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신언어의 모음변이와 음성학적 유사성
Vowel Variation in PC Communication Language and Phonetic Similarit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1, 2015년, pp.133 - 138  

지윤주 (한국외국어대학교) ,  김일규 (강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eeper understanding of how it is possible for people to understand PC communication language they have never seen or heard before without any problem.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we focused on the vowel variation through which new variants are cre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선행연구에서는 모음의 변이현상이 동화현상이냐 이화현상이냐가 중요한 이슈였고,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질문, 즉, 어떻게 변이형을 처음 접하고도 원래 단어의 의미를 아무 문제없이 파악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물론 통신언어의 수신자가 처음 접하는 변이형을 제대로, 그리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유는 대화의 문맥, 음성/음운론적 요인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우리는 모음변이가 아무렇게나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음성학적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에 집중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 우리가 던진 질문은 통신언어의 수신자가 처음 접하는 통신언어 변이형을 접했을 때 어떻게 전혀 어려움 없이 원래 단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가였다. 이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우리는 변이형이 음성학적 제약을 따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고, 컴퓨터 통신언어사전에 나오는 다양한 통신언어를 바탕으로 모음변이가 아무렇게나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음성학적 유사성이 높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컴퓨터 통신언어사전(조오현 외 3인 2002)은 통신언어의 의미를 사전 형식으로 나열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사전에 나온 모든 어절을 분류하여 모음의 변이가 일어나는 현상을 포착하였다. 모음변이의 빈도 분류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어려움은 ‘중복집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 우선 통신언어의 모음변이 현상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변이의 기준으로 삼게 될 한국어의 모음에 대해 알아본다. 우리는 신지영(2012)의 한국어 단모음 체계를 받아들이기로 한다.
  • 통신언어의 변이형과 관련된 언어학적 연구 주제는 매우 다양하겠지만 본 논문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현상은 통신언어의 수신자가 단어의 원래 형태가 아닌 변이형을 새로 접했을 때 대부분의 경우 아무 문제없이 원래 단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설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표이며, 이를 위해 통신언어를 만드는 방식 중 가장 생산적인 방식인 모음변이(vowel variation)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해 나갈 것이다.

가설 설정

  • (1) 음성학적 제약 : 통신언어의 모음변이형은 원래의 모음과 음성학적으로 (최대한) 유사한 모음이다.
  • 1. 한 단어가 여러 개의 변이가 있을 경우 모음의 변이만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예를 들어, ‘같이’는 ‘가취, 가튀’와 같이 두 개의 변이형태를 가지고 있다.
  • 3. 단어 내에서 두 번 이상의 모음변이가 발생할 경우는 모두 세어준다. 예를 들어, ‘감사’가 ‘걈땨’로 된 경우 앞 모음과 뒷 모음이 모두 변한 것으로 세어준다.
  • 3. 통신언어의 모음변이는 음성학적 제약을 받는가?

