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수 및 외수영향을 고려한 침수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Inland and River Flood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1, 2015년, pp.74 - 89  

조완희 (한국수자원공사 물관리센터) ,  한건연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김현식 (한국수자원공사 조사기획처) ,  김진수 (한국수자원공사 용담댐관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홍수 및 국지성 호우에 의해 발생되는 제내지에서의 비상상황에 대비하여 내수 및 외수 영향을 고려한 침수해석을 실시함으로써 피해 예상지역 내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제내지에서의 침수범위, 침수위, 침수시간 등을 예측하여 홍수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천시 신음동 일대를 대상유역으로 HEC-HMS 모형과 FLDWAV 모형을 적용한 외수범람 해석 및 SWMM 모형을 적용한 내수침수 해석에 기초하여 2차원 침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100년 및 200년 빈도 확률강우량에 대한 예상 침수심 및 침수면적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내수 및 외수영향을 고려한 제내지에서의 침수해석으로 예상 침수심 및 침수면적이 제시된다면 홍수방어를 위한 구조적 대책 수립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침수해석 결과에 기초한 홍수위험지도가 구축된다면 고위험지역의 인명을 우선적으로 대피시키고, 차량 및 도로를 통제하는 등의 비상대처계획을 수립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untermeasures for mitigation of flood damage with inundation analysis considering the effect of inland and river flood and prediction of flood inundation area, depth and time against emergencies caused by abnormal flood and local torrential rainfall.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2년 당시 실제 침수면적에 기초하여 홍수분석 체계 및 매개변수에 대한 검·보정을 수행하였고, 100년 및 200년 빈도 확률강우량에 대한 예상 침수범위 및 침수심 등을 계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그림 8은 대상유역에서 태풍‘루사’시 강우 사상에 대하여 HEC-HMS 및 FLDWAV 모형을 적용한 유출량 및 1차원 하천해석 결과로 나타난 3개 유출구 지점에서의 수위수문곡선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SWMM 모형을 적용한 유출해석시 외수위 상승으로 인한 내수배제 불량으로 월류가 발생하는 상황을 고려하기 위하여 OUTLET의 수위수문곡선을 SWMM 모형의 경계조건으로 입력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내수침수와 외수범람의 영향을 고려한 2차원 침수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2002년 당시의 강우 관측자료와 하천기본계획에 제시된 확률강우량에 대하여 HEC-HMS 모형의 적용을 통한 대상유역에서의 홍수량을 계산하였고, 소유역별 홍수량 자료 및 빈도별 계획홍수위 자료를 바탕으로 하도에서의 1차원 부정류 수리해석 모형인 미국 기상청의 FLDWAV 모형을 적용한 대상유역 내 하도에서의 홍수해석을 실시하였다. FLDWAV 모형을 적용한 하도에서의 1차원 홍수해석 결과로부터 제방에서의 월류량 및 SWMM 모형 적용을 위한 외부 경계조건을 산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내수침수와 외수범람의 영향을 고려한 2차원 침수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이를 적용한 대상유역에서의 100년 및 200년 빈도 홍수량에 대한 예상 침수범위 및 침수심 등을 계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강우관측소의 확률강우량에 관측소별 티센가중치(추풍령 0.541, 거창 0.083, 구미 0.376) 및 면적감소계수를 적용하여 감천유역에서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표 1은 FARD 2006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된 각 강우 관측소에서의 빈도해석 결과로 나타나는 지속시간 1440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보여준다.
  • 본 연구에서는 확률강우량를 적용하여 계산된 홍수량의 부정류 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홍수통제소의 홍수예보 업무에 적용하고 있는 FLDWAV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현황을 고려한 실제양상 반영 및 홍수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분할된 소유역별 유출량을 지류 및 측방유입으로 고려하여 1차원 하천해석을 수행하였다. FLDWAV 모형의 입력자료 구축시 직지사천을 측방유입으로 고려하지 않고 지류로 구성하여 감천과 직지사천의 하천해석을 수행하였고, 직지사천의 상류단 경계조건은 HEC -HMS 모형의 계산결과를 이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소하천에서의 내수 및 외수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는 보다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침수해석을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과거 내수침수 및 외수범람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했던 신음동 일대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제방붕괴 및 월류로 발생하는 외수범람에 따른 침수심 및 침수범위만을 고려하는 방법에만 국한하지 않고 최근들어 많은 침수피해의 원인이 되고 있는 내수침수 영항을 동시에 고려하는 침수해석을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과거 내수침수 및 외수범람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했던 김천시 신음동 일대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다.

