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 템플레이트를 이용한 무기물 나노 구조체 합성
Use of 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Nanoparticles as Templates for Synthesis of Nanostructured Inorganic Material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6 no.1, 2015년, pp.6 - 14  

김현지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김나혜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김주영 (강원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양친성 반응성 고분자 전구체를 합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화학적, 물리적으로 안정한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이하 CCAP) 나노입자를 제조하였으며, CCAP 나노입자를 $TiO_2$ 나노입자 제조의 템플레이트로 응용하였다. 먼저 CCAP 나노입자 수용액과 티타늄 이소프로폭사이드(Titanium isopropoxide)를 혼합하여, 매우 안정한 유/무기 나노하이브리드 솔(Sol)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솔(Sol)은 회전코팅(Spin coating) 기법을 통해 유/무기 하이브리드 박막으로 제조하고, 소결 공정을 통해서 템플레이트인 CCAP를 제거하여 제조된 $TiO_2$ 나노입자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서 관찰하였다. 다양한 CCAP 나노입자를 템플레이트로 사용하여 제조된 $TiO_2$ 나노입자의 미세구조를 기존 유기물 템플레이트(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TiO_2$ 나노입자의 미세구조와 비교하여, CCAP 나노입자가 $TiO_2$ 나노입자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hysically and chemically stable 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CCAP) nanoparticles were prepared using amphiphilic reactive precursors via soap-free emulsion process. Obtained CCAP nanoparticles were used as templates for synthesis of nanostructured $TiO_2$ nano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친수성/소수성 비율과 화학적 조성으로 인해서 다양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CCAP 나노입자를 무기물 나노입자 제조 시, 템플레이트로 사용하였을 때, 제조된 무기물 나노 입자들의 나노구조를 조사하여서 CCAP 나노입자가 무기물 나노입자의 나노 구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기존 계면활성제 템프레이트와 비교하여서, CCAP나노 입자와 계면활성제의 나노 구조의 차이가 무기물 나노입자의 나노 구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CAP 나노 입자의 크기는 PPO체인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었는가? 제조된 CCAP 나노 입자의 입자크기는 NARO 합성 시 사용된 소수성 GP와 친수성 PEG의 분자량 조합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입자 크기는 32∼49 nm 범위에 있었다. NARO의 PEO의 분자량을 동일하게 두고 PPO 체인의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제조된 나노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분자량이 1500 g/mol PEO와 분자량이 1000 g/mol PPO를 사용하여서 합성된 NARO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계면활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작은 나노 입자를 물에서 형성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는 어떠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는가? 최근에는 계면활성제 대신 다양한 용액에서 소수성 코어(Core)와 친수성 쉘(Shell)로 이루어진 마이셀 형태의 나노입자를 형성할 수 있는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약물전달 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 분리시스템(Separation System), 광학 디바이스 등의 생명공학, 의학 분야에 다양하게 응용하고 있으며,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PEG (Polyethylene Glycol)를 친수성으로 사용한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를 나노입자(Nanoparticle)로 제조하여 소수성 약물을 담지, 이를 항암치료의 약물 전달체로 사용하는 연구와 광학 분야 등의 양친성 블록공중합체의 적용은 이미 많은 선행연구가 이루어져 왔다[7]. 이외, 양친성 블록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토양의 중금속 등을 흡착하는 연구와 금속 및 무기물 나노입자 제조, 윤활기능 향상제로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8-11].
양친성 반응성 전구체란 무엇인가? Figure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연구에 사용한 양친성 반응성 전구체는 친수성 세그먼트인 친수성 폴리에틸렌 옥시드(Polyethylene Oxide), 소수성 세그먼트로 소수성 폴리프로필렌 옥시드(Polypropylene Oxide)를 동시에 가지고 있으면서 소수성 세그먼트에 반응성 비닐기가 결합된 형태이다. 이러한 양친성 반응성 전구체는 소수성 세그먼트와 친수성 세그먼트를 한 분자 내에 가지고 있는 양친성 물질이므로, 물과 혼합되면 마이셀(Micelle)과 같은 양친성 나노입자 형태로 물에서 안정적으로 나노 분산되며, 이후 일반적인 무유화 에멀젼 중합(Soap-free Emulsion Polymerization) 공정을 통해 소수성 코어(Core) 부분이 화학적 가교 결합이 되어있는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Nanoparticle 이하 CCAP)로 변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명수, 제1회 정밀화학 심포지엄 : 계면활성제, 한국공업화학회, 1, 79 (1991). 

