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방형협업 참여자 기여도와 네트워크 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깃허브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Identifying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Contributors That Affect Performance in Open Collaboration : Focusing on the GitHub Open Source 원문보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20 no.1, 2015년, pp.23 - 43  

백현미 (Department of Information Sociology, Hanyang University) ,  오세환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발전된 정보통신기술개방형협업을 위한 오픈 플랫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개인간 상호협력을 용이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이론을 바탕으로 개방형협업의 대표적 형태로 주목받고 있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상호협력 네트워크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상호협력 네트워크 내에서의 개방형협업 기여도가 높은 참여자의 네트워크 중심구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오픈소스 프로젝트 플랫폼인 깃허브(GitHub)의 782개 리파지토리의 8,101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782개의 협업 네트워크를 도출함으로써, 협업에 있어 기여도가 높은 개발자의 연결 근접 매개 중심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결 매개 근접 중심성이 높은 개발자의 커밋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도 매개중심성에 의해 그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 사이즈가 클수록, 허브가 존재할수록 개발자의 매개중심성과 커밋수 간의 관련성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개방형협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facilitates collaboration among individuals by functioning as an open platform for open collaboration projects.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ho contribute greatly to open collaboration by invest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방형협업의 성공을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대표적 플랫폼인 깃허브의 상호협력 네트워크 구조를 사회연결망이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동연구 네트워크 내에서의 개발자의 역할과 개발자의 자발적 프로젝트에서의 기여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특히, 기존 연구는 프로젝트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성과와 네트워크 구조와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개별적인 개발자의 성과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깃허브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개발자간 상호협력 네트워크 구조를 통해 활동적인 개발자의 네트워크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 이처럼 집단지성을 통한 개방형협업의 활용 및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방형협업이 이루어지는 프로세스 및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제한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협업의 대표적인 형태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공동으로 개발함으로써 보다 나은 소프트웨어를 단기간에 개발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함-를 통해 성공적인 개방형협업을 위한 개발자간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개발자간의 협업에 있어 어떠한 네트워크 특성을 가진 참여자의 기여도가 높을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연결·매개·근접 세 가지 중심성의 경우 상호간의 상관계수가 높으므로([Table 3] 참조), 하나의 모델에서 이를 고려할 경우 다중공선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중심성 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매개중심성을 독립변수로 한 모형을 최종적으로 만들고자 한다. 최종 모델에서는 리파지토리 내에서의 개발자커밋수(Commitij)에 미치는 통제변수로서 개발자활동기간(Periodi), 개발자활동 리파지토리수(RepoNumberi), 리파지토리커밋수(TotalCommitj), 리파지토리사이즈(Sizej) 를 고려하였고, 독립변수로는 개발자의 리파지토리 공동연구망 내 매개중심성(BetCentralityij)과 매개중심성의 이차항(BetCentralityij2)을 고려하였다.
  • 본 장에서는 깃허브 데이터를 기반으로 탐색적 분석을 통해 개발자의 리파지토리 협업 네트워크에서의 중심성과 개발자의 리파지토리 내에서의 기여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리파지토리의 특성인 네트워크 사이즈와 허브 존재여부가 앞서 도출한 관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리파지토리의 운영자와 비운영자 간 네트워크 중심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96개로 1개가 미쳐 되지 않았다. 본 분석에서는 허브를 가지는 리파지토리와 그렇지 않은 리파지토리를 나누어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허브수가 많은 리파지토리의 경우 매개중심성과 커밋수와의 관련성이 더욱 강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개방형협업을 위한 참여자간 공동 연구 연결망의 네트워크 특성과 개발자의 성과에 관해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개방형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그 중요성 또한 주목 받고 있지만 개방형협업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자발적 참여자들의 네트워크 특성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 [Table 1]은 본 연구를 위해 깃허브에서 수집된 변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종속변수인 기여도는 기존연구에 따르면, 공통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구성원들이 업무와 관련된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33], 본 연구에서는 각 개발자의 특정 리파지토리에서의 커밋수로 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개발자 i가 리파지토리 j에서 이룬 기술적 성과인 커밋수(Commitij)를 개발자 i의 리파지토리 j에 대한 기여도라 정의하였다.
