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표내용이 공학도의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 대학원생, 전문가를 중심으로
Effects of Goal Contents on Failure Tolerance: In Focus of Engineering Undergraduates, Graduates, and Expert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8 no.5, 2015년, pp.11 - 21  

박수원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신종호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이선영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이병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이신형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oal contents on failure tolerance in engineers (i.e., students and experts in engineering). Based on the goal contents theory, which is a sub-theory of self-determination theory, three intrinsic goals (i.e., self-growth, help, social concer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학분야 대학생과 대학원생, 전문가의 실패내성 수준을 확인하고 목표내용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공학분야에서 전문성을 계발하고 발휘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목표내용이 무엇인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전의 전문가 관련 연구들이 전문가의 수행이나 문제해결과 같은 인지적 차원에 관심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동기적 차원인 목표에 집중하여 전문성 계발의 관점에서 실패내성을 높일 수 있는 목표내용을 확인하였다.
  •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는 공학전문가가 추구하는 목표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가 전문가를 지원하기 위해 어떠한 측면에 집중해야 하는가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공학도(공학전공 대학생, 대학원생, 공학전문가)의 목표를 확인하고, 목표와 실패내성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공학도의 실패내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공학도의 목표내용과 실패내성을 측정하였다. 목표내용은 외재적 목표와 내재적 목표로 구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공학분야 대학생과 대학원생, 전문가의 실패내성 수준을 확인하고 목표내용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공학분야에서 전문성을 계발하고 발휘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목표내용이 무엇인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따라서 공학도의 실패내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실패내성과 관련이 있는 심리적 구인을 중심으로 개인의 내적 요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학도의 목표내용(goal contents)에 집중하여 실패내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학분야에서 전문성을 계발하고 발휘하는 과정에서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목표내용이 무엇인지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전의 전문가 관련 연구들이 전문가의 수행이나 문제해결과 같은 인지적 차원에 관심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동기적 차원인 목표에 집중하여 전문성 계발의 관점에서 실패내성을 높일 수 있는 목표내용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패내성이란 무엇인가? Clifford와 Kim(1988)은 '실패에 대해 건설적인 태도로 반응하는 경향성'이라는 실패내성(failure tolerance)의 개념을 제시했다. 실패내성이란 개인차가 나타나는 특성 중 하나로 실패 후 보이는 감정과, 실패상황에서 개인이 앞으로 취할 행동, 과제 난이도 선호에 영향을 준다(김아영, 1997).
목표내용은 무엇인가? 목표내용은 어떠한 내용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가를 의미하며, 실패 및 실패에 대한 인식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지닌다. 개인이 바라는 이상적 모습에 대한 정신적인 표상인 목표는 특정한 행위가 실패인지 아닌지를 정의하는 기준이 된다.
기술혁신 과정에서 실패를 야기한 구조적 요인과 같은 외현적 요소에 집중한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이루어진 공학분야 실패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기술혁신 과정에서 실패를 야기한 구조적 요인과 같은 외현적 요소에 집중해왔다(강경원 외, 2012; 유원우, 박민선, 양영순, 2013). 이러한 접근은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해주지만, 공학도가 경험하는 기본적인 심리적 기제에 대한 이해를 수반하지 못하므로 보편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공학도의 실패내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실패내성과 관련이 있는 심리적 구인을 중심으로 개인의 내적 요인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1)

  1. 강경원 외(2012). LNG 플랜트 공정계통의 실패율이 가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설비공학논문집, 24(4):358-363. 

  2. 김동익.이영화(2013). 여성공학도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공과대학 교육환경의 영향. 공학교육연구, 16(2):66-77. 

  3. 김수삼(2003). 미래를 위한 공학 실패에서 배운다. 서울: 김영사. 

  4. 김아영(1994). 한국형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32(3):59-75. 

  5. 김아영(1997).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 연구, 11(2):1-19. 

  6. 김영민.이창훈.김기수(2012). 공학전문가가 인지하는 고등학교 공학 기술 교과 교육 목표와 내용 요소.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221-249. 

