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 하구역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Redlip Mullet (Chelon haematocheilus)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27 no.2, 2015년, pp.133 - 141  

김민규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최건식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신문경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김병표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한경남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강 하구역 가숭어 자원생태의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13년 6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총 12개월 동안 한강 하구역에서 어획된 가숭어를 구입하여 연령사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가숭어의 주 산란시기는 5월로 추정하였고, 윤문은 1월 (연 1회)에 형성하였다. 체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TW=0.0124SL^{3.0133}$($r^2=0.9931$)였다. 가숭어의 매개변수는 이론적 최대 체장 ($L_{\infty}$)은 61.3 cm, 성장계수 (K)는 가숭어 전체 $0.29yr^{-1}$, 체장이 0일 때 이론적 연령 ($t_0$)은 - 0.05 yr로 추정하였다. 해역별 가숭어의 성장을 비교해 본 결과, 가숭어는 하구역에서 주로 성육을 하며, 연령과 성장매개변수를 제공함으로써 추후 가숭어 자원생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e and growth of redlip mullet, Chelon haematocheilus were determined using samples collected in Han River estuary of Korea from June, 2013 to May, 2014. Age was determined from sagital otoliths and Annul marks were formed in January once a year. In addition, spawning season was estimated in May,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 생태학적 기본 정보인 연령과 성장 연구를 함으로서 Von Bertalanffy 성장매개변수인 이론적 최대체장 (L∞), 성장계수 (K), 체장이 0일 때 연령 (t0)을 제공하여 가숭어의 자원 생태적 연구를 보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숭어의 영명과 일명은 무엇인가? 숭어과 (Mugilidae)는 전 세계적으로 25속 72종이 분포하며 (Durand et al., 2012), 그 중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Temminck and Schlegel 1845)는 숭어 (Mugil cephalus), 등줄숭어 (Chelon affinis)와 함께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어류로 영명은 Redlip mullet, So-iny mullet, 일명은 メナダ로 알려져 있다. 가숭어는 우리나라 전 연안,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 유럽 등에 서식하며 (Li et al.
한강 하구역의 환경변화로 생기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한강 하구역은 수도권과 인접하여 개발압력이 항상 높으며, 수도권 매립, 신공항 건설 등대규모 토목사업에 의해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환경변화로 인한 회유성 어종들의 생태에 지속적으로 위협이 있는 실정이다.
가숭어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12), 그 중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Temminck and Schlegel 1845)는 숭어 (Mugil cephalus), 등줄숭어 (Chelon affinis)와 함께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어류로 영명은 Redlip mullet, So-iny mullet, 일명은 メナダ로 알려져 있다. 가숭어는 우리나라 전 연안, 중국, 일본, 대만, 러시아, 유럽 등에 서식하며 (Li et al., 2006), 식성은 잡식성으로 주로 규조류, 저서 미세조류를 섭이하고 (Cardona, 2006; Lin et al., 2007), 하구역에 서식하는 광염성 어종으로 하구역과 담수를 왕복 회유한다 (Minos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rett, J.R. 1979.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In: Hoar, W.S. (ed.), Fish physiology, vol 3. Academic, New York, pp. 599-675. 

  2. Cardona, L. 2006. Habitat selection by grey mullets (Osteichthyes: Mugilidae) in Mediterranean estuaries: the role of salinity. Scientia Marina, 70: 443-455. 

  3. Chang, C.W. and Y. Iizuka, 2012. Estuarine use and movement patterns of seven sympatric Mugilidae fishes: The Tatu Creek estuary, central western Taiwan.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06: 121-126. 

  4. Chang, C.W., Y. Iizuka and W.N. Tzeng. 2004. Migratory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grey mullet Mugil cephalus as revealed by otolith Sr : Ca ration. Marine Ecology, 269: 277-288. 

  5. Chang, I.Z. 2010. Marine Fisheries Resource Ecology. Pukyung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114-208. (in Korean) 

  6. Chang, I.Z. 2011. Age and growth of the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the coastal water of Yeosu.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3: 203-213. (in Korean) 

  7. Chung, P.R., W.M. Sohn, Y.G. Jung, S.H. Pai and M.S. Nam. 1997. Five human cases of Diphyllobothrium latum infection through eating raw flesh of redlip mullet, Liza haematocheila.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104: 283-290. (in Korean) 

  8. Durand, J.D., W.J. Chen, K.N. Shen, C. Fu and P. Borsa. 2012. Genus-level taxonomic changes implied by the mitochondrial phylogeny of grey mullets (Teleostei: Mugilidae). Comptes rendus biologies, 335: 687-697. 

  9. Glasser, F., T. Mikolajczyk, B. Jalabert, J.F. Baroiller and B. Breton. 2004. Temperature effects along the reproductive axis during spawning induction of grass carp Ctenopharyngodon idella. General and comparative endocrinology, 136: 171-179. 

  10. Gonzalez Castro, M., V. Abachian and R.G. Perrotta 2009. Age and growth of the striped mullet, Mugil platanus (Actinopterygii, Mugilidae), in a southwestern Atlantic coastal lagoon (37 $^{\circ}$ 32' S-57 $^{\circ}$ 19' W): a proposal for a life-history model. Journal of Applied Ichthyology, 25: 61-66. 

  11. Gray, J. and S.B. Setna. 1931. The growth of fish. IV. The effect of food supply on the scales of salmo irrideus. J. Exp. Biol., 9: 55-62. 