  • 즉,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누구든 접근이 가능하며 어떤 사람이든 기여할 수 있고(평등주의), 공헌자들은 그들의 실력을 바탕으로 투명하게 평가받을 수 있으며(실력주의), 프로젝트 커뮤니티는 어떻게 조직을 형성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할지를 자발적으로 결정하게 된다는(자발조직) 특징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이론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자발조직의 형태에 초점을 맞추어 공동연구 네트워크 형태와 참여자들의 자발적 참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인터넷 기반 플랫폼 깃허브(GitHub)의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장에서는 깃허브 데이터를 기반으로 탐색적 분석을 통해 개발자의 리파지토리 협업 네트워크에서의 중심성과 개발자의 리파지토리 내에서의 기여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리파지토리의 특성인 네트워크 사이즈와 허브 존재여부가 앞서 도출한 관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협업에서의 사회연결망분석은 참여자 개별적 속성뿐만 아니라 참여자 상호간 관계적 속성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상호작용에 의한 협업의 기본적인 성격을 반영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이라 판단된다. 일반 적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은 네트워크 특성 분석, 중심구조 분석, 응집구조 분석, 역할구조 분석의 4가지 방법을 통한 접근이 가능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방법 중, 개별적인 노드 단위의 중심구조 분석을 실시하여 네트워크 구조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노드를 파악하고자 한다. 네트워크 중심성으로는 크게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근접중심성 (Closeness Centrality)의 세 가지를 들 수 있으며[30], 각각의 중심성이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 또한 리파지토리의 특성인 네트워크 사이즈와 허브 존재여부가 앞서 도출한 관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리파지토리의 운영자와 비운영자 간 네트워크 중심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탐색적 분석을 통해 개발자의 세 가지 네트워크 중심성(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을 대상으로 개발자의 기여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후, 네트워크의 사이즈와 허브의 존재여부 등 리파지토리 특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리파지토리의 운영자와 비운영자 간 네트워크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깃허브의 782개 리파지토리에 속하는 8,101명의 개발자를 대상으로, 커밋수가 높은 개발자의 네트워크 중심성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탐색적 분석을 통해 개발자의 세 가지 네트워크 중심성(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근접중심성)을 대상으로 개발자의 기여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후, 네트워크의 사이즈와 허브의 존재여부 등 리파지토리 특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리파지토리의 운영자와 비운영자 간 네트워크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 개방형협업의 성공을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대표적 플랫폼인 깃허브의 상호협력 네트워크 구조를 사회연결망이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동연구 네트워크 내에서의 개발자의 역할과 개발자의 자발적 프로젝트에서의 기여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오픈소스 프로젝트 플랫폼인 깃허브에서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782개의 리파지토리를 대상으로 개발자간 협업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협업의 대표적인 형태인 오픈소스 프로젝트다수의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공동으로 개발함으로써 보다 나은 소프트웨어를 단기간에 개발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함-를 통해 성공적인 개방형협업을 위한 개발자간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개발자간의 협업에 있어 어떠한 네트워크 특성을 가진 참여자의 기여도가 높을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를 위해 파이썬(Python) 을 활용한 웹크롤러(web crawler)를 구축하여 깃허브 API 및 깃허브 웹페이지를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리파지토리에 소속된 각 이슈에 대해 토의를 한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상호협력이 이루어졌다고 가정하고[8], 사회연결망분석을 위한 개발자-이슈간 2-모드 네트워크 데이터 형태를 구축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2-모드 네트워크란 서로 성질이 다른 개체 간의 관계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슈-개발자의 상이한 개체간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 협업 네트워크 내에서 연결중심성이 평균값보다 3표준편차 이상인 노드(개발자)를 허브로 가정하였다. 즉 협업 네트워크 내에서의 허브 개발자는 일반적인 개발자들과는 달리, 다른 개발자와의 협업이 빈번히 이루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문의 저자가 공동연구 네트워크 형태와 참여자들의 자발적 참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데이터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이론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자발조직의 형태에 초점을 맞추어 공동연구 네트워크 형태와 참여자들의 자발적 참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인터넷 기반 플랫폼 깃허브(GitHub)의 실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2008년 만들어진 깃허브는 2014년 340만 명 이상의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 의해 활용되고 있으며, 1,000만개 이상의 리파지토리(repository : 프로젝트의 소스코드 저장소)가 운영되고 있다[40].
개방형 협업의 예로는 무엇이 있는가? 개방형협업이란 “내부 자원을 이용하던 방식을 벗어나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외부에 있는 다수의 자원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정의된다[19]. 과학자 집단과 주요기업을 연결함으로써 각종 연구개발 과제를 해결해주도록 지원해주는 이노센티브(InnoCentive), 크라우드펀딩을 활용하여 개인이 원하는 비즈니스를 위한 펀드를 마련해주는 퀵스타터닷컴(KickStarter.com), 오픈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Wikipedia) 등 다양한 형태의 개방형 협업이 존재한다. 이처럼 집단지성을 통한 개방형협업의 활용 및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방형협업이 이루어지는 프로세스 및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제한된 편이다.
개방형협업이란 무엇인가? 발전된 정보통신기술은 개인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생성·교류·공유·활용할 수 있는 오픈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여 상호간 협력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개방형협업(Open Collaboration)을 가능하게 한다. 개방형협업이란 “내부 자원을 이용하던 방식을 벗어나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외부에 있는 다수의 자원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정의된다[19]. 과학자 집단과 주요기업을 연결함으로써 각종 연구개발 과제를 해결해주도록 지원해주는 이노센티브(InnoCentive), 크라우드펀딩을 활용하여 개인이 원하는 비즈니스를 위한 펀드를 마련해주는 퀵스타터닷컴(KickStarte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bbasi, A., Altmann, J., and Hossain, L., "Identifying the effects of co-authorship networks on the performance of scholars : 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performance measure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measures," Journal of Informetrics, Vol. 5, No. 4, pp. 594-607, 2011. 

