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성범죄자의 개인 수준 심리적 특성 연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Sexual Offender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3, 2015년, pp.88 - 100  

정민철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조영일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반인, 일반범죄자, 성범죄자의 집단 간 비교를 통해 한국 성인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범죄자 123명, 일반범죄자 102명, 일반인 162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집단 간에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에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우울, 분노, 자기존중감, 공감, 충동성, 수치심, 사이코패스 성향, 알콜의존 변인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성범죄자가 일반범죄자보다 높은 변인들은 우울, 충동성, 충동성-인지였으며, 성범죄자가 일반인보다 높은 것은 우울변인이었다. 일반범죄자는 자기존중감, 사이코패스 성향에서 성범죄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인이 일반범죄자보다 높은 변인은 충동성, 충동성-인지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서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x offenders. In order to achieve those objectives, 123 sexual offenders, 102 common criminals, and 162 normal people were surveyed. We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examine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exual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된 개인 수준 심리적 특성들이 성인 성범죄자 집단에서 관찰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성범죄자, 일반인, 일반 범죄자와의 비교를 통해 범죄자의 일반적인 심리적 특성을 배제하고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국내 성인 성범죄자들의 고유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이로 볼 때, Hudson 등이 성폭력 가해자와 폭력 가해자들은 감정 인식 기술이 부족하고 특히 놀람, 공포, 분노, 혐오의 감정을 알아채는 것에 둔하다고 보고하는 등[12], 기존 외국연구에서 꾸준하게 제시되어온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인 공감능력의 저하가 한국 성인 성범죄자의 개인 수준의 심리적 특성에서는 제외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 가운데 문화적 차이에 의한 한국적인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 것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성인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기반이 미미한 현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될 변인을 선정하기 위해서 성폭력 가해자 및 성범죄자들에 대상으로 진행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에서 보고된 심리적 특성들을 검토하였다.
  • 외국 연구를 살펴보면,50% 이상의 성범죄자들은 알콜중독이며[41][42], 국내외 연구에서 다른 범죄에 비해 성범죄는 음주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43][44]. 이러한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알콜의존이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으로 추정하고, 알콜의존 수준을 일반인이나 일반 범죄자와 비교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더 나아가 성범죄자, 일반인, 일반 범죄자와의 비교를 통해 범죄자의 일반적인 심리적 특성을 배제하고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국내 성인 성범죄자들의 고유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활용함으로써, 성범죄자들의 치료 및 교정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고 성범죄 재발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목적으로 두고 있다.
  • 이를 통해서, 국내 성인 성범죄자들의 고유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활용함으로써, 성범죄자들의 치료 및 교정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고 성범죄 재발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목적으로 두고 있다.
  •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된 개인 수준 심리적 특성들이 성인 성범죄자 집단에서 관찰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이러한 과정에서 범죄자들이 일반적으로 보이는 심리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한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범죄자와 일반인뿐만 아니라 일반범죄자를 모두 포함하여 이들의 개인 수준의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결과, 가설에서 세 집단 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 검증되었다. 우울, 자기존중감, 충동성, 충동성-인지 변인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노, 공감, 공감-인지공감, 공감-정서공감, 공감-사회기술, 충동성-무계획, 충동성-운동, 수치심, 사이코패스, 알콜의존 변인에서는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인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떠한 것들이 있나? 성인 성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기반이 미미한 현실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될 변인을 선정하기 위해서 성폭력 가해자 및 성범죄자들에 대상으로 진행된 국내·외 선행연구들에서 보고된 심리적 특성들을 검토하였다. 국내·외의 선행연구 결과, 개인 수준의 심리적 변수들로 “공감능력, 자기존중감, 수치심,우울, 분노, 충동성, 사이코패스, 알콜의존”을 선정하였다.
충동성이란? 충동성이란 자신의 행동에 불러일으킬 결과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행동하려는 것으로 사이코패스 성향을 보이는 범죄자들에게서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45]. 성범죄자를 대상으로 MMPI-2를활용한 국내 연구에서도 성범죄자들을 ‘호소형’, ‘위축형’, ‘반사회성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위축형’,과 ‘반사회성형’이 충동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46].
Groth,Burgess와 Holmstrom는 강간범을 어떻게 구분했나? Stevens는 강간범과 피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강간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폭력, 분노, 성욕이라며 사실상 강간은 폭력 또는 분노를 표현하기 위해가장 선호되는 수단이라고 보고하였다[37]. Groth,Burgess와 Holmstrom도 분노를 성폭력에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강간범을 폭력 지향형(power assertive), 폭력 강화형(poser reassurance), 분노 보복형(anger retaliation), 분노 가학형(anger sadistic)의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유형에 따라 범죄동기에서의 차이점을 이야기하였다[38].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들에서분노감이 성폭력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간주하며, 성범죄자의 중요한 심리적 특성으로 인식되었다[39][4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http://kosis.kr/ups/ups_01List01.jsp?grp_no&pubcodeKP&typeF 