  2. D. Neupane, Gemini Suractant-Treated Oxide Particles for Removal of Nonionic Organic Compounds from Aqueous Phase, 한국물환경학회(구 한국수질보전학회), 2, 1281 (1997). 

  3. C. T. Kresge, M. E. Leonowicz, W. J. Roth, J. C. Vartuli, and J. S. Beck, Ordered Mesoporous Molecular Sieves Synthesized by A Liquid-crystal Template Mechanism, Nature, 359, 710 (1992). 

  4. Soft templating Strategies for The Synthesis of Mesoporous Materials : Inorganic, Organic-Inorganic Hybrid and Purely Organic Solids, Advances in Collid and Interface Science, 189, 21 (2013). 

  5. C. Nardin, J. Widmer, M. Winterhalter, and W. Meier, Amphiphilic Block Copolymer Nanocontainers as Bioreactors, The European Physical Journal E, 4, 403 (2001). 

  6. G. Kaune, M. Memesa, R. Meier, M. A. Ruderer, A. Diethert, S. V. Roth, M. D'Acunzi, J. S. Gutmann, and P. Muller-B., Hierarchically Structured Titania Films Prepared by Polymer/Colloidal Templating, Applied Materials and Interface, 1, 12, 2862 (2009). 

  7. X. Xiong, Z. Binkhathlan, O. Molavi, and A. Lavasanifar,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 Preparation and Application in Nanodrug and Gene Delivery, Acta Biomaterialia, 8, 2017 (2012). 

  8. M. Nedelcu, J. W. Lee, E. J. W. Crossland, S. C. Warren, M. C. Orilall, S. Guldin, S. Huttner, C. Ducati, D. Eder, u. Wiesner, u. Steiner, and H. J. Snaith, Block Copolymer Directed Synthesis of Mesoporous TiO2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Soft Matter, 5, 134 (2009). 

  9. C. Cheng, K. Qi, D. S. Germack, E. Khoshdel, and K. L. Wooley, Synthesis of Core-Crosslinked Nanoparticles with Controlled Cylindrical Shape and Narrowly-Dispersed Size via Core-Shell Brush Block Copolymer Templates, Advanced Materials, 19, 2830 (2007). 

  10. V. J. Mohanraj and Y. Chen, Nanoparticles-A Review, Tropical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5(1), 561 (2006). 

  11. E. S. Nachtman and S. Kalpakjian, Lubricants and Lubrication in Metal Working Operations, Marcel Dekker Inc. (1985). 

  12. J. Y. Kim, D. H. Shin, K. J. Ihn, and C. W. Nam, Macromol. Chem. Phys., 203, 2454 (2002). 

  13. J. Y. Kim, D. H. Shin, and K. J. Ihn, Macromol. Chem. Phy., 206, 794 (2005). 

  14. J. Y. Kim, H. M. Kim, D. H. Shin, and K. J. Ihn, Macromol. Chem. Phys., 207, 925 (2006). 

  15. T. Pradubsang, T. Amornsakchai, and u. Asawapirom, Effect of Ethyl Cellulose and Polyethylene Glycol on Structure of Photoelectrode and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Journal of the Microscopy Society of Thailand, 4, 130 (2011). 

  16. A. K. Tripathi, M. K. Singh, M. C. Mathpal, S. K. Mishra, and A. Agarwal, Study of Structural Rransformation in TiO2 Nanoparticles and Its Optical Properties, Journal of Alloys and Compounds, 549, 114 (2013). 

  17. I. Hung, Y. Wang, C. Huang, Y. Fan, Y. Han, and H. Peng, Effects of templating surfactant concentrations on the mesostructure of ordered mesoporous anatase TiO2 by an evaporation-induced self-assembly method,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30, 206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