  2. Abbasi, A., Hossain, L., and Leydesdorff, L., "Betweenness centrality as a driver of preferential attachment in the evolution of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Journal of Informetrics, Vol. 6, No. 3, pp. 403-412, 2012. 

  3. Barabasi, A. L., Linked : How everything is connected to everything else and what it means for business, science, and everyday life : Basic Books, 2014. 

  4. Borgatti, S., "Centrality and AIDS," Connections, Vol. 18, No. 1, pp. 112-114, 1995. 

  5. Burt, R. S., Structural holes :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6. Cho, H., Gay, G., Davidson, B., and Ingraffea, A., "Social networks, communication styles, and learning performance in a CSCL community," Computers and Education, Vol. 49, No. 2, pp. 309-329, 2007. 

  7. Cross, R. and Cummings, J. N., "Tie and network correlates of individual performance in knowledge-intensive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7, No. 6, pp. 928-937, 2004. 

  8. Crowston, K. and Howison, J., "The social structure of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First Monday, Vol. 10, No. 2, 2005. 

  9. Dabbish, L., Stuart, C., Tsay, J., and Herbsleb, J., "Social coding in github : transparency and collaboration in an open software repository," Proceedings of the ACM 2012 conference on Computer Supported Cooperative Work, ACM 2012, pp. 1277-1286, 2012. 

  10. Freeman, L. 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Vol. 1, No. 3, pp. 215-239, 1979. 

  11. Gargiulo, M., Ertug, G., and Galunic, C., "The two faces of control : Network closure and individual performance among knowledge worker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54, No. 2, pp. 299-333, 2009. 

  12. Gousios, G. and Spinellis, D., "GHTorrent : Github's data from a firehose," Paper presented at the Mining Software Repositories (MSR), 2012 9th IEEE Working Conference on, 2012. 

  13. Grewal, R., Lilien, G. L., and Mallapragada, G., "Location, location, location : How network embeddedness affects project success in open source systems," Management Science, Vol. 52, No. 7, pp. 1043-1056, 2006. 

  14. Huang, M., Ahn, J., and Jahng, J., "Patterns of Collaboration Networks : Coauthorship Analysis of MIS Quarterly from 1996 to 2004,"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13, No. 4, pp. 193-207, 2008. 

  15. Kidane, Y. H. and Gloor, P. A., "Correlating temporal communication patterns of the Eclipse open source community with performance and creativity," Computational and mathematical organization theory, Vol. 13, No. 1, pp. 17-27, 2007. 