  2. 박경, "남녀 대학생 성피해 경험과 성인지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2007. 

  3. 임신영, 성피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남녀 성차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4. A. W. Baker and S. P. Duncan, "Child sexual abuse: A study of Prevalence in Great Britain. Child Abuse and Neglect," Vol.9, pp.457-467, 1995. 

  5. D. Finkelhor, Boys as Victims: review of the evidence, In D. Finkelhor (ED), Child sexual abuse: new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Free Press, 1984. 

  6. 채규만, 정민철, "한국대학생의 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 및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지, 제9권, 제4호, pp.869-886, 2004. 

  7. 송원영, 성폭력 범죄로 보호관찰중인 청소년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8. 이수정, 장현석, "청소년 성폭력의 심리적 원인으로서의 애착결핍", 한국청소년연구지, 제15권, 제2호, pp.415-442, 2004. 

  9. 전영실, "미국의 청소년 성범죄자에 대한 처우 및 처우프로그램", 교정연구, 제15호, 2002. 

  10. 장석헌, 김도우, 김미경, "성인성범죄자와 청소년 성범죄자의 차별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지, 제7권, 제13호, pp.133-154, 2011. 

  11. Y. M. Fernandez, W. L. Marshall, S. Lightbody, and C. O'Sullivan, "The Child Molester Empathy Measure: Description and Examination of Its Reliabiliy and Validity," Sexual Abuse: A Journal of Research and Treatment, No.11, pp.17-31, 1999. 

  12. S. M. Hudson, W. L. Marshall, D. S. Wales, E. McDonald, L. W. Bakker, and A. McLean, "Emotional recognition skills of sex offenders. Annals of Sex Research," Vol.6, pp.199-211, 1993. 

  13. G. Nass, R. Libby, and M. Fisher, Sexual choices: An introduction to human sexuality(2nd ed.), Monterey, California: Wadworth Health Science, 1984. 

  14. D. Lisak and C. Ivan, "Deficits in intimacy and empathy in sexually aggressive me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10, No.3, pp.296-308, 1995. 

  15. M. E. Rice, T. C. Chaplin, G. T. Harris, and J. Coutts, "Empathy for the victim and sexual arousal among rapists and nonrapis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9, No.4, pp.435-449, 1994. 

  16. C. M. Hoppe and R. D. Singer, "Overcontrolled hostility, empathy, and egocentric balance in violent and nonviolent psychiatric offenders," Psychological Reports, Vol.39, No.3, pp.1303-1308, 1976. 

  17. F. Cortoni and W. L. Marshall, "Sex as a coping strategy and its relationship to juvenile sexual history and intimacy in sexual offenders," Sexual Abuse: A Journal of Research and Treatment, Vol.13, pp.27-43, 2001. 

  18. F. Cortoni, P. Heil, and W. L. Marshall, "Sex as a coping mechanism and its relationship to loneliness and intimacy deficits in sexual offending," Paper presented at the 15th Annual Conference of the Association for the Treatment of Sexual Abusers, Chicago, 1996. 

