 위해서는 장애물 격자지도에서 주행을 위한 영역을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물 격자지도에서 차량 전방에 존재하는 도로의 영역을 결정하고, 가상차선을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올바른 경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장애물 격자지도를 기반으로 한 가상의차선을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의장애물 격자지도가 도로의 경계 혹은 형태를 정확히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환경인식의 결과인 장애물 격자지도를 기반으로 하여 차량 전방에 주행을 위한 도로의 영역을 결정함으로써 자율주행을 위한 가상의 차선을 추정하는 것을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기법은 먼저 도로의 일반적인 특징 및 2차원 곡선의 도로모델을 정의한 후, 현재 프레임의 장애물 격자지도에 포함된주행 가능 확률값과 이전 프레임에 결정된 도로영역을 기준으로 현재의 도로 영역을 결정한다.
  • 본 논문의 도로영역은 앞서 설명된 것과 같이 장애물 격자지도의 확률 값과 이전 프레임에서 결정된 도로영역과의유사도를 파악함으로써 결정된다. 하지만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유사도 파악에 있어서 차량 진행방향과 좌우방향에 별도의 가중치가 없지만, 실제 차량 주행에 있어서는 좌우방향으로의 변화가 차량 주행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2차원 곡선을 기반으로 도로의모델을 생성한 후 생성된 모델들 중에서 가장 전방 도로를잘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을 선택함으로써 가상 차선을 추정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기법에서는 먼저 장애물 격자지도로표현된 도로의 영역을 포함하는 도로 모델을 생성하고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차량 주변환경에 대한 인식결과를 기반으로 먼저 주행을 위한 가상의 도로영역을 결정한 후 해당 영역 상에서 가상의 차선을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네 개의 핵심 기술로 구성된다.

가설 설정

  • 제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네 개의 핵심 기술로 구성된다. : (i) 단위 환경인식 기법(지형 모델링, 지형인지 둥)의 결과가 융합되어 차량 주변 환경을 격자화 된 지도로 표현하는 장애물 격자지도를 환경인식 결과로 활용함, (ii) 장애물 격자지도 상에서 도로영역은 차량 전방의 장애물이 없는 영역으로 표현되기 때문에이러한 특징을 활용하여 도로의 영역을 탐지함, (ⅲ) 정확한도로영역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로의 모델을 생성하고 현재프레임의 장애물 격자지도 이전 프레임에서 결정된 도로영역 정보를 함께 활용하여 도로의 영역을 결정함, (ⅳ) 결정된 도로의 영역은 도로의 양 경계 및 내부의 차선을 포함하기 때문에 해당 영역을 기준으로 가상의 차선을 추정함.
  • 해당 과정의 예시는 그림 5와 같다. 그림 5의 a)와 같이 t—1 프레임의 장애물 격자지도에 대한 도로 영역이 결정되면, 그림 5의 b) 회색 영역과 같이 해당 도로 영역을 t프레임의 항법 위치로 옮긴다. 그 후 흰색 실선으로 표현된 도로 모델과 비교하여 스코어를 계산한다.
  • 그림 3의 a)와 같이 도로는 갑자기 끊어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센서 정보 획득 주기에 비춰보면 그 변화가 급격하게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도로의 영역은 현재 프레임과 이전프레임의 차이가 적은 것이 더 올바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림 3의 b)와 같이 차량은 도로 상에 위치하여전방의 도로에 대한 센서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찾고자 흐}는 도로의 영역은 센서정보를 기준으로 전방 어딘가에 존재함을 가정할 수 있다.
  • 가정 1: 도로는 연속적이며, 완만히 변한다.
  • 가정 2: 차량은 주행하고자 하는 도로 상에 위치한다. 각 가정에 대한 설명은 그림 3과 같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결정된 도로영역에서 일반적인 도로는 각각의 차선 간의 거리는 동일하다는 가정을 통하여가상의 차선을 추정한다. 즉, 가상의 차선은 도로영역의 좌/ 우측 경계를 각각 도로의 최외각 차선으로 하고, 영역 내부에 S+i)개의 차로를 구성하는 "개의 차선으로서 동일한너비를 가지고 존재한다.
  • 두 번째 요소로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관계를 고려하여 스코어를 계산한다. 논문에서 도로는 연속적이며 완만히 변함을 가정하였고, 10Hz 갱신속도의 장애물격자지도를 기반으로 50km/h의 속도로 주행한다고 하여도 한 프레임 간 이동 거리는 약 1.4m로 차량의 전방 30m를 표현하는 장애물 격자지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이기 때문에 이전 프레임의 도로영역과 현재 프레임의 도로 영역이 모두 정확하다면 서로정확히 겹쳐져야 한다. 반대로 그 차이가 클 경우 잘못된결과가 발생했음을 판단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모델 선택의 기준을 세우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도로의 일반적인 특징에 대하여 가정한다.
  • 본 논문에서는 차량은 도로 상에 위치함을 가정하였고, 근거리에서는 도로는 거의 직선에 가깝기 때문에 미리정해진 도로의 너비와 차량 전방으로 길이를 가진 직사각형윈도우를 통하여 차량 전방의 도로 경계를 추정한다. 다시말해 (2)와 같이 차량의 위치 (% 泓, )를 기준으로 너비 W, 길이 L만큼의 윈도우를 ±W/2 범위로 움직이며 각각의 포함된 주행 가능한 확률을 장애물 격자지도로부터 계산하여 가장 그 확률이 높은 윈도题 찾음으로써 경계를 찾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 Thrun, M. Montemerlo, H. Dahlkamp, D. Stavens, A. Aron, J. Diebel, P. Fong, J. Gale, M. Halpenny, G. Hoffmann, K. Lau, C. Oakley, M. Palatucci, V. Pratt, P. Stang, S. Strohband, C. Dupont, L. Jendrossek, C. Koelen, C. Markey, C. Rummel, J.V. Nieker, E. Jensen, P. Alessandrini, G. Bradski, B. Davies, S. Ettinger, A. Kaehler, A. Nefian, and P. Mahoney, "Stanely: The robot that won the DARPA Grand Challenge," Journal of Field Robotics, vol. 23, no. 9, pp. 661-692, Sep. 2006. 