  7. 김영빈(2011). 학업우수고등학교 학생들의 실패내성 특성 및 성적하락 극복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8(1):31-47. 

  8. 김종운, 김유진(2009).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구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0(1):455-468. 

  9. 김태유, 이병기, 김도연(1998). 공학기술자의 리더쉽 배양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 1(1):70-77 

  10. 박수원 외(2014).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목표추구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공학분야 예비전문가와 전문가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8(4):693-715 

  11. 신종호 외(2012). 공학전문가 목표인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6(2):353-376. 

  12. 신종호 외(2014). 전문성 수준에 따른 목표내용 및 추구 특성 차이연구: 공학분야와 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8(3):455-476. 

  13. 오헌석(2006). 전문성 개발과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12: 193-216. 

  14. 오헌석 외(2009). 최고 수준 전문가와 보통 수준 전문가의 특성 비교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0(4):105-135. 

  15. 유원우.박민선.양영순(2013). Subsea_X-mas Tree에서의 Blockage 처리 실패에 대한 위험도 저감 방안 분석. 한국해양공학회지, 27(2):47-52. 

  16. 이정수, 길부종, 전희성(2013). 국가연구개발사업 성실실패제도 개선방안. 기술혁신학회지, 16(1):346-366. 

  17. 이주성, 정봉주(2010). 지역사회경험학습과 공학설계교육, 한국공학교육학회, 13(6):180-187. 

  18. 이현주(2013). 목표 중요성, 수행 피드백,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상호작용이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의 학습시간 투자를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7(4):829-852. 

  19. 조한익, 조윤희(2011). 지각된 모의 양육행동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의 매개역할. 청소년학연구, 18(9):211-236. 

  20. 주영주 외(2012). 사이버대학교 공학계열 학생들의 숙달접근목표 지향성, 과제가치,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학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예측력 규명. 전자공학회논문지, 49(2):65-74. 

  21. 채호숙(2008).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천경희, 송영명(2011). 의과대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 교육학연구, 49(3):183-211. 

  23. 최상민(2009). 공학교육에서 문식성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글쓰기 수업모형. 국제어문, 45:279-302. 

  24. 한경희 외(2014). 실패에 관한 다양한 관점과 공학교육에서의 함의. 공학교육연구, 17(6):12-19. 

  25. Abramson, L. Y. et al.(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7:49-74. 

  26. Amabile T. M. (1993): Motivational Synergy: Toward New Conceptualizations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the Workplace.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3(3): 185-201. 

  27. Ames, C. & Archer, J. (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260. 

  28. Burroughs, J. E. & Rindfleisch, A.(2002). Materialism and Well-being: A Conflicting Values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9(3):348-370. 

  29. Chiles, J. R.(2002). Inviting disaster: Lessons from the edge of technology. New York, NY:Harper Business. 

  30. Clifford, M. M.(1984). Thought on a Theory of Constructive Failure. Educational Psychology, 19(2):108-120. 

  31. Clifford. M. M.(1988). Failure Tolerance and Risk Taking in Ten-to Twelve Year-old Studen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8:15-27. 

  32. Deci, E. L. & Ryan, R. M.(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227-268. 

  33. Elliott, E. S. & Dweck, C. S.(1988). Goals: An Approach to Motiva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1):5. 

  34. Ericsson K. A., Krampe R. T., & Tesch-Romer, C.(1993):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Psychological Review, 100(3):363-406. 

  35. Feldman, D. H. (1995). Learning and Development in Nonuniversal Theory. Human Development, 38(6):315-321. 

  36. Frate, L.(2013). Failure of Engineering Artifacts: A Life Cycle Approach.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19(3):913-944. 

  37. Glaser, R. & Chi, M. T. H.(1988). Overview. In Chi, M. T. H., Glaser, R., & Farr, M. J. (Ed.), The nature of expertis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8. Herling, R. W. (2000). Operational Definitions of Expertise and Competence. Advances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2(1):8-21. 

