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함백산 일원의 식물상
Flora of Mt. Hambaek-san and its neighboring mountain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5 no.1, 2015년, pp.72 - 95  

최두섭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시스템과학과) ,  손동찬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시스템과학과) ,  박범균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시스템과학과) ,  고성철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백산 일원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함백산(1,573 m), 금대봉(1,418 m), 대덕산(1,307 m)의 관속 식물을 2012년 4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310속 532종 4아종 73변종 13품종의 총 622분류군이며, 문헌상 증거표본이 있는 자료를 추가하면 총 808분류군에 이르고, 이는 한반도 전체 관속식물의 17.55%에 해당된다. 이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21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26분류군, 귀화식물 30분류군, 유용자원식물은 총 46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62분류군(I, I등급 제외)이 각각 포함된다. 한편, 본 조사지역은 한반도 식물구계로 볼 때 남부식물분자보다 북부식물분자가 더 많이 유입된 전형적인 중부아구의 식생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llustrate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area of Mt. Hambaek-san and its neighboring mountains, the authors collected vascular plants intensively on Mt. Hambaek-san (1,573 m), Mt. Geumdae-bong (1,418 m) and Mt. Daedeok-san (1,307 m) from April of 2012 to August of 201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함백산 일원에 대한 현지조사를 통해 증거표본을 수집하여 그에 기초한 정확한 관속식물상을 확임함은 물론, 본 지역의 식물지리학적 특이성과 중요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특산식물과 희귀식물 등 주요 분류군의 분포를 파악하여 함백산 일원의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백산은 우리나라에서 몇 번째로 높은 산인가? 함백산 일원은 백두대간의 한 축을 이루는 태백산맥 중간지점에 위치한 고산지역으로, 식물구계학적으로 일화 식물구계 온대아구계 속의 한국구 동쪽에 위치하며, 중부아구에 속한다(Lee and Yim, 1978, 2002). 지형적으로 우리나라에서 6번째로 높은 함백산(1,573 m)을 중심으로 북쪽능선을 따라 은대봉(1,442 m), 금대봉(1,418 m), 대덕산 (1,307 m)이 연결되며(Fig. 1), 함백산 일원의 중앙부에 위치한 금대봉을 중심으로 북서쪽에는 노목산(1,145 m), 서쪽에는 백운산(1,426 m), 동쪽에는 매봉산(1,303 m)과 인접하고, 남쪽에는 태백산도립공원이 자리잡고 있다.
함백산 일원의 식물상 조사 기간은? 함백산 일원의 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함백산(1,573 m), 금대봉(1,418 m), 대덕산(1,307 m)의 관속 식물을 2012년 4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은 90과 310속 532종 4아종 73변종 13품종의 총 622분류군이며, 문헌상 증거표본이 있는 자료를 추가하면 총 808분류군에 이르고, 이는 한반도 전체 관속식물의 17.
함백산 일원의 기후는 어떠한가? 기후는 내륙산간지대의 특징인 대륙성기후로 기온의 연교차와 일교차가 심하고, 여름은 서늘하며, 겨울은 몹시 춥다. 최근 5년간 연평균 기온은 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o, C. G., W. G. Paik and W. T. Lee. 1999. Flora and Vegetation of the Southern Slope Area at Mt. Chongok and Mt. Tuta(Kangwon-do).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 12(3): 240-252. (in Korean) 

  2. Hong, M. G. 2000.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Maebong and Mt. Chiljelbong.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Pp. 1-72. (in Korean) 

  3. Jeongseon county. 2012.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Oct. 7, 2014, from http://www.Jeongseon.go.kr. 

  4. Kang, S. O. 1971. New Korea Geography. Saegeulsa, Seoul. (in Korean) 

  5. Kim, C. 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s tax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 163-198. (in Korean) 

  6. Kim, C. N. 2001. Flora and Forest Vegetation of Mt. Hambaek.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6(1): 75-87. (in Korean) 

  7. Kim, G. T., G. C. Choo and G. J. Baek. 2004.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aedeoksan-Geumdaebong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n Baekdudaega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7(1): 9-17. (in Korean) 

  8. Kim, J. S., B. C. Lee, J. M. Chung and J. H. Park. 2005. Flora and Phytogeography on Mt. Deokhang (Gangwon-do).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5(4): 337-364. (in Korean) 

  9. Kim, T. H and C. S. Park. 2009. The wild flower in Taebaek. Singubook, Seoul. (in Korean) 

  10. Kim, Y. D and Y. I. Park. 2012. Flora of Mt. Hambaek.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Pp. 1-6. (in Korean) 

  11. Kim, Y. S., N. Y. Kim, Y. S. Kim, H. B. Lee, S. C. Kim, J. H. Kim and W. G. Park. 2012. Flora and Vegetation of Mt. Gwaebyung and Galmi-bong.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101(2): 226-235.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4.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08.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15.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09.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16.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10.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17.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18.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19. Lee, T. 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1: 1-131. 

  20.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21.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22. Lee, W. T and Y. J. Oh. 1999. Flora of Mt. Hambaek area. 2n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Pp. 145-179. (in Korean) 

  23. Lee, W. T. 1987 Flora of Mt. Taebaek. The report of the KACN 25: 43-57. (in Korean) 

  24. Lee, W. T. and Y. J. Yim.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 (Appendix): 1-33. (in Korean) 

  25. Lee, W. T. and Y. 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eon. (in Korean) 

  26. Lee, Y. M., S. H. Park, S. Y. Jung, S. H. Oh and J. 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1): 87-101. (in Korean) 

  27. Lee, Y. 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in Korean) 

  28.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in Korean) 

  29.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3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Third Round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Gwacheon and Incheon. (in Korean) 

  31. Nakai, T. 1935. Some Noticeable Japanese Plant (I). Journal of Japanese Botany 11: 147-156. 

  32. Oh, B. U., D. G. Jo, K. S. Kim and C. 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33. Oh, B. U., D. G. Jo, S. C. Ko, H. T. Im, G. Y. Chung, C. G. Jang and S. H. Kang. 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 Middle Province(Gangwon-do). Oh, B. U. (ed.), Korean Forest Service and Korean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34. Park, C. 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35. Park, I. H., Y. H. Choi, S. M. Lee, Y. C. Choi and S. B. Ryu. 2002.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Hambaeksan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5(4): 361-368. (in Korean) 

  36.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37. Seo, D. J., W. K. Park, W. T. Lee and K. O. Yoo. 2006. Flora and Vegetation of Mt. Daeduk.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9(2): 277-295. (in Korean) 

  38. Song, E. G. 2000. Flora and Forest Vegetation of Mt. Baekun (Gangwon-do). MS thesis, Gangwon National University, Samcheok. Pp. 1-42. (in Korean) 

  39. Taebaek city. 2012. Statistical Yearbook. Retrieved Oct. 7, 2014, from http://www.Taebaek.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