  2. G.-Y. Song and J.-W. Lee, "Path planning for autonomous navigation of a driverless ground vehicle based on waypoints,"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20, no. 2, pp. 211-217, Feb. 2014. 

  3. J. C. McCall and M. M. Trivedi, "Video-based lane estimation and tracking for driver assistance: survey, system, and evaluation," IEEE Tra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7, no. 1, pp. 20-37, Mar. 2006. 

  4. M. Bertozzi and A. Broggi, "GOLD: a parallel real-time stereo vision systems for generic obstacle and lane detection," IEEE Trans. on Image Processing, vol. 7, no. 1, pp. 62-81, Jan. 1998. 

  5. T. Veit, J. Tarel, P. Nicolle, and P. Charbonnier, "Evaluation of road marking feature extraction," Proc. of IEE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pp. 174-181, Oct. 2008. 

  6. Y. Wang, E. K. Toeh, and D. Shen, "Lane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B-Snake," Image and Vision Computing, vol. 22, no, 4, Apr. 2004. 

  7. S. Zhou, Y. Jiang, J. Xi, J. Gong, G. Xiong, and H. Chen, "A novel lane detection based on geometrical model and gabor filter," Proc. of IEEE Intelligent Vehicles Symposium, pp. 59-64, Jun. 2010. 

  8. K. Y. Chiu and S. F. Lin, "Lane detection using color- based segmentation," Proc. of IEEE Intelligent Vehicles Symposium, pp. 706-711, Jun. 2005. 

  9. Y. Alon, A. Ferencz, and A. Shashua, "Off-road path following using region classification and geometric projection constraints," Proc. of IEEE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pp. 689-696, Jun. 2006. 

  10. H. Dahlkamp, A. Kaehler, D. Stavens, S. Thrun, and G. Bradski, "Self-supervised monocular road detection in desert terrain," Proc. of Robotics: Science and Systems II, 2006. 

  11. H. Kong, J. Y. Audibert, and J. Ponce, "General road detection from a single image," IEEE Trans. on Image Processing, vol. 19, no. 8, pp. 2211-2220, Aug. 2010. 

  12. H.-W. Kim, Y.-S. Hwang, Y.-G. Kim, D.-H. Lee, and J.-M. Lee, "A real time lane detection algorithm using LRF for autonomous navigation of a mobile robot,"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19, no. 11, pp. 1029-1035, Nov. 2013. 

  13. T. Weiss, B. Schiele, and K. Dietmayer, "Robust driving path detection in urban and highway scenarios using a laser scanner and online occupancy grids," Proc. of IEEE Intelligent Vehicles Symposium, pp. 184-189, Jun. 2007. 

  14. M. Konard, M. Szczot, and K. Dietmayer, "Road course estimation in occupancy grids," Proc. of IEEE Intelligent Vehicles Symposium, pp. 412-417, Jun.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