  16. Kim, Y. H., Social Network Analysis, Parkyoungsa, Seoul, 2007. 

  17. Kim, Y. T., "Analysis of the employment channels of disabled employees : Focus on social network," Disability and Employment, Vol. 21, No. 3, pp. 5-26, 2011. 

  18. Krishnamurthy, S., "Cave or community? : An empirical examination of 100 mature open source projects," First Monday, Vol. 7, No. 6, 2002. 

  19. Lee, J. K., Open collaboration, INITIAL COMMUNICATIONS Corp, Seoul, 2012. 

  20. Lee, J. and Kim, S., "Exploring the role of social networks i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 Network centrality, strength of ties, and structural holes," The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41, No. 2, pp. 205-223, 2011. 

  21. Madey, G., Freeh, V., and Tynan, R., "The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phenomenon : An analysis based on social network theory," AMCIS 2002 Proceedings, p. 247, 2002. 

  22. Mitchell, J. C., The concept and use of social networks, Bobbs-Merrill, 1969. 

  23. Mizruchi, M. S., Stearns, L. B., and Fleischer, A., "Getting a bonus : social networks, performance, and reward among commercial bankers," Organization Science, Vol. 22, No. 1, pp. 42-59, 2011. 

  24. Newman, M. 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networks," Computer Physics Communications, Vol. 147, No. 1, pp. 40-45, 2002. 

  25. Oh, W. and Jeon, S., "Membership herding and network stability in the open source community : The Ising perspective," Management Science, Vol. 53, No. 7, pp. 1086-1101, 2007. 

  26. Ortiz, M. R., Hoyos, J. R. C., and Lopez, M. G. R., "The social networks of academic performance in a student context of poverty in Mexico," Social networks, Vol. 26, No. 2, pp. 175-188, 2004. 

  27. Park, J. H., Cho, Y. H., and Kim, J. K., "Social network : A novel approach to new customer recommendation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ol. 15, No. 1, pp. 123-140, 2009. 

  28. Pil, F. K. and Leana, C., "Applying organizational research to public school reform : The effects of teacher human and social capital on student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52, No. 6, pp. 1101-1124, 2009. 

  29. Riehle, D., Ellenberger, J., Menahem, T., Mikhailovski, B., Natchetoi, Y., Naveh, B., and Odenwald, T., "Open collaboration within corporations using software forges," Software, IEEE, Vol. 26, No. 2, pp. 52-58, 2009. 

  30. Scott, J., "Social network analysis," Sociology, Vol. 22, No. 1, pp. 109-127, 1988. 

  31. Scott, J., Social network analysis : A handbook, Sage, 1991. 

  32. Simon, H. A., The architecture of complexity, Springer, 1991. 

  33. Sin, H. P., Nahrgang, J. D., and Morgeson, F. P., "Understanding why they don't see eye to eye : An examination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agre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94 No. 4, pp. 1048-1057, 2009. 

  34. Singh, P. V., Tan, Y., and Mookerjee, V., "Network Effects : The Influence of Structural Capital on Open Source Project Success," MIS Quarterly, Vol. 35, No. 4, pp. 813-829, 2011. 

  35. Sparrowe, R. T., Liden, R. C., Wayne, S. J., and Kraimer, M. L., "Social networks and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and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4, No. 2, pp. 316-325, 2001. 

  36. Takhteyev, Y. and Hilts, A., "Investigating the geography of open source software through GitHub," Working Paper, 2010. 

  37. Thung, F., Bissyande, T. F., Lo, D., and Jiang, L., "Network structure of social coding in GitHub," Paper presented at the Software Maintenance and Reengineering (CSMR), European Conference on, 2013. 

  38. Yang, H. L. and Tang, J. H., "Effects of social network on students' performance : a web-based forum study in Taiwan,"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Vol. 7, No. 3, pp. 93-107, 2003. 

  39. Zhang, X. and Venkatesh, V., "Explaining employee job performance : the role of online and offline workplace communication networks," Mis Quarterly, Vol. 37, No. 3, pp. 695-722, 2013. 

  40.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GitHub#cite_note-ucc-4, 2014.10.29 acc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