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댐 비상방류 설계기준 선정을 위한 수리수문학적 검토(I)
Hydraulic & Hydrologic Design Criteria for an Emergency Discharge of Reservoir (I)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3, 2015년, pp.149 - 158  

손광익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과) ,  이재응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비상방류시설은 안전한 댐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댐의 경우 이를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지지 않아 각 댐의 비상방류 대응 적정성을 판단하기 곤란한 상황이다. 특히 국내 댐의 경우 비상방류시설규모를 산정하는 기준이 일정치 않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용수댐은 별도의 방류시설 조차도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댐 방류시설 현황 분석, 국내외 비상방류시설 설계기준 등의 검토와 함께 국내 댐설계기준을 적용한 가상 댐체와 수어댐을 대상으로 수위에 따른 방류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SEEP 프로그램 등을 활용, 수위저하 속도에 따른 제체의 사면 안정성을 검토함으로써 비상방류 시설의 적정규모 산정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리학적 해석을 통해 저류수심에 따른 제체에 작용하는 힘을 분석하였으며 수위저하 속도 변화에 따른 제체의 안정성을 검토하여 허용수위저하 속도 범위를 제시하였다. 수위 25% 저감은 하중을 50%까지 감소시켜 초기수위 저감이 중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상 댐체는 물론 수어댐에 수위저하 속도 1 m/일을 적용하더라도 제체의 안전성은 보장됨을 확인하였다. 다만, 방류능과 방류 소요일수는 수위별 저류용량 등 저류지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초기대응을 위해서는 7~10일 이내에 저류수심의 25%를 먼저 방류시키고 나머지 방류량은 1~2개월 이내에 방류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well known that emergency outlet works have to be provided for the safety of dams. However, concept of emergency outlet works did not applied for the design of the most dams in Korea. Korean design standard for low-level outlet works does not provide enough design criteria which could be u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댐 제체에">댐제체에 작용하는 힘은 56%까지 감소하여 댐 안정성 확보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류기준은 저류지 수위에 따라 달리 적용하는 다단계 운영기준을 제안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댐 방류시설 현황 분석, 수위배제용 시설의 적정규모, 국내외 비상방류시설 설계기준 등의 검토를 통해 방류시설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시설을 계획할 수 있도록 적정 규모산정 기준을 검토, 제시하고자 한다. 다만 연구범위가 너무 방대하여 본 논고에서는 수리학적 검토를 집중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수문학적 검토는 연속으로 게재된 동일 후)수위 저하">수위저하 속도는 상대적으로 그 기준 범위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으며 제체의 특성에 따라 그 기준의 적정성은 수리학적 판단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제체 댐 설계기준에 부합되는 가상의 이상제체와 국내 댐 중 사면경사는 가파르며 수심이 깊어 안전율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수어 댐을 대상으로 수위저하 속도에 따른 안전율, 초기 수위가 안전율에 미치는 수리학적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설계기준을 제시하였다.
  • 후)방류일수산정을">방류일수 산정을 위해서는 수위별 저류량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다목적 댐과 용수 댐에 대하여 수위별 저류량 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댐의 수위-저류량 특성을 동시에 비교하기 위하여 후)설계대상댐에">설계대상 댐에 대한 정밀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설계기준 및 운영관리 경험 등을 고려하여 1 m/일 이하의 보수적 설계기준 적용을 권장하였다.
  • 후)수위급 강하에">수위 급강하에 따른 제체의 안정성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체의 제원 및 구성재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댐 설계기준에서 제시하는 보편적 제체기준에 준하는 가상의 제체모형과 실제 댐에 대하여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치모형(SEEP/W, SLOPE/W)을 이용하여 제체의 안전성을 지배하는 인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류지의 방류시설은 용도에 맞는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가? 특히 붕괴사고 전부터 둑에서 물이 새는 것이 관측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비상시 저류수를 방류할 수 있는 시설이 없어 마땅한 대응책을 수립할 수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저류지의 방류시설은 여수로와는 별도로 여수로 월류부 수위 이하의 저수용량을 배제시키는 시설물로서 저수지 초기 담수 시 담수속도 조절뿐만 아니라 운영 또는 유지관리를 위해 저수지를 비워야 할 경우 저수지의 안전측면에서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시설물이며, 용도에 맞는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방류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댐 설계기준의 방류설비 설계기준은 사실상 무엇의 기준을 따르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댐 설계기준(KWRA, 2011)의 방류설비 설계기준은 사실상 미국의 USBR (1990) 기준을 따르고 있다. 비상방류시설은 저수지 초기 담수, 운영 또는 유지관리 중 저수지를 비워야 하는 비상시에 사용되며, 여수로 월류부 수위 이하의 저류수를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안전하게 방류시킬 수 있는 시설물로 정의하고 있다.
저류지의 방류시설은 국내의 2011년 댐설계기준에서 비상방류설비(low-level outlet, bottom outlet)로 명명하여 규모산정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기준은 어떤 문제를 안고 있는가? 국내의 경우 2011년 댐설계기준에서는 비상방류설비(low-level outlet, bottom outlet)로 명명하고, 규모산정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준의 내용이 비상방류시 저수지 수위를 가능한 한 단기간에 배제할 수 있도록 “최대한 크게” 계획하도록 기술하고 있어 방류기간 동안의 유입량 및 배제목표시간 등의 핵심적 설계인자를 객관적으로 선정할 수 있는 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댐의 방류시설을 살펴보면 다목적댐의 경우 발전 및 비상 방류를 통해 방류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그 규모는 다양하며, 용수댐의 경우 관로를 통해 수도시설로 용수를 공급하게 되므로 최근 건설된 일부 댐을 제외하고는 별도의 하천 방류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ICE. (2004). "Design Criteria for Reservoir Drainage Period." QRA, 

  2. Japanes Ministry of Construction (1997). "River structural Facillities Design Guide." Ministry of Construction 

  3. Japanes Ministry of Construction (1997). "Technical guideline for River Training." Ministry of Construction 

  4. KOWACO (2004). "Design Guidline of Dam." Korean Water-Resources Corporation 

  5. KWRA (2011) "Dam Design Criteria." Korean Water-Resources Research Association 

  6. Liu X., and Zhang Z. (2009). "Stability of bank slope under reservoir water drawdown." 

  7. New York State (1989). "Guidelines for design of dams New York State." Bureau of flood protection 

  8. NSW government (2010). "Dam safety emergency plan for RYLSTONE DAM." NSW government 

  9. Ontario (2011). "Technical bulletin for Geotechnical design and factors of safety." Ontario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10. Philpott, B., Oyeyemi, Y., and Sawyer, J. (2008). "Queen Mary and King George V emergency drawdown schemes." 

  11. Tran. (2004) "Stability problems of an earth fill-dam in rapid drawdown condition." 

  12. USACE (1975). "Low level discharge facilities for drawdown of impoundments." ER 1110-2-50, USACE 

  13. USBR (1990). "Criteria And Guidelines For Evacuating Storage Reservoirs And Sizing Low-level Outlet Works." ACER Technical memorandum No. 3, USB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