  • 4. 동음이 반복한 경우에는 한번만 세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고’가 ‘거거’가 된 경우 앞 모음이 변한 것이 중복된 것으로 보고 한번으로 센다.
  • 5. 다른 단어들의 동일한 변이형이 있을 때 의미가 다르면 중복하여 센다. 예를 들어, ‘그만한’과 ‘그만’은 의미가 다르지만 변이형은 ‘고만’으로 동일하다.
  • 6. 모음 변이가 여러 번 진행된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시킨다. 예를 들어, ‘고등’, ‘고딩’, ‘고딍’의 경우 ‘ㅡ → ㅣ → ㅢ’의 변이가 순차적으로 일어났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를 모두 고려한다면 여러 개의 변이형을 가지는 단어의 경우 연구자의 임의에 따라 변이 관계를 정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 7. 축약이 발생한 경우 원형의 변이형과 중복하여 세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러면’과 ‘그러면’의 준말인 ‘그럼’은 ‘구로면’, ‘구롬’이라는 변이형을 가지고 있다.
  • 8. 방언의 일종이거나 일상적 한국어 사용의 오류도 세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근데-군디’, ‘돌아다니다-돌아댕기다’, ‘얼마나-얼매나’의 경우는 방언형이므로 통신언어에서만 나타나는 변이 현상이라고 보기 어려우므로 연구 대상에서 제외한다.
  • 9. 같은 모음으로 간주하는 ‘ㅔ’와 ‘ㅐ’의 변이는 세지 않는다.
  • 위의 단모음 체계를 바탕으로 우리는 통신언어의 모음변이는 아무렇게나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음성학적 제약을 받는다는 가설을 세웠다. 여기서 음성학적 제약이란 아래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성학적 유사도에 대한 객관적 기준으로 설정한 것은? 모음변이가 이러한 음성학적 제약을 받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음성학적 유사도에 대한 객관적 기준이 필요하다. 우리는 그 기준으로 혀의 위치의 근접도를 설정하였다. 즉, 혀의 위치가 가까운 모음일수록 음성학적으로 유사한 모음이라는 기준을 세웠다.
통신언어란? 통신언어는 컴퓨터와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문자언어로서 편의성, 유희성, 그리고 감성표현 등의 이유로 90년대 이후 주로 10-20대의 젊은 층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신언어는 일상 언어의 규범을 파괴하고 한국어를 오염시키는 주범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때문에, 통신언어와 관련된 많은 연구는 국어의 파괴 및 정체성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윤옥경 2000).
통신언어와 관련된 많은 연구는 국어의 파괴 및 정체성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이유는? 통신언어는 컴퓨터와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에서 주로 사용되는 문자언어로서 편의성, 유희성, 그리고 감성표현 등의 이유로 90년대 이후 주로 10-20대의 젊은 층 사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신언어는 일상 언어의 규범을 파괴하고 한국어를 오염시키는 주범이라는 부정적인 시각때문에, 통신언어와 관련된 많은 연구는 국어의 파괴 및 정체성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윤옥경 2000). 반면, 통신언어가 일반 단어의 변이 형태라는 사실에 초점을 두고 변이형에 대한 언어학적 (특히 음운론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들도 최근 늘어나는 추세이다(박철주 2006, 이주희 2010, 전병용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eon, B. Y. (2002). A study of phonological features on the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chatting language. 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21, 251-274. (전병용 (2002). 통신 언어의 음운론적 특성에 대한 연구 - 대화방 언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 21호, 251-274.) 

  2. Jo, O. H. & Kim, Y. K. & Park, D. G (2002). The computer communication language dictionary, Seoul:yukrak. (조오현, 김용경, 박동근 (2002). 컴퓨터 통신언어 사전. 역락) 

  3. Kwon, K. K. (2001). On systematic aspects of vowel change in the contemporary Korean. Journal of inguistics 30, 29-48. (권경근 (2001). 현대국어에서의 모음 체계 변화의 움직임에 대하여 : 젊은 세대의 말을 중심으로. 언어학 30호, 29-48.) 

  4. Lee, J. H. (2010). A study of phonological features and orthography in computer mediated language. Linguistic research. Vol. 27, No. 1, 1-18. (이주희 (2010). "통신언어의 표기와 음운적 특성", 언어 연구 제27권 1호, 1-18.) 

  5. Park, C. J. (2006). A phonological study of PC communication language noun. Korea Language Education. 119, 457-486. (박철주 (2006). "PC 통신언어 명사의 음운론적 연구", 국어교육 119호, 457-486.) 

  6. Shin, J. Y. (2010).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based on the analysis of entries in the Korean dictionar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5, 94-106. (신지영 (2010). 한국어 사전 표제어 발음의 음소 및 음절 빈도. 언어청각장애연구 15호, 94-106.) 

  7. Shin, J. Y. (2012). Sound of the Korean. Seoul: Jisikkwa kyoyang (신지영 (2012).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 교양) 

  8. Yoon, O. K. (2000). The generation gap in information age: can cyberspace be a place for intergenerational understanding?. Studies on Korean Youth. Vol. 11 No. 2 55-75. (윤옥경 (2000). 사이버시대의 세대차이와 세대갈등에 대한 전망, 한국청소년연구 제11권 2호, 51-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