  39. Hiroto, D. S. & Seligman, M. E. P.(1975). Generality of Learned Helplessness in M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2):311-327. 

  40. Kasser, T. & Ryan, R. M.(1993). A Dark Side of the American Dream: Correlates of Financial Success as a Central Life Aspi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2):410. 

  41. Kasser, T. & Ryan, R. M.(1996). Further Examining the American Dream: Differential Correl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280-287. 

  42. Kim, A. & Clifford, M. M.(1988). Goal Source, Goal Difficulty, and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as Predictors of Responses to Failur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8:28-43. 

  43. King R. B., Mclnerney, D. M., & Watkins, D. A.(2012): Studying for the Sake of Others : The Role of Social Goals on Academic Engagement. Educational Psychology, 32(6):749-776. 

  44. Lekes, N. et al.(2010). Parental Autonomy-Support, Intrinsic Life Goals, and Well-Being among Adolescents in China and North Americ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8): 858-869. 

  45. Locke, E. A. & Latham, G. P.(1990). A theory of goal setting & task performance. Prentice Hall. 

  46. Maslow, A. H.(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4):370. 

  47. Midgley, C., Kaplan, A., & Middleton, M.(2001). Performance- Approach Goals: Good for What, for Whom, under What Circumstances, and at What Cos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1):77-86. 

  48. Midgley, C. & Urdan, T.(2001). Academic Self-Handicapping and Achievement Goals: A Further Examin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6(1):61-75. 

  49. Sheldon, K. M. et al.(2004). The Independent Effects of Goal Contents and Motives on Well-Being: It's Both What You Pursue and Why You Pursue I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0(4):475-486. 

  50. Simons, J. et al.(2004). Placing Motivation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heory in a Temporal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6(2):121-139. 

  51. Standage, M. et al.(2003). A Model of Contextual Motivation in Physical Education: Using Constructs from Self- Determination and Achievement Goal Theories to Predict Physical Activity Intention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1):97. 

  52. Starkl, M. et al.(2013). Why do Water and Sanitation Systems for the Poor Still Fail? Policy Analysis in Economically Advanced Developing Countrie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7(12):6102-6110. 

  53. Tennen, H. et al.(1982). Learned Helplessness and the Detection of Contingency: A Direct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426-441. 

  54. Vansteenkiste, M.(2010). The development of the five mini-theorie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 historical overview, emerging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T. Urdan & S. Karabenick (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Vol. 16. The decade ahead (pp. 105-166). Yorkshire, UK: Emerald Publishing. 

  55. Vansteenkiste, M. et al.(2004). Less is Sometimes More: Goal Content Matte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4): 755-764. 

  56. Vansteenkiste, M. et al.(2004). Motivating Learning, Performance, and Persistence: The Synergistic Effects of Intrinsic Goal Contents and Autonomy-Supportive Contex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7(2):246-260. 

  57. Vansteenkiste, M. et al.(2005). Examining the Motivational Impact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Goal Framing and Autonomy-Supportive versus Internally Controlling Communication Style on Early Adolescents' Academic Achievement. Child Development, 76(2):483-501. 

  58. Vansteenkiste, M. et al.(2006). Materialistic Values and Well­ Being Among Business Students: Further Evidence of Their Detrimental Effect.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6(12):2892-2908. 

  59. Vansteenkiste M. et al.(2007). Understanding the Impact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goal Framing on Exercise Performance: The Conflicting Role of Task and Ego Involvement.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8(5): 771-794. 

  60. Vansteenkiste, M. et al.(2008). Does Extrinsic Goal Framing Enhance Extrinsic Goal-Oriented Individuals' Learning and Performance? An Experimental Test of the Match Perspective versus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0(2):387-397. 

  61. Yeager D. S. et al.(2014). Boring but Important: A Self-Transcendent Purpose for Learning Fosters Academic Self-Regul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7(4):559-58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