  12. Han, Z.Q., G. Han, T.X. Gao, Z.Y. Wang and B.N. Shui. 2013.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of Liza haematocheilus in north-western Pacific detected by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arkers. Journal of the Marine Biological Association of the United Kingdom, 93: 373-379. 

  13. Hong, J.M., J.S. Yoon and T.W. Lee. 2014. Age and Growth of Flathead Grey Mullet Mugil Cephalus Collected by a Two-side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 off Taean,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6: 194-201. (in Korean) 

  14. Hossain, M.A.R. and M. Furuichi. 2000. Essentiality of dietary calcium supplement in redlip mullet, Liza haematocheila. Aquaculture Nutrition, 6: 33-38. 

  15. Hwang, S.D. and J.G. Rhow. 2010.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Estuarine Fauna Collected by a Stow Net in the Han River Estuary o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5: 79-85. (in Korean) 

  16. Kang, B., W. Xian and R. Liu. 2005. Transporting nutrients from sediments: nitrogen and carbon as indicators to measure scavenging ability of a detritivorous fish, Liza haematocheila. Environmental biology of fishes 74: 283-290. 

  17. Kang, D.K., H.W. Kang, G.H. Kim, K.C. Jo and H.C. Kim. 2007. Effect of Cold Shock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Cultured mullet, Mugil haematocheilus in Winter.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0: 226-233. (in Korean) 

  18. Kang, H.W., I.S. Park and W.H. Yih. 2000. Production of Mullet (Chelon lauvergnii) Seedings. Journal of Aquaculture, 13: 1197-206. (in Korean) 

  19. Kim, J.K., Y.U. Kim and S.G. Byun. 2000.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Chelon lauvergnii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2: 137-145. (in Korean) 

  20. Kim, Y.H., Y.j. Kang and D.K. Ryu. Growth of Ammodytes personatus in the South Sea,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2: 166-172. (in Korean) 

  21. Koo, B.H. 2009. Wetland Ecology. Jokyeong Publishing Co Ltd, pp 112-329. (in Korean) 

  22. Kostadinova, A. 2008. A checklist of macroparasites of Liza haematocheila (Temminck Schlegel) (Teleostei: Mugilidae). Parasites and Vectors, 1: 48. 

  23. Lawson, E.O. and A.A. Jimoh. 2010. Aspects of the biology of grey mullet, Mugil cephalus in Lagos lagoon, Nigeria. AACL Bioflux, 3: 181-193. 

  24. Lee, C.L. and D.S. Joo. 1994. Synopsis of Family Mugilidae (Perciformes)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27: 814-824. 

  25. Lee, Y.C., S.Y. Yang, G.L. Hwang and J.H. Kim. 1989. A Study on the Geographic Variation of Liza haematochila (Family Mugilidae) in Yellow Sea, Korea. Yellow Sea Research, 2: 31-37. (in Korean) 

  26. Levinton, J.S. 1982. Marine Ecology. Prentice-Hall Inc., Enlewood Cliffs, N. J. p. 526. 

  27. Li, A., J. Hu, Z. Zhang and M. Yang. 2006. Quantitative real-time RT-PCR for determination of vitellogenin mRNA in soiuy mullet (Mugil soiuy). Anal. Bioanal. Chem., 386: 1995-2001. 

  28. Lin, H.J., W.Y. Kao and Y.T. Wang. 2007. Analyses of stomach contents and stable isotopes reveal food sources of estuarine detritivorous fish in tropical/subtropical Taiwan.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73: 527-537. 

  29. Matishov, G.G. and Y.V. Pryakhin. 2009. The age and structure of the Mugil so-iuy population of the Sea of Azov. In Doklady Biological Sciences, 424: 75-77. 

  30. Minos, G., A. Imsiridou and P.S. Economidis. 2010. Liza haematocheilus (Pisces, Mugilidae) in northern Aegean Sea. Fish invasions in the Mediterranean Sea: change and renewal. In: Golani, D. and B. Appelbaum-Golani (eds.), PENSOFT Publishers, Sofia, pp. 313-332. 

  31. Minos, G., L. Kokokiris and P.S. Economidis. 2010. Sexual maturity of the alien redlip mullet, Liza haematocheilus (Temminck Schlegel, 1845) in north Aegean Sea (Greece). Journal of Applied Ichthyology, 26: 96-101. 

  32. Morales-Nin, B. 1987. Metodos de determinacio n de la edad en los ostectios en base a estructuras de crecimiento. Informes tecnicos del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Pesqueras, Instituto de Cienciasdel Mar, Barcelona, 143, 30pp. 

  33. Nash, C.E. and R.M. Koningsberger. 1981. Artificial propagation. In aquaculture of grey mullet (Oren, O.H. ed.), International Biological Program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265-312. 

  34. Okiyama, M. 1988.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 Press, Tokyo, pp. 386-393. 

  35. Rhoads, D.C. and R.A. Lutz. 1980. Skeletal growth of aquatic organisms: biological records of environmental change. Plenum Press, New York, pp. 519-560. 

  36. Shin, Y.K. and K.S. Yoon. 2005. The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2: 13-23. (in Korean) 

  37. Xu, G., C. Shao, X. Liao, Y. Tian and S. Chen. 2009. Isolation and charaterization of polymorphic microsatellite loci from soiuy mullet (Mugil soiuy Basilewsky 1855). Conservation genetics, 10: 653-6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