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난류조건에서의 점착성 유사 이군집 응집 모형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Two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 for Predicting the Bimodal Flocculation of Cohesive Sediments in Turbulent Flow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3, 2015년, pp.233 - 243  

이병준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건설방재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군집 응집현상은 수자원환경에서 점착성 유사가 결합-해체의 과정을 통해 응집핵-응집체의 이군집 입자크기분포 (Biomodal Floc Size Distribution)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저난류 및 고난류 두 가지 조건에서 수행한 응집-침전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이군집 응집모형(TCPBE: Two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의 적용성을 단일군집 응집모형(SCPBE: Single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 및 다군집 응집모형(MCPBE: Multi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과 비교 평가하였다. 기존 SCPBE에 비하여, TCPBE는 응집핵-응집체의 상호작용 및 침강속도차에 따른 응집 기작을 모의할 수 있었다. 또한, 3개의 연립미분방정식을 가진 TCPBE는 30개 미분방정식을 가진 다군집 응집모형(MCPBE: Multi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과 대등한 모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TCPBE는 이군집 응집현상을 모의 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한 모델로 검증되었고, 향후 수자원환경이나 수처리 공정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imodal flocculation of cohesive sediments in water environments describes the aggregation and breakage process developing a bimodal floc size distribution with dense flocculi and floppy flocs. A two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 (TCPBE) was tested for simulating the bimodal flocculation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CPBE 는 낮은 속도경사 조건에서 주로 발행하는 침강속도차 응집현상, 즉 큰 응집체가 침강하면서 작은 응집체/응집핵을 포집하는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난류에 의한 응집현상만을 고려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Stolzenbach and Elimelech, 1994; Elemelech, 1995). 본 연구에서 SCPBE 의 경우 침강속도차 응집현상을 고려할 수 없으므로, 그에 대한 부족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응집효율계수가 비정상적인 값으로 증대되었으리라 사료된다.
  • , 2011). 본 연구에서는 응집-침전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van Leussen, 1994), 저난류 그리고 고난류 조건에서 TCPBE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특히 기존에 범용되던 단일군집 응집모델(SCPBE: Single-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 및 다군집 응집모델(MCPBE: Multi-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과 수학적 난 이도, 모의결과의 신뢰성 등을 다각도로 비교하여, TCPBE 의 수자원 및 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향후 적용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단일군집 응집모형(SCPBE)은 모든 점착성 유사가 단일 크기의 응집체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Fig. 1). 응집체 크기는 응집(결합+해체) 속도식에 의거하여 지속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 응집체의 크기 증대가 프랙탈 이론(Fractal Thoery: Di=δ·(2i-1)1/nf, 1 < nf < 3 for spherical porous flocs)을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고, 수자원환경에서 발생하는 수 μm의 응집핵과 수 mm에 이르는 응집체 크기를 MCPBE로 표현하면 약 30 여개의 응집핵/ 응집체 군집과 이에 따른 연립 미분방정식을 필요로 한다 (Spicer and Pratsinis, 199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군집 응집이 주로 발생하는 원인은? 이군집 응집은 점토입자의 일, 이차 결합력 차이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일차 결합은 판상의 점토입자가 분자단위에서 직접 접촉하여 강하게 결합된 형태이고, 이에 반하여 이차 결합은 여러가지 유기 및 무기성분이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다(van Leussen, 1994; Winterwerp and van Kesteren, 2004).
이군집 응집현상이란 무엇인가? 이군집 응집현상은 수자원환경에서 점착성 유사가 결합-해체의 과정을 통해 응집핵-응집체의 이군집 입자크기분포 (Biomodal Floc Size Distribution)를 형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저난류 및 고난류 두 가지 조건에서 수행한 응집-침전관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이군집 응집모형(TCPBE: Two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의 적용성을 단일군집 응집모형(SCPBE: Single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 및 다군집 응집모형(MCPBE: Multi 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과 비교 평가하였다.
이군집 응집의 원인인 일차결합, 이차결합은 무엇인가? 이군집 응집은 점토입자의 일, 이차 결합력 차이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일차 결합은 판상의 점토입자가 분자단위에서 직접 접촉하여 강하게 결합된 형태이고, 이에 반하여 이차 결합은 여러가지 유기 및 무기성분이 약하게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다(van Leussen, 1994; Winterwerp and van Kesteren, 2004). 일반적으로 일차 결합은 입자가 강하게 결합된 작고 밀도가 높은 형태의 응집핵을 만 들고, 이차 결합은 응집핵들이 다소 느슨하게 결합된 크고 밀도가 낮은 형태의 응집체를 만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erthouex, P., and Brown, L. (1994). "Statistics for Environmental Engineers." Lewis Publishers, Boca Raton, FL. 

  2. Elimelech, M., Gregory, X.J.J., and Williams, R.A. (1995). "Particle doposition and aggregation: measurement, modelling and simulation." Butterworth-Heinemann, Woburn, MA, USA 

  3. Fox, R. (2003). "Computational models for turbulent reacting flow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Hounslow, M., Ryall, R., and Marshall, V. (1988). "A discretized population balance for nucleation, growth, and aggregation." AiChE Journal, Vol. 34, No. 1, pp. 1821-1832. 

  5. Jackson, G. (1995). "Comparing observed changes in particle size spectra with those predicted using coagulation theory." Deep-Sea Research II , Vol. 42, No. 1, pp. 159-184. 

