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효율적인 해안선 추출을 위한 위성영상별 디지타이징 정확도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Digitizing Accuracy by Satellite Images for Efficient Shoreline Extractio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1, 2015년, pp.147 - 155  

김동현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박주성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  조명희 (경북대학교 융복합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현지조사 및 항공영상을 통하여 해안선 측량의 인력낭비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약최고고조면의 표준 해안선으로부터 추출한 포인트와 다양한 국내외 위성영상(다목적실용위성 3호, SPOT-5, Landsat-8, Quickbird-2)에서 얻어진 각 영상별 디지타이징 포인트를 활용하여 광범위의 효율적인 해안선을 추출하기 위한 디지타이징을 실시하여 정확도 비교 분석을 실행한다. 약최고고조면의 표준 해안선의 포인트들과 각 위성별 해안선의 차이 값은 다목적실용위성 3호, Quickbird-2, SPOT-5, Landsat-8의 순서로 작게 나타났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와 Quickbird-2 간의 유의성 검증을 통하여 유의확률(양쪽)(significant probability (2-tailed))이 유의수준 1%에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값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해안선 추출을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위성영상이 필요하고 영상 획득이 용이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다목적실용위성 3호를 사용한다면 국가의 자력으로 가장 효율적인 해안선 추출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isting field survey and aerial photography involve the waste of manpower and economic loss in the coastline survey. To minimize these disadvantages, the digitization for efficient coastline extraction was conducted in this study using the points extracted from the standard coastline of the ap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수동 작업으로 인해 항상 포함되는 오차이며 이를 없애는 것은 불가능 하다. 다만 연구 결과의 정당성을 찾기 위해 위 오차들을 최소화 하려는 노력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도 여러 과정을 거처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reference 포인트의 경우 당초 700개의 랜덤 포인트를 reference 해안선 위에 생성하였으나, 육안으로 특정 지점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삭제하여 439개의 특징이 있는 지점만을 선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현지조사 및 항공영상을 통하여 해안선 측량의 인력낭비와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국내외 위성 영상(KOMPSAT-3, SPOT-5, Landsat-8, Quickbird-2)을 활용하여 광범위의 효율적인 해안선을 추출하기 위한 디지타이징을 실시하여 정확도 비교 분석을 실행한다.
  • 본 절에서는 위성영상별 해안선 포인트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그림 2에서 얻어진 각 위성영상들을 이용하여 영상별 해안선을 수동으로 디지타이징하여 해안선을 추출하고 표준 해안선과 같은 위치의 해안선 포인트를 선택한다.
  • 본 절에서는 표준 해안선의 좌표와 위성영상별 좌표의 차이 값들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해안선 추출에 대한 정확도를 검증한다. 우선 수동 디지타이징의 경우엔 실험자의 주관적인 견해가 적용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해안선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또한 도서 지역에 대한 해안선 조사를 2011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해안선은 일반 지도상에서 육지와 바다의 경계선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엄밀하게 말하면 해면이 약최고고조면(Approximate highest high water level: 일정 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해수면)에 달하였을 때의 육지와 해면의 경계로 표시된다. 그러나 해도에서는 선박의 안전 통행을 위하여 해면이 약최저저조면(Approximate lowest low water level: 일정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낮은 해수면)에 달하였을 때의 육지와 해면의 경계인 저조선을 해안선의 전면에 기입하며 이러한 저조선은 우리나라의 영해를 나타내는 기준선이 된다.
다목적실용위성 3호 위성의 장점은 무엇인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서 2012년에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3호 위성은 Pan(450-900nm), Blue(450-520nm), Green(520-600nm), Red(630-690nm), Near Infrared (760-900nm) 밴드와 Panchromatic(0.7m), Multi Spectral(2.8m)의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를 제공하며 농작물 모니터링 연구 및 하천 토지피복 분류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 해안선 추출 시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고자 수행한 두 가지 방안은? 다만 연구 결과의 정당성을 찾기 위해 위 오차들을 최소화 하려는 노력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도 여러 과정을 거처 오차를 줄이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reference 포인트의 경우 당초 700개의 랜덤 포인트를 reference 해안선 위에 생성하였으나, 육안으로 특정 지점을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삭제하여 439개의 특징이 있는 지점만을 선정하였다. 둘째, 위성영상에서 reference 지점의 포인트를 바로 생성하지 않고 우선 위성영상에 대한 해안선을 디지타이징 한 후, 해안선 벡터 위에서 reference 의 특정점과 같은 위치를 찾아 포인트를 생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hn, C.H., Y.K. Lee, H.R. Yoo and J.K. Oh. 1989. Application of satellite data on geomorphological study of the tidal flats near Kum river estuary. Korea Journal of Remote Sensing 5(1):1-14 (안충현, 이용국, 유홍룡, 오재경. 1989. 위성자료의 한국 금강하부부근 조간대 지형 연구에 대한 응용. 대한원격탐사학회지 5(1): 1-14). 

  2. Chen, L.C. and L.H. Park. 1993. Rigorous generation of digital orthophotos from SPOT Images. PE&RS 59(5):665-661. 

  3.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4. Jo, M.H. 2012.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a river from the RapidEye image using ISODATA algorith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1-14 (조명희. 2012. ISODATA 기법을 이용한 RapidEye 영상으로부터 하천의 추출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4):1-14). 

  5. Kim, G.H., S.P. Choi, W.S. Yook and Y.S. Song. 2005. Coastline change detection using CORONA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3(4): 419-426 (김기홍, 최승필, 육운수, 송영선. 2005. CORONA 위성영상을 이용한 동해안 해안선 변화탐지. 한국측량학회지 23(4): 419-426). 

  6. Kim, M.K., H.K. Sohn, S.P. Kim and H.S. Jang. 2013. Automatic coastline extraction and change detection monitoring using LANDSAT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1(4):45-53 (김미영, 손홍규, 김상필, 장효선. 2013. LANDSAT 영상을 이용한 해안선 자동 추출과 변화탐지 모니터링.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1(4):45-52). 

  7. Lee, K.J., H.C. Yun and Y.S. Kim. 2013. Generation of the KOMPSAT-2 ortho mosaic imagery o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 103-114 (이광재, 윤희천, 김윤수. 2013. 아리랑위성 2호 한반도 정사모자이크영상 제작.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103-114). 

  8. Oh, C.Y., S.Y. Park, H.S. Kim, Y.W. Lee and C.U. Choi. 2010. Comparison of landcover map accuracy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89-100 (오치영, 박소영, 김형석, 이양원, 최철웅. 2010.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토지피복분류와 정확도 비교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89-100). 

  9. Ryu, J.H., W.J. Cho, J.S. Won, I.T. Lee, S.S. Chun, A.S. Suh and K.L. Kim. 2000. Intertidal DEM generation using waterline extracted from remotely sensed data. Korea Journal of Remote Sensing 16(3):211-233 (류주형, 조원진, 원중선, 이인태, 전승수, 서애숙, 김금란. 2000. 원격탐사 자료로부터 해안선 추출에의한 조간대 DEM 생성. 대한원격탐사학회지 16(3):211-233). 

  10. Yang, I.T., C.H. Choi, W.N. Kim and K.S. Cho. 1990. A study on the shoreline changes by the geodetic characteristics of the East sea and on the numerical model for its predic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8(2):9-16 (양인태, 최한규, 김옥남, 조기성. 1990. 동해안의 측지학적 특성에 의한 해안선 변화와 그의 예측을 위한 수치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8(2):9-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