가설 설정

  • 배수시스템 내에서 발생한 월류량과 외수범람 유량은 생성항으로 취급되며, 운동량 방정식을 간단히 나타내는데 있어서 운동파 근사법은하상경사와 마찰경사를 제외한 모든 항을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특히 가파른 수로바닥경사에 적합한 이 가정은 많은 강우-유출 모형 의 기초가 되어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범람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무엇이 요구되나요? 특히 하천에서의 홍수위 상승에 따른 외수범람과 배수불량에서 기인하는 내수침수가 겹치는 경우 제내지에서의 침수피해는 더욱 가중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홍수범람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내수배제 능력의 부족으로 월류가 발생하거나 하천의 제방붕괴 및 월류 등으로 인하여 침수가 예상되는 범람 위험지역과 상습침수지역에 대한 침수심 및 침수면적 예측을 위한 정교한 침수해석이 요구되는 바이다.
태풍 및 집중호우는 어떠한 피해들을 가져오나요? 기후변화로 인하여 우리나라를 둘러싼 기후 패턴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장마기간이 소강상태를 보이는 반면, 장마 후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태풍이 내습하는 현상이 빈번해짐으로써 홍수피해의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하여 배수시스템의 통수능력 부족, 제방의 붕괴 및 월류 등의 발생 확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제내지에서의 침수는 많은 인명손실과 극심한 재산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태풍 및 국지성 호우등 기상이변은 유역에서의 유출량을 급격히 변화시켜 짧은 시간의 호우사상에도 불구하고 큰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다.
태풍 및 국지성 호우등 기상이변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우리나라 지형과 환경에서 이유를 찾는다면 무엇인가?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태풍 및 국지성 호우등 기상이변은 유역에서의 유출량을 급격히 변화시켜 짧은 시간의 호우사상에도 불구하고 큰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하천의 중류나 상류는 대부분 산지로 되어 있어 경사가 급하여 집중호우 발생 시 매우 짧은 시간 유출의 발생으로 빈번한 홍수범람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유출억제기능을 가지고 있던 삼림, 초지 등이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라 주택, 도로 등의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불투수면으로 바뀌게 되어 홍수유출량이 증가하고 도달시간도 단축되어 대규모 홍수피해가 발생할 위험이 커지게 된 반면 배수 시설, 저류시설, 지하침투시설 등의 홍수유출을 억제할 수 있는 시설의 부족에 따라 내수침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하천에서의 홍수위 상승에 따른 외수범람과 배수불량에서 기인하는 내수침수가 겹치는 경우 제내지에서의 침수피해는 더욱 가중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 W.H., K.Y. Han and K.H. Ahn. 2010a. Flood risk mapping with FLUMEN model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30(2B): 169-177 (조완희, 한건연, 안기홍. 2010a. FLUMEN 모형을 적용한 홍수위험지도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0(2B):169-177). 

  2. Cho, W.H., K.Y. Han and S.Y. Choi. 2009. Study on application of diffusion wave inundation analysis model linked with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3):88-100 (조완희, 한건연, 최승용. 2009. GIS와 연계한 확산파 침수해석 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3):88-100). 

