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형공간정보체계 기반의 토목-BIM DB구축 우선순위 선정
Prioritizing of Civil-BIM DB Construction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1, 2015년, pp.73 - 79  

박동현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강인준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  장용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ICT융합연구실) ,  이병걸 (제주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BIM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여러 공사에서 BIM을 활용한 설계가 시도되고 있지만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상이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경우 상호 호환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도입 후 BIM이 위치정보와 연계된 다양한 공간정보 서비스에 활용되기보다 단순히 성과품 제출이나 시각화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결과위주의 BIM성과제출은 무의미하며 활용성이 미비하다고 판단되어 지형공간정보체계와 BIM의 기술 접목을 해결책으로 생각하여, BIM 관련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BIM의 동향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토목분야에서의 BIM 특히, 지형공간정보기술 기반의 토목-BIM구축을 위한 DB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BIM의 대용량 DB가 향후 지형공간정보기술과 토목-BIM의 연계구축 시스템의 성능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최적의 전생애주기 관리를 위한 DB만을 선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필요한 공간분석기술에 대해 서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BIM proliferates at high speeds so that BIM planning is trying to be used in various kinds of engineering. However, when using different software during design phase and construction phase, the problem of mutual compatibility is coming out. Even the BIM technology has been used or the p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고찰과 연구동향 분석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BIM의 단계별 DB와 이력관리를 위한 DB의 선별 및 구축 범위를 설정하였다. 또한, 전생애주기를 위한 각 단계별 DB의 종류와 필요한 GIS의 지형공간분석 기술을 제시하고, 향후 진행될 지형공간정보체계와 BIM을 연계한 토목BIM의 구축방안을 모색하였다. Fig.
  •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설계, 시공을 위해서는 그동안 구축된 지형공간정보 인프라와의 연계구축이 해결방안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공간정보체계와 BIM의 기술 접목에 앞서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DB 및 요구되는 지형공간분석기술에 대한 우선순위를 선정하는데 있다.
  • BIM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여러 DB를 모두 구축한다면 대량의 용량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역기능이 생길 것이며, 어떤 목적이냐에 따라 DB구축범위 또한 바뀌게 될 것이다. 본 절에서 토목분야 중 BIM설계를 도입한 부산북항재개발사업의 일부를 바탕으로 BIM레이어 표준화를 실시한 선행연구(Min et al, 2012)에서 제시한 항만구조물 BIM레이어 체계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토목 구조물을 위한 DB를 선별하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GIS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다른 모델링 도구를 사용하였을 때의 상호운용성 문제는 IFC라는 중립모델로 해결하려 하였으나 다양한 분야의 호환을 지원하는 IFC뷰는 아직까지 개발단계로 현재의 IFC는 신뢰도가 떨어진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호환을 위해 OGC의 XML스키마를 사용하는 것이 대안이라 생각한다. XML은 HTML의 확장언어로 사용자 정의 스키마를 허용하고, 데이터 수집, 전자 상거래 등 웹 기반 소프트웨어간의 정보 교환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분야와 비교하여 토목분야의 한계는 무엇인가? 건축분야는 디자인 및 설계 중심의 산업 특성으로 인해 보편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마련된 반면, 토목분야는 설계단계보다는 시공 측면의 산업구조로 인하여 BIM의 인식확산 및 실무 도입에 많은 제약요인들이 있다. 그러나 토목 구조물의 설계 시에도 구조해석 등의 엔지니어링 요소를 포함한 설계정보의 검토와 분석기법을 통한 기술적 피드백이 요구되고 있다.
GIS와 BIM 기술융합과 관련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GIS와 BIM 기술융합과 관련된 연구의 경우 최근 들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술융합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지리학적 관점에서의 인간 활동과 관련된 실내 공간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GIS 와 BIM의 융합 방안을 탐색(Oh, 2010), U-City 발전의 대안으로 BIM과 GIS의 융합을 제시하고 시스템 융합에 따른 파급효과와 통합 방법고찰(Kim et al, 2010), BIM과 GIS간 상호 운용성 및 플랫폼 기술요소들에 대한 고찰(Kang et al, 2012a), BIM과 GIS간 공간정보 상호 운용성을 위해 BIM과 GIS의 중립 모델인 IFC와 CityGML간의 상호 운용성을 위한 속성 정보 맵핑을 위한 규칙 정의 메타 데이터 제안과 구현(Kang et al, 2012b), 건설공급을 위한 시각적 모니터링 개선을 위한 BIM과 GIS의 통합(Javier Irizarry et al, 2013), 문화유산관리를 위한 BIM과 3D GIS의 정보 통합(Dore, C. et al, 2012) 등이 있다.
BIM은 무엇인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최근 건설 산업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설계에서 유지관리 단계까지 건물의 전생애주기 동안 적용되는 다양한 정보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건설 분야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건축 설계와 시공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있도록 프로세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으며 미국, 영국 등의 선진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uilding SMART KOREA, 2011, Avatar of construction BIM, CNEWS 

  2. Dore, C., Murphy, M., 2012, Integration of historic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HBIM) and 3D GIS for recording and managing cultural heritage sites, Proceedings of the 2012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irtual Systems and Multimedia, VSMM 2012: Virtual Systems in the Information Society , Art. No. 6365947 , pp. 369-376. 

  3. Javier Irizarry, Ebrahim P. Karan, Farzad Jalaei, 2013, Integrating BIM and GIS to improve the visual monitoring of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Automation in Construction 31 (2013). 

  4. Kang, I. J., 2012, Introduction to geographic information survey, Daefa, p. 422. 

  5. Kang, L. S. and Moon, H. S., 2009, Application plan and situation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civil engineering,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0, No. 5, pp. 30-36. 

  6. Kang, T. W., Lee, J. W. Lee, W. S., Choi, H. S., 2012a, A study on civil BIM description neutral library development direction for modeling the construction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0, No. 4, pp. 145-151. 

  7. Kang, T. W., Choi, H. S., Hwang, J. R., Hong, C. H., 2012b, The study related to the meta data for the attribute mapping from IFC to CityGML, Korean Journal of Geomatics,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6-1, pp. 559-565. 

  8. Kang, T. W., Hwang, J. R., Hong C. H., Choi, H. S., 2012c, BIM-GIS interoperability and platform development strategy, Conference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 157-158. 

  9. Kim, S. G., 2009, A study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pplication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 Paper of masters degre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0. Kim, T. H., Jeon, H. M., 2010, Final alternative BIM+GIS of development of U-city through establishment of intergrated 3D informat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pp. 16-19. 

  11. Min, B. K., Park, D. H., Jang, Y. G., Kang, I. J., 2012, A study on standardization for civil-BIM construction of harbor structure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0, No. 3, pp. 83-90. 

  12. Moon, S. J., Pyeon, M. W., Park, H. G., Ji, J. H., Jo, J. H., 2010, The application of geospatiial information acquisition technique and civil-BIM for site selection, Korean Journal of Geomatics,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8, No. 6, pp. 579-586. 

  13. Oh, C. W., 2010, A study on integration strategy between GIS and BI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Vol. 44, No. 3, pp. 443-453. 

  14. Park, J. S., Pyeon, M. W., Jo, J. H., Lee, J. H., 2011, Case study of civil-BIM & 3D geographical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Geomatics,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9, No. 6, pp. 569-5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