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부형 연속체로봇 개발 및 칼만필터를 이용한 말단장치 자세추정
Development of an Intrinsic Continuum Robot and Attitude Estimation of Its End-effector Based on a Kalman Filter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39 no.4, 2015년, pp.361 - 367  

강창현 (한남대학교 기계공학과) ,  배지환 (한남대학교 기계공학과) ,  강봉수 (한남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논문에서는 인간과의 안전한 접촉이 가능한 내부형 연속체로봇에 대한 설계개념과 로봇 말단장치의 운동특성실험을 제시한다. 인간의 근육과 유사한 상극구동방식으로 작동하는 공압인공근육을 연속체로봇의 백본구동장치로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환경과의 부드러운 접촉과 강한 접촉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로봇 관절에서의 가변강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내부형 연속체로봇은 백본소재의 굽힘운동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로봇 말단장치에서의 자세를 추정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3 축 가속도계와 3 축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칼만필터 방법을 제안하고 개발된 내부형 연속체 로봇의 자세추정에 적용하여 실제 실험을 통해서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concept of an intrinsic continuum robot for safe man-machine interface and characteristic behaviors of its end-effector based on real experiments. Since pneumatic artificial muscles having similar antagonistic actuation to human muscles are used for main backbones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가볍고 큰 구동력을 낼 수 있는 공압인공근육을 기본 백본 및 구동장치로 사용하는 내부형 연속체로봇의 설계개념을 제시하였다. 병렬로 구동하는 4 개의 공압인공근육을 기본모듈로 하여 이를 적층한 구조를 가진 내부형 연속체로봇에 개루프방식의 계단형 구동명령을 각 공압인공근육에 가하여 연속체로봇 말단장치에서의 수직운동특성과 좌· 우 굽힘운동특성을 실험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제어의 어려움 때문에 국내· 외적으로 연구가 미비한 내부형 연속체 로봇의 개발에 대한 연구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봇이동이나 운동 시 안정성이 가장 중요한 로봇 기술의 하나로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응용분야에 있어서도 길안내, 청소 등 단순한 업무에서 극한지역에서의 자원탐사, 인체내부의 정밀수술에 이르기까지 과거 인간이 다루기 어려운 힘든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인간을 대상 으로 서비스업무을 담당하는 로봇의 출현으로 점차 로봇이 인간과 동일한 영역을 공유하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로봇이동이나 운동 시 안정성이 가장 중요한 로봇 기술의 하나로 요구되고 있다.
연속체 로봇을 작동방식에 따라 구분하시오. 연속체 로봇은 인간의 혀 근육으로부터 뱀의 몸통, 문어의 다리 등을 모방하여 개발된 기구로 유연한 관절 움직임을 통해서 큰 힘이 필요할 때는 강한 강성을 부드러운 접촉이 필요할 때는 약한 강성을 생성할 수 있으며 로봇 말단장치의 다양한 움직임을 생성할 수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연속체 로봇을 작동방식에 따라 크게 외부형, 내부형, 복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2) 외부형은 관절 마디 사이에 원형 스프링 등 고정된 강성의 재질을 백본(backbone)으로 하고 마디 사이를 케이블(cable) 등으로 연결하여 상대적 움직임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기구의 운동을 제어하기 용이하나 마디의 강성을 가변할 수 없다.
지능형 로봇이 개발되며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가? 신소재, 전자, 소프트웨어분야의 눈부신 기술 발전으로 지능형 로봇 개발은 국내· 외적으로 성능과 기능 다양성 면에서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 응용분야에 있어서도 길안내, 청소 등 단순한 업무에서 극한지역에서의 자원탐사, 인체내부의 정밀수술에 이르기까지 과거 인간이 다루기 어려운 힘든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인간을 대상 으로 서비스업무을 담당하는 로봇의 출현으로 점차 로봇이 인간과 동일한 영역을 공유하는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로봇이동이나 운동 시 안정성이 가장 중요한 로봇 기술의 하나로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Wolf, S. and Hirzinger, G., 2008, "A New Variable Stiffness Design: Matching Requirements of the Next Robot Generation," Proc. IEEE Int. Conf.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1741-1746. 

  2. Robinson, G. and Davies, J. B. C., 1999, "Continuum Robots -a State of the Art-," Proc. IEEE Conf.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2849-2854. 

  3. Yoon, H.-S. and Yi, B.-J., 2009, "A 4-DOF Flexible Continuum Robot Using a Spring Backbone," Proc. IEEE Conf. on Mechatronics and Automation, pp. 1249-1254. 

  4. Goldman, R. E., Bajo, A. and Simaan, N., 2011, "Compliant Motion Control for Continuum Robots with Intrinsic Actuation Sensing," Proc. IEEE Conf.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1126-1132. 

  5. Bailly, Y. and Amirat, Y., 2005, "Modeling and Control of a Hybrid Continuum Active Catheter for Aortic Aneurysm Treatment," Proc. IEEE Conf. on Robotics and Automation, pp. 924-929. 

  6. Daerden, F. and Lefeber, D., 2002, "Pneumatic Artificial Muscles: Actuators for Robotics and Automation," European Journal of Mechanica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Vol. 47, pp. 10-21. 

  7. Tondu, B. and Lopez, P., 2000, "Modeling and Control of Mckibben Artificial Muscle Robot Actuators," IEEE Control Systems Magazine, Vol. 20, No. 2, pp. 15-38. 

  8. Schulte, H. F., 1961, "The Characteristics of the McKibben Artificial Muscle," The Application of External Power in Prosthetics and Orthotics, pp. 94-115. 

  9. Sabatini, A. M., 2006, "Quaternion-based Extended Kalman Filter for Determining Orientation by Inertial and Magnetic Sensing," IEEE Tra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53, No. 7, pp. 1346-1356. 

  10. Suh, Y. S., 2010, "Orientation Estimation Using a Quaternion-Based Indirect Kalman Filter with Adaptive Estimation of External Acceleration," IEEE Trans. on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Vol. 59, No. 12, pp. 3296-3305. 

  11. Marins, J. L., Yun, X., Bachmann, E. R., McGhee, R. B. and Zyda, M. J., 2001, "An Extended Kalman Filter for Quaternion-Based Orientation Estimation Using MARG Sensors," Proc. IEEE/RSJ Conf. on Robots and Systems, pp. 2003-2011. 

  12. Mohinder, S. G. and Angus, P. A., 2008, Kalman Filtering -Theory and Practice Using MATLAB- , WILE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