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실 구조용 파이프의 부식속도 검토
Corrosion Rate of Structural Pipes for Greenhouse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4 no.4, 2015년, pp.333 - 340  

윤성욱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최만권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  이시영 (농촌진흥청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문성동 (강원대학교 산업공학과) ,  윤용철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간척지 내 토양은 염분농도 및 함수비가 일반지역에 비해 상당히 높기 때문에 간척지에 매입된 온실의 부재는 높은 부식 환경에 노출된다. 염해의 환경에서는 파이프 골조로 이루어진 온실의 기초 및 기초와 이어진 파이프에 부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수/보강기술개발 및 효율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염해의 위험성이 높은 간척지에 적합한 온실의 유지관리, 보수/보강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토양염분환경에서 온실부재의 부식속도를 측정하였다. 각 온실파이프는 염분농도가 0%, 0.1%, 0.3% 및 0.5%인 토양 및 수중환경에 관찰기간동안(480일) 노출시켜 부식속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육안으로도 염분 농도에 따른 부식정도의 차이가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시험편의 표면이 검은색의 부식현상과 함께 비교적 고르게 부식되는 균일부식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논토양의 경우 염분농도 0, 0.1, 0.3, 0.5%에서 각각 0.008, 0.027, 0.036, $0.043mm{\cdot}yr^{-1}$로 염분농도가 증가할수록 부식속도가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밭토양의 경우, 염분농도 0, 0.1, 0.3, 0.5%에서 각각 0.0002, 0.039, 0.040, $0.039mm{\cdot}yr^{-1}$의 부식속도를 나타내었다. 상대적으로 세립질이 많은 논토양에서 부식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입경이 작고 고르게 분포하는 토양에서 부식속도가 높은 일반적인 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간척지의 경우 토양의 입자의 세립정도는 일반 내륙지역의 농경지 토양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파이프 부식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soils in reclaimed lands nearby coastal areas have much higher salinity and moisture content than soils in inland area, parts of greenhouses embedded in such soils are exposed to highly corrosive environments. Owing to the accelerated corrosion of galvanized steel pipes for substrucrture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염해의 환경에서는 파이프 골조로 이루어진 원예시설의 기초부분과 이어진 파이프에 부식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수/보강 기술개발 및 효율적인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해의 위험성이 높은 간척지에 적합한 온실의 유지 관리, 보수/보강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토양 염분환경 변화에 따른 온실 부재의 부식속도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양 염분환경에 따른 온실부재의 부식 속도를 알아보기 위해 토조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한 토양은 일반적으로 토양 내 금속 파이프의 부식속도는 토양 pH, 토성 및 수분함량 등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토성이 다른 논 및 밭토양을 함께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여기서, W는 무게손실(mg), D는 밀도(g·cm-3), A는 면적(cm2) 그리고 T는 시간(hour)이며, 부식형태는 앞에서 서술한바와 같이 균일부식으로 가정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온실면적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2013년말 우리나라의 채소 및 화훼류 재배 온실면적은 각각 51,058ha 및 2,553ha로 전체면적은 53,611ha이다. 이러한 국내 온실면적은 2010년 51,829ha, 2011년 52,393ha 및 2012년 53,125 ha에 비해 각각 약 3.4%, 2.3% 및 0.9% 증가하였다. 온실 유형별로는 연동, 단동 및 기타 온실(소형터널 및 비가림)이 각각 8,029ha, 44,345ha 및 1,237ha이며, 피복재별로는 플라스틱 필름, 경질판 및 유리온실이 각각 53,025ha, 214ha 및 372ha으로서 아연도 강관을 주 골재로 이용하는 플라스틱필름 온실이 전체 면적의 98.
간척지에 단지화된 시설원예단지 조성 예상 면적은 어떠한가? 이와 관련하여 최근 간척지 내 농경지의 고도 이용을 위해 간척지 특성을 활용한 부가가치가 높은 작물 생산지로서의 규모화, 단지화된 시설원예단지의 구체적인 조성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주요 간척지인 화옹, 시화, 석문 및 새만금지구를 포함한 11개 지구의 총 간척지 면적은 30,419ha로서 이 중 첨단수출원예단지 및 일반원예단지로 활용할 총 면적은 각각 3,000ha 및 2,185ha 로 계획되어있으며(MAFRA, 2012), 앞으로 간척지내 시설원예단지 조성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연도 강관에 대한 KSD3760 주요 개정내용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국내 온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온실 구조용 아연도 강관의 종류, 제조방법, 품질, 기계적 성질, 시험방법, 치수 등은 KSD3760(2007 개정,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 반영되었으며, 주요 개정내용은 부식 방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아연도금 부착량을 기존의 138g·m-2에서 150g·m-2로 증가시켰고 도금두께를 평균 도금두께 6µm로 강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M.K., S.W., Yun, H.T., Kim, S.Y., Lee, and Y.C. Yoon. 2014a. Field survey on the maintenance status og greenhouse in Korea. Protected Hort. Plant Fac. 23(2):148-157 (in Korean). 

  2. Choi, M.K., S.W., Yun, H.T., Kim, S.Y., Lee, and Y.C. Yoon. 2014b. Current status on the greenhouse foundation. J. Agric. & Life Sci. 48(3):251-260 (in Korean). 

  3. Kim, M.G., S.W. Nam, W.M. Suh, Y.C. Yoon, S.G. Lee, and H.W. Lee. 2000. Agricultural structural engineering. ed. Hyangmunsa. Seoul, Korea. p. 54 (in Korean). 

  4.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2. Approach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for Agricultural land use of reclaimed land. Sejong, Korea. p. 4 (in Korean). 

  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4a. Greenhouse status for the vegetable grown in facilities and the vegetable productions in 2013. Sejong, Korea. p. 61-65 (in Korean). 

  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4b. Cultivation status of floricultural crop in 2013. Sejong, Korea. p. 10-12 (in Korean). 

  7. Nam, S.W., and Y.S. Kim. 2009. Actual state of structures and environmental control facilities for tomato greenhouses in Chungnam region. Jour. Agri. Sci. Chungam Nat'l Univ. 36(1):73-85 (in Korea). 

  8. Nam, S.W., and I.H. Yu. 2000. A field survey on the structures and maintenance ststus of pipe framed green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 42(4):106-114 (in Korean). 

  9. Nam, S.W., I.H. Yu., and J.W. Kim. 2001. Technology development of repair, reinforcement and maintenance us of pipe framed greenhouses. ed.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Gwacheon, Korea p. 26-10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