  19. L. B Bourque, Defining Rape. USA : Duke University Press, 1989 

  20. A. H. Buss,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San francisco: Freeman, 1980. 

  21. P. A. Pilconis, "Shyness, public and private, and its relationship to other measures of social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Vol.45, pp.585-598, 1977. 

  22. D. Watson and R. Friend, "Measurement of social evaluative anxiet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33, pp.448-457, 1969. 

  23. M. E. Ford and J. A. Linney, "Comparative analysis of juvenile sexual offenders, violent nonsexual offenders, and status offenders," Journal of lnterpersonal Violence, Vol.70, pp.56-70, 1995. 

  24. R. Graves, D. K. Openshaw, and G. R. Adams, "Adolescent Sex Offenders and Social Skills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Vol.36, No.2, pp.139-153, 1992. 

  25. G. C. Hall and C. Barongan, "Prevention of sexual aggression: Sociocultur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The American psychologist Vol.52, No.1, pp.5-14, 1997. 

  26. D. T. Roys, "Empir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empathy in sex offen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Offender Therapy and Comparative Criminology, Vol.41, pp.53-64, 1997. 

  27. K. M. Bumby, W. L. Marshall, and C. Langton, "A Theoretical model of the influences of shame and guilt on sexual offending," In B.K. Schwartz (ed.), The Sex offender: Theoretical Advances, Treating Special Populations and Legal Developments, Vol.III, pp.5.1-5.12, Kingston, NJ: Civic Research Institute, 1999. 

  28. 신기숙,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가톨릭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29. http://m.donga.com/Economy/BestClick/3/all/20130408/54271074/1 

  30. 조윤오, "GPS 전자감시제도의 범죄억제력 예측 요인 연구", 보호관찰, 제9권, 제2호, 2009. 

  31. 정형수, "수치심을 지각하는 정도, 비난의 방향 및 대처방식과 우울과의 관계", 인간이해, 제29권, pp.1-18, 2008. 

  32. S. L. McMurrich and S. L. Johnson, "The role of depression, shame-proneness, and guilt-proneness in predicting criticism of relatives towards people with bipolar disorder," Behavior Therapy, Vol.40, No.4, pp.315-324, 2009. 

  33. J. P. Tangney, P. Wagner, and R. Gramzow, "Proneness to shame, proneness to guilt, and psychopath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1, pp.469-78, 1992. 

  34. R. D. Hare, Without conscience: The disturbing world of the psychopaths among us, New York, NY: Pocket Books, 1993. 

  35. 조성호, "범죄행동의 조기예측기법에 관한 연구-사이코패스를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제10집, pp.301-328, 2008. 

  36. J. R. P. Ogloff, "Psychopathy/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onundrum.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409, pp.519-528, 2006. 

  37. J. D. Stevens, Inside the mind of sexual offenders: Predatory Rapists, Pedophiles, and Criminal Profiles, New York: Authors Choice Press, 2001. 

  38. Groth, Burgess, and Holmstrom, "Rape: Power, Anger and Sexualit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34, No.11, pp.1239-1243, 1977. 

  39. L. A. Craig, K. D. Browne, and I. Stringer, "Risk scales and factors predictive of sexual offence recidivism," Trauma, Violence, & Abuse, Vol.4, pp.45-68, 2003. 

  40. W. D. Pithers, J. K. Marques, C. C. Gibat, and C. A. Marlatt, Relapse prevention with sexual aggressives: a self-control model of treatment and maintenance of change, In J.G. Greer & I.R. Stuart (eds), The sexual Aggressor: Current Perspectives on Treatment,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83. 

  41. J. Abracer, J. Looman, and D. Anderson, "Alcohol and drug abuse in sexual and nonsexual violent offenders," Sex Abuse. Vol.12, No.4, pp.263-274, 2000. 

  42. R. Langevin and R. A. Lang, "Substance abuse among sex offenders," Sex Abuse, Vol.3, p.397, 1990. 

  43. 여성가족부, 국내.외 아동성폭력범죄 특성 분석 및 피해아동보호체계 연구, 2010. 