  3. Cho, W.H. K.Y. Han, T.J. Hwang and A.R. Son. 2011. 2-D inundation analysis in urban area considering building and roa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1(5):159-168 (조완희, 한건연, 황택진, 손아롱. 2011. 건물 및 도로영향을 고려한 도시지역에서의 2차원 침수해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1(5):159-168). 

  4. Cho, W.H., K.Y. Han and Y.J. Kim. 2010b. An evaluation of building effect in 2-dimensional inundation analysis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2) :119-132 (조완희, 한건연, 김영주. 2010b. GIS를 활용한 2차원 침수해석에서의 건물영향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2):119-132). 

  5. Choi, C.K., Y.S. Choi and K.T. Kim. 2013.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using lidar and LISFLOOD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4):1-15 (최천규, 최윤석, 김경탁. 2013. LiDAR 고도자료와 LISFLOOD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4):1-15). 

  6. Ha, C.Y., K.Y. Han and W.H. Cho. 2010. 2-D inundation analysis according to post-spacing of DEMs from LiDAR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74-88 (하창용, 한건연, 조완희. 2010. GIS를 활용한 LiDAR 자료의 밀도에 따른 2차원 침수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74-88). 

  7. Horritt, M.S. and P.D. Bates. 2002. Evaluation of 1D and 2D numerical models for predicting river flood inundation, Journal of Hydrology 268(1):87-99. 

  8. Kang, S.M., M.J. Park, S.H. Kim and S.J. Kim. 2007. A study on the mitigation of inundation damage using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 FLUMEN : for the part of Jinwicheon rea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7(6B):583-590 (강수만, 박민지, 김상호, 김성준 2007. 홍수범람해석을 이용한 침수피해 저감방안 연구 : 진위천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6B):583-590). 

  9. Kim, J.H., K.Y. Han and K.W. Seo. 2003. Application of uncertainty method for analyzing flood inundation in a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4):661-671 (김종해, 한건연, 서규우. 2003. 하천 홍수범람모의를 위한 불확실도 해석기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6(4):661-671). 

  10. Kim, Y.J., K.Y. Han and W.H. Cho. 2010. Analysis on the effects of flood damage mitigation according to installation of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30(1B):41-51 (김영주, 한건연, 조완희. 2010. 지하저류조 설치에 따른 침수피해 저감효과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0(1B): 41-51). 

  11. Lee, C.H. and K.Y. Han. 2007. GIS-based urban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 considering building effec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0(3):223-236 (이창희, 한건연. 2007. 건물영향을 고려한 GIS기반 도시침수해석 모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0(3):223-236). 

  12. Lee, C.H., K.Y. Han and J.S. Kim. 2006. Urban inundation analysis by applying with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2):115-125 (이창희, 한건연, 김지성. 2006.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침수 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115-125). 

  13. Lee, J.T. and K.Y. Han. 1995. Floodwave modeling in inundated area resulting from levee-break.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8(5): 163-174 (이종태, 한건연, 윤세의, 박재홍. 199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28(5):163-174). 

  14.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Korea. 2007. Report of flood risk map in the upper stram of Nakdong river. vol.7, pp.27-29 (건설교통부. 2007. 홍수 지도제작(낙동강 상류부) 보고서. vol.7, 27-29쪽). 

  1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2008. Guideline for flood risk mapping. pp.55-56 (국토해양부. 2008. 홍수위험지도 제작에 관한 지침. 55-56쪽). 

  1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2010. Report of fundamental plan for Gamcheon River vol.4, pp.3-64 (국토해양부. 2010. 감천하천기본계획(보완) 보고서 vol.4, 3-64쪽). 

  17. Schmitt, T.G., M. Thomas and N. Ettrich. 2004. Analysis and modeling of flooding in urban drainage systems. Journal of Hydrology 299(3):300-311. 

  18. Shige-eda, M. and J. Akiyama. 2003.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n two-Dimensional flood flows with and without structur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29(10):817-8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