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 건설에 따른 영산강의 조류 발생 및 환경 변화: 수질측정망 장기 자료 분석
The Change in Patterns and Conditions of Algal Blooms Resulting from Construction of Weirs in the Youngsan River: Long-term Data Analysi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8 no.4, 2015년, pp.238 - 252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유행선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이학영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  이다혜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박건우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대강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보 건설이 영산강의 조류발생 형태와 제반 환경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장기 (2001~2014년) 자료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를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으로 조류 발생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엽록소 ${\alpha}$와 환경인자인 부유물질, 암모늄, 질산염, 인산염, 총 질소, 총 인, N : P ratio 등이다. 조사 정점은 최상류에 위치한 담양 (DY)에서 하류의 무안1 (MA1)까지 포함 (총 12개)한다. 분석 항목별로 시간적 분포를 시계열로 분석하였고, 건설 전과 후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전과 후 3년간 자료 (2006~2008년, 2012~2013년)를 Box-Whisker Plot으로 도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항목들 간의 상관성 분석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층의 탁도를 결정하는 부유물질은 보 건설 기간 중에 부유물질 농도가 보 건설 전에 비해 거의 모든 정점에서 상당 폭 증가한 반면 건설 이후에는 상류 및 중류에 위치한 정점들을 중심으로 확연하게 감소하였다. 암모늄은 건설 이전에 비해 건설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나머지 영양염은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N : P ratio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록소 ${\alpha}$는 건설 중에는 모든 정점에서 감소하였으나, 건설 후에 부유물질 (탁도)이 감소하였던 정점에서 건설 전에 비해 확연히 증가하는 형태를 보여 주었다. 이는 영산강에서 보 건설 이후 인산염과 같은 영양염이 감소했지만, 동시에 탁도가 감소하면서 조류가 대발생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음을 제시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weir construction (2009~2011) was investigated on algal bloom dynamics and surrounding conditions in the Youngsan River by analyzing the long-term (2001~2014) data provided by the Water Information System, Ministry of Environment. The data include chlorophyll a and water properties s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지금까지 승촌보와 죽산보의 건설 이전의 조류 발생에 대한 조사 결과는 존재하지만 건설 이후와 비교하여 전·후의 조류 발생의 형태 및 수질 환경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승촌보와 죽산보가 건설되기 전부터 이후까지의 장기간의 수질측정망 자료를 분석하여 영산강에서의 조류 발생 형태와 환경여건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산강 상류에 건설된 다목적댐은 무엇인가? 7 km이다. 영산강 상류에는 담양댐, 광주댐, 장성댐, 나주댐 등 4개의 다목적댐이 건설되었고, 강 하구에는 광활한 농지와 농·공업용수 확보를 위해 하구언이 1981년에 건설되었다. 하구언 건설 이후 인근 다른 수계에 비해 영산강은 부영양화된 상태로 유지되었고 (Yiet al.
본 연구에서 분석 항목으로 선정한 것은 무엇인가? kr)을 통해 확보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항목은 조류 생체량의 지시인자(index)인 엽록소 a (chlorophyll a)와 조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질 환경 인자인 부유물질 (Total Suspended Solids, TSS), 암모늄 (NH4+), 질산염 (NO3-), 인산염 (PO43-), TN (Total Nitrogen), TP (Total Phosphorus) 등이다. DIN/DIP molar ratio, TN/TP ratio는 조류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제한영양염을 평가할 수 있는 간접지수이므로 (Smith,1983; Fujimoto and Sudo, 1997; Seppälä et al.
본 연구의 분석 항목 중 부유물질의 분석 결과는 무엇인가? 또한 항목들 간의 상관성 분석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층의 탁도를 결정하는 부유물질은 보 건설 기간 중에 부유물질 농도가 보 건설 전에 비해 거의 모든 정점에서 상당 폭 증가한 반면 건설 이후에는 상류 및 중류에 위치한 정점들을 중심으로 확연하게 감소하였다. 암모늄은 건설 이전에 비해 건설 이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나머지 영양염은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N : P ratio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owes, M.J., E. Gozzard, A.C. Johnson, P.M. Scarlett, C. Roberts, D.S. Read and L.K. Armstrong. 2012.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in chlorophyll-a concentrations in the River Thames basin, UK: Are phosphorus concentrations beginning to limit phytoplankton biomas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26: 45-55. 

  2. Callender, E. and D.E. Hammond. 1982 Nutrinet exchange across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the potomac river estua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5: 395-413. 

  3. Chen, Y.W., B.Q. Qin, K. Teubner and M.T. Dokulil. 2003. Longterm dynamics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Microcystis-domination in Lake Taihu, a large shallow lake in China.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5: 445-453. 

  4. Fujimoto, N. and R. Sudo. 1997. Nutrient-limited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Phomzidium tenue and competition under various N:P supply ratios and temperatures. Limnology Oceanography 24: 250-256. 

