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내상 에멀젼 중합에 의한 폴리스티렌/폴리도파민-탄소나노튜브 미세기공 발포체의 제조, 모폴로지 및 전기 전도도
Preparation, Morpholog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Polystyrene/Polydopamine- Carbon Nanotube Microcellular Foams via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Polymerization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9 no.2, 2015년, pp.293 - 299  

김하승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나효열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  이종헌 ((주)소닉스시스템) ,  이성재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 전도성을 갖는 발포체를 개발하기 위해 고내상 에멀젼(HIPE) 중합법으로 폴리스티렌(PS)/폴리도파민-탄소나노튜브(PDA-CNT) 미세기공 발포체를 제조하여 발포체의 모폴로지전기 전도도를 고찰하였다.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나노충전제로 CNT를 사용하였는데 수분산성과 HIPE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NT 표면을 친수성인 PDA로 개질한 PDA-CNT를 사용하였다. PDA-CNT는 분산성이 우수하여 첨가량을 높여 HIPE를 구성할 수 있었고 전도성이 향상된 발포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한 미세기공 발포체는 기공이 상호 연결된 구조의 모폴로지를 보여 주었다. PDA-CNT의 함량 증가에 따라 HIPE의 항복응력 및 저장 탄성률은 증가하였고 제조된 발포체의 기공 크기는 작아졌다. 전기적 임계점을 보여주는 PDA-CNT 함량은 대략 0.58 wt%였고 PDA-CNT 함량을 5 wt% 첨가했을 때의 전기 전도도는 $10^{-3}S/m$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ductive microcellular foams consisted of polystrene (PS) and polydopamine-coated carbon nanotube (PDA-CNT) were prepared via high internal phase emulsion (HIPE) polymerization and their morpholog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were investigated. CNT as a conductive nanofiller was modified to PDA-CN...

주제어

참고문헌 (30)

  1. N. R. Cameron, P. Krajnc, and M. S. Silverstein, "Colloidal Templating", in Porous Polymers, M. S. Silverstein, N. R. Cameron, and M. A. Hillmyer, Editors, John Wileys & Sons, Inc., Hoboken, Chap. 4, p. 120 (2011). 

  2. N. R. Cameron, Polymer, 46, 1439 (2005). 

  3. Z. Bhumgara, Filtr. Separat., 32, 245 (1995). 

  4. P. Krajnc, D. Stefanec, J. F. Brown, and N. R. Cameron,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43, 296 (2005). 

  5. E. Ruckenstein and X. B. Wang, Biotechnol. Bioeng., 44, 79 (1994). 

  6. S. J. Pierre, J. C. Thies, A. Dureault, N. R. Cameron, J. C. M. van Hest, N. Carette, T. Michon, and R. Weberskirch, Adv. Mater., 18, 1822 (2006). 

  7. R. J. Wakeman, Z. G. Bhumgara, and G. Akay, Chem. Eng. J., 70, 133 (1998). 

  8. M. A. Bokhari, G. Akay, S. G. Zhang, and M. A. Birch, Biomaterials, 26, 5198 (2005). 

  9. S. Iijima, Nature, 354, 56 (1991). 

  10. M. M. J. Treacy, T. W. Ebessen, and J. M. Gibson, Nature, 381, 678 (1996). 

  11. J. I. Lee and H. T. Jung, Korean Chem. Eng. Res., 46, 7 (2008). 

  12. Z. Yao, N. Braidy, G. A. Botton, and A. Adronov, J. Am. Chem. Soc., 125, 16015 (2003). 

  13. J. Y. Shin, T. Premkumar, and K. E. Geckeler, Chem. Eur. J., 14, 6044 (2008). 

  14. S. Bose, R. A. Khare, and P. Moldenaers, Polymer, 51, 975 (2010). 

  15. C. A. Martin, J. K. W. Sandler, A. H. Windle, M. K. Schwarz, W. Bauhofer, K. Schulte, and M. S. P. Shaffer, Polymer, 46, 877 (2005). 

  16. A. B. Sulong, C. H. Azhari, R. Zulkifli, M. R. Othman, and J. Park, Eur. J. Sci. Res., 33, 295 (2009). 

  17. Y. Wang, J. Wu, and F. Wei, Carbon, 41, 2939 (2003). 

  18. A. Postma, Y. Yan, Y. Wang, A. N. Zelikin, E. Tjipto, and F. Caruso, Chem. Mater., 21, 3042 (2009). 

  19. Y. Liao, B. Cao, W. C. Wang, L. Zhang, D. Wu, and R. Jin, Appl. Surface Sci., 255, 8207 (2009). 

  20. H. Lee, S. M. Dellatore, W. M. Miller, and P. B. Messersmith, Science, 318, 426 (2007). 

  21. F. Yu, S. Chen, Y. Chen, H. Li. L. Yang, Y. Chen, and Y. Yin, J. Mol. Struct., 982, 152 (2010). 

  22. C. Shi, C. Deng, X. Zhang, and P. Yang, ACS Appl. Mater. Interfaces, 5, 7770 (2013). 

  23. Y. Jiang, Y. Lu, L. Zhang, L. Liu, Y. Dai, and W. Wang, J. Nanopart. Res., 14, 938 (2012). 

  24. S. Chen, Y. CaO, and J. Feng, ACS Appl. Mater. Interfaces, 6, 349 (2014). 

  25. W. Lee, J. U. Lee, B. M. Jung, J. H. Byun, J. W. Yi, S. B. Lee, and B. S. Kim, Carbon, 65, 296 (2013). 

  26. W. J. Noh, M. H. Kang, and S. J. Lee, Polymer(Korea), 36, 579 (2012). 

  27. H. P. Grace, Chem. Eng. Commun., 14, 225 (1982). 

  28. M. C. Hermant, B. Klumperman, and C. E. Koning, Chem. Commun., 2738 (2009). 

  29. H. M. Princen and A. D. Kiss, J. Colloid Interface Sci., 128, 176 (1989). 

  30. G. Hu, C. Zhao, S. Zhang, M. Yang, and Z. Wang, Polymer, 47, 48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