  6. Jeong, J., and Choi, M. (2003). "A simple bimodal model for the evolution of non-spherical particles undergoing nucleation, coagulation and coalescence." Journal of Aerosol Science, Vol. 34, pp. 965-976. 

  7. Jeong, J., and Choi, M. (2004). "A bimodal moment model for the simulation of particle growth." Journal of Aerosol Science, Vol. 35, pp. 1071-1090. 

  8. Jeong, J., and Choi, M. (2005). "A bimodal particle dynamics model considering coagulation, coalescence and surface growth, and its application to the growth of titania aggregate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281, pp. 351-359. 

  9. Lee, B., Toorman, E., Molz, F., and Wang, J. (2011). "A two-class population balance equation yielding bimodal flocculation of marine or estuarine sediments." Water Research, Vol. 45, No. 5, pp. 2131-2145. 

  10. Lee, B., Toorman, E., and Fettweis, M. (2014). "Multimodal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fine-grained sediments: mathematical modeling and field investigation." Ocean Dynamics, Vol. 64, No. 3, pp. 2131-2145. 

  11. Li, B., Eisma, D., Xie, Q., Kalf, J., Li, Y., and Xia, X. (1999). "Concentration, clay mineral composition and Coulter counter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in the turbidity maximum of the Jiaojiang river estuary, Zhejiang, China." Journal of Sea Research, Vol. 42, pp. 105-116. 

  12. Li, Y., Wolanski, E., and Xie, Q. (1993). "Coagulation and settling of suspended sediment in the Jiaojiang river estuary, Chin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ol. 9, No. 2, pp. 390-402. 

  13. Maggi, F. (2005). "Flocculation Dynamics of Cohesive Sediment." PhD Dissertation, 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the Netherlands. 

  14. Maggi, F. (2009). "Biological flocculation of suspended particles in nutrient-rich aqueous ecosystems." Journal of Hydrology, Vol. 376, pp. 116-125. 

  15. Manning, A., and Bass, S. (2006). "Variability in cohesive sediment settling fluxes: Observations under different estuarine tidal conditions." Marine Geology, Vol. 235, pp. 177-192. 

  16. Manning, A., Bass, S., and Dyer, K. (2006). "Floc properties in the turbidity maximum of a mesotidal estuary during neap and spring tidal conditions." Marine Geology, Vol. 235, pp. 193-211. 

  17. Manning, A., Friend, P., Prowse, N., and Amos, C. (2007). "Estuarine mud flocculation properties determined using an annular mini-flume and the LabSFLOC system."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27, pp. 1080-1095. 

  18. Mietta, F., Chassagne, C., and Winterwerp, J. (2009). "Influenceof shear rate, organic matter content, pH and salinity on mud flocculatio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Vol. 336, pp. 134-141. 

  19. Mikkelsen, O., Hill, P., and Milligan, T. (2006). "Single-grain, microfloc and macrofloc volume variations observed with a LISST-100 and a digital floc camera." Journal of Sea Research, Vol. 55, pp. 87-102. 

  20. Orange, D., Garcia-Garcia, A., Lorenson, T., Nittrouer, C., Milligan, T., and Miserocchi, S. (2005). "Shallow gas and flood deposition on the Po Delta." Marine Geology, Vol. 222-223, pp. 159-177. 

  21. Perianez, R. (2005). "Modelling the transport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by the Rhone River plume (France). Implications for pollutant dispersion." Environmental Pollution, Vol. 133, pp. 351-364. 

  22. Prat, O., and Ducoste, J. (2006). "Modeling spatial distribution of floc size in turbulent processes using the quadrature method of moment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Vol. 59, pp. 685-697. 

  23. Richardson, J., and Zaki, W. (1954). "Sedimentation and fluidisation, Part I." Trans. Inst. Chem. Engrs., Vol. 2, pp. 35-53. 

  24. Spicer, P., and Pratsinis, S. (1996). "Coagulation-fragmentation: universal steady stat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iChE Journal, Vol. 42, p. 1612. 

  25. Stolzenbach K., and Elimelech, M. (1994) "The effect of particle density on collisions between sinking particles-implications for particle aggregation in the ocean." Deep-sea research. Part 1.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 Vol. 41, No. 3, pp. 469-483. 

  26. Toorman, E. (1999). "Sedimentation and self-weight consolidation: constitutive equations and numerical modelling." Geotechnique, Vol. 49, No. 6, pp. 709-726. 

  27. Van Leussen, W. (1994). "Estuarine Macroflocs : Their role in fine-grained sediment transport." Universiteit van Utrecht, the Netherlands. 

  28. Van Rijn, L. (2007). "Unified View of Sediment Transport by Currents and Waves II: Suspended Transport."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3, No. 6, pp. 668-689. 

  29. Winterwerp, J. (2002). "On the flocculation and settling velocity of estuarine mud."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22, pp. 1339-1360. 

  30. Winterwerp, J., and Van Kesteren, W. (2004). "Introduction to the physics of cohesive sediment in the marine environment." Amsterdam, The Netherlands, Elsevier B.V. 

  31. Yuan, Y., Wei, H., Zhao, L., and Cao, Y. (2009). "Implcations of intermittent turbulent bursts for sediment resuspension in a coastal bottom boundary layer: A field study in the western Yellow Sea, China." Marine Geology, Vol. 263, pp. 87-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