  44. A. Abbey, "Acquaintance rape and alcohol consumption on college campuses: How are they linked?,"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39, pp.165-169, 1991. 

  45. R. D. Hare, Hare Psychopathy checklist-Revised(PCL-R): 2nd Editioin Technical Manuel, Toronto: Multi-Health Systems Inc, 2003. 

  46. 정지숙, 조성희, 최지명, "정신감정이 의뢰된 성범죄자들의 MMPI-2 하위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제28권, 제4호, pp.1049-1068, 2009. 

  47. T. Ward and S. M. Hudson, "A Model of the relapse process in sexual offender," Journal of International Violence, Vol.13, pp.700-725, 1998. 

  48. 허재홍, 이찬종, "공감지수(EQ)척도의 심리측정 속성", 인문학연구, 제24권, pp.183-200, 2007. 

  49. 이훈진, 원호택, "편집증적 경향, 자기개념, 자의식 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95' 년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1995. 

  50. 심종온, 수치심 경향성, 죄책감 경향성 및 사건 귀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51. 이영호, 송종용,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제10권, 제1호, pp.98-113, 1991. 

  52. 조은경, 이수정, R. D. Hare, 저, PCL-R 2판 전문가지침서, 학지사, 2008. 

  53.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건강심리학회, 제2권, 제1호, pp.60-78, 1997. 

  54. J. A. Ewing, "Detecting alcoholism: The CAGE Questionnaire," JAMA, Vol.252, pp.1905-1907, 1984. 

  55. 이현수, 충동성 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1992. 

  56. 김용석, 전수미, 이평순, "한국어판 사회적 바람직성척도(SDS-17)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가정폭력 가해남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8권, 2008. 

  57. 최미례, 이인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기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지, 제22권, 제2호, pp.363-383, 2003. 

  58. S. C. Wolf, "A multi-factor model of deviant sexuality," Victmolog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10, pp.359-374, 1985. 

  59. J. Looman, "Mood, conflict, and deviant sexual fantasies," In B. K. Schwartz(Eds.), The sex offender: Theoretical advances, treating special populations and legal developments, Vol,III, pp.3.1-3.11, 1999. 

  60. W. L. Marshall, L. E. Marshall, G. A. Serran, and M. D. O'Brien, "Self-esteem, shame, cognitive distortions and empathy in sexual offenders: their integration and treatment implications," Psychology, Crime & Law, Vol.15, pp.217-234, 2009. 

  61. D. M. Tice, "Esteem protection or enhancement? Self-handicapping motives and attributions differ by trait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pp.711-725, 1991. 

  62. D. M. Tice and R. F. Baumeister, "Self-esteem, self-handicapping, and self-presentation: The strategy of inadequate practice," Journal of Personality, Vol.58, pp.443-464, 1990. 

  63. 전대양, "연쇄강간범의 범죄심리학적 특성", 한국범죄심리연구, 제2권, 제1호, pp.21-49, 2006. 

  64. 조은경, "충동성과 공격성향이 강력범죄에 미치는 영향", 형사정책연구, 제8권, 제2호, pp.125-178, 1997. 

  65. Brown and Forth, "Psychopathy and Sexual Assault: Static Risk Factors, Emotional Precursors, and Rapist Subtyp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5, No.5, pp.848-857, 1997. 

  66. Palermo and Farkas, The Dilemma of The Sexual Offender, Illinois: Charles C. Thomas Publisher Ltd, 2001. 

  67. 신의진, 오채성, 이영준, 송원영, 이경숙, 유은희, "성범죄 청소년의 정신사회적 특징: 일반범죄 청소년과의 비교", 놀이치료연구 제9호 제1권, pp.39-52, 2005. 

  68. 정해식, 남성 성폭력범죄자와 일반범죄자의 심리 특성 비교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69. 박지선, 박인선, "사람들이 생각하는 강간 범죄자의 표상 : 실제 국내 강간 범죄자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62-371, 2011. 

  70. 김용석, 전수미, 이평순, "한국어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17)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가정폭력 가해 남성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8호, pp.5-32, 200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