  5. Gallegos, C.L., T.E. Jordan and S.S. Hedrick. 2010. Long-term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the Rhode River, Maryland (USA). Estuaries and Coasts 33: 471-484. 

  6. Hilton, J., M. O'Hare, M.J. Bowes and J.I. Jones. 2006. How green is my river? A new paradigm of eutrophication in river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65: 66-83. 

  7. Hong, D.G., K.S. Jeong, D.K. Kim and G.J. Joo. 2013. Remedial strategy of algal proliferration in a regulated river system by integrated hydrobiological control: an evolutionary modelling framework.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65: 379-395. 

  8. Hunt, R.J. and V.F. Matveev. 2005. The effects of nutrients and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n phytoplankton growth in a subtropical Australian reservoir: An enclosure study. Limnologica - Ecology and Management of Inland Waters 35: 90-101. 

  9. Hwang, S.J., H.S. Kim, J.K. Shin, J.M. Oh and D.S. Kong. 2004. Grazing effects of a freshwater bivalve (Corbicula leana Prime) and large zooplankton on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wo Korean lakes. Hydrobiologia 515: 161-179. 

  10. Jung, S.W., O.Y. Kwon, S.M. Yun, H.M. Joo, J.H. Kang and J.H. Lee. 2014. Impacts of dam discharge on river environm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a regulated river system, the lower Han River of South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37: 1-11. 

  11. Kang, S.A. and K.G. An. 2006. Spatio-temporal variation analysis of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the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9: 73-84. 

  12. Kang, T.A. 2010. A Study of Lake Environmental Status Using Eutrophication Sensitivity Index in the Sumjin and Yeongsan River System. Master's thesis.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okpo. 

  13. Lee, Y.G., K.G. An, P.T. Ha, K.Y. Lee, J.H. Kang, S.M. Cha, K.H. Cho, Y.S. Lee, I.S. Chang, K.W. Kim and J.H. Kim. 2009. Decadal and seasonal scale changes of an artificial lake environment after blocking tidal flows in the Yeongsan Estuary region, Kore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 6063-6072. 

  14. Li, J.P., S.K. Dong, S.L. Liu, Z.F. Yang, M.C. Peng and C. Zhao. 2013. Effects of cascading hydropower dams on the composition, biomass and biological integrity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the middle Lancang-Mekong River. Ecological Engineering 60: 316-324.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algal blooms in the Youngsan and Sumjin River basins. Final report submitted to Ministry of Environment (Youngsan and Sumji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16. Park, Y.W., K.A. Cho and C. Cho. 2008. Seasonal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in the Youngsan Reservoi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4: 44-53. 

  17. Seppala, J., T. Tammimen and S. Kaitala. 1999. Experimental evaluation of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Gulf of Riga. Journal of Marine Systems 23: 107-126. 

  18. Sin, Y.S., B.G. Hyun, Q.D. Bach, S.R. Yang and C. Park. 2012. Phytoplankton size and taxonomic composition in a temperate estuary influenced by monsoon. Estuaries and Coasts 35: 839-852. 

  19. Sin, Y.S. and B.K. Jeong. 2015. Short-term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response to anthropogenic stressors in a highly altered temperate estuar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156: 83-91. 

  20. Smith, V.H. 1983. Low nitrogen to phosphorus ratios favor dominance by blue-green alge in lake phytoplankton. Science 221: 669-671. 

  21. Sondergaard, M., M. Jeppesen, P. Kristensen and O. Sortkjaer. 1991 Interactions between sediment and water in a shallow and hypertrophic lake: a study on phytoplankton collapse in lake sobygard, denmark. Hydrobiologia 191: 139-148. 

  22. Song, E.S., S.M. Jeon, E.J. Lee, D.J. Park and Y.S. Shin. 2012. Long-term trend analysis of chlorophyll a and water quality in the Yeongs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 302-313. 

  23. Song, E.S., Y.S. Shin, N.I. Jang and J.B. Lee. 2010. Assessment of nutrient and ligh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the Youngsan Lake.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3: 35-43. 

  24. Song, E.S., K.A. Cho and Y.S. Shin. 2015. Exploring the Dynamics of Dissolved Oxygen and Vertical Density Structure of Water Column in the Youngsan Lak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 163-174. 

  25. Yi, S.H., Y.S. Sin, N.I. Chang, J.M. Kim, H.G. Kim, Y.G. Cho and J. Jeong. 2006. Trophic state and water quality in major lakes of the Sumjin and Youngsan River systems. The Korean Society of Limnology 39: 296-309. 

  26. Yu, Q., Y. Chen, Z. Liu, N.V. de Giesen and D. Zhu. 2015. The Influence of a Eutrophic Lake to the River Downstream: Spatiotemporal Algal Composition Changes and the Driving Factors. Water 7: 2184-22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