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상 태양광발전시스템 기술개발 및 시장 동향 원문보기

태양광발전학회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v.1 no.2, 2015년, pp.35 - 56  

이재형 (성균관대학교) ,  원창섭 (LS산전) ,  최영관 (K-water 설비기술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상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태양전지를 지지하기 위한 방식은? 수상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육상 태양광발전 시스템과 전혀 다르지 않고 태양전지를 어떻게 고정하느냐의 기술이 다를 뿐이다. 태양전지 모듈의 방수 기능이 더 강화되고, 태양전지를 지지하기 위한 방식이 육상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지지 하는 방식이 아닌 물의 부력을 이용해야 하는 방식인 것이다. 따라서 수상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 기술과 부유식 구조물을 융합한 신 개념의 발전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수상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무엇인가? 한편, 수상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 가운데 하나는 수위 변동에 따라 수상 부유체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동시에 발전효율이 감소하지 않도록 정남향을 유지해야 하며, 바람에 의해서 수상 부유체의 좌우 움직임이 최소화 되도록 고정(계류)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의 국내외 사례는 수심이 얕고 연중 수위 변동이 크지 않은 저수지나 연못에 설치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육상에 계류선을 연결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계류에 대해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수상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장점은? ① 태양광발전소 설치에 따른 자연 훼손(산림 및 임야의 훼손)이 없음. ② 수면을 이용하므로 국토의 효울적 이용이 가능 ③ 산간 오지에 설치에 따른 접근도로의 부설이 불필요 ④ 수면에 설치되므로 기초공사 불필요 ⑤ 수상의 낮은 기온으로 인하여 발전 효율 상승 ⑥ 수분 증발 억제에 따른 수자원 확보 가능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승연, "수상 회전식 태양광발전시스템 실증효율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 

  2. 주인호, "수상태양광 발전기술 개요 및 현황", J. Electric World, Special Issues 3, pp.37-41, 2014.10. 

  3. Y.-K. Choi, "A Study on Power Generation Analysis of Floating PV System Considering Environmental Impact", Int. J. Software Engineering and Its Applications, Vol. 8, No. 1 pp.75-84, 2014. 

  4. 오성덕, "수상태양광발전 상용화 길 열렸다", 건설기술신문, 2012. 3. 27. 

  5. Y.-K. Choi and J.-H. Lee, "Structural Safety Assessment of Ocean-Floating Photovoltaic Structure Model", Israel J. Chemistry, Vol. 55, pp.1081-1090, 2015. 10. 

  6. 최영관, 이종석, "수상태양광의 시공기술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9, pp.4447-4454, 2013. 

  7. Y.-K. Choi, "A Study on Power Generation Analysis of Floating PV System Considering Environmental Impact", Int. J. Software Engineering and Its Applications, Vol. 8, pp.75-84, 2014. 

  8. 이안규, "추적식 수상태양광발전의 ICT 융합기술 개발동향", 녹색기술동향보고서, pp.15-21, 2014. 1. 

  9. 원창섭, "수상태양광 발전 시스템 기술 동향", 태양에너지, Vol. 13, No. 1, pp.18-23, 2015. 6. 

  10. 이남형, "수상태양광, 에너지와 환경을 생각한다", 퓨쳐에코, 49호, 2013. 10. 1. 

  11. 최형철, "100[kW] 수상태양광발전시스템의 운전특성 분석을 위한 실증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8. 

  12. 이세현 외, 수상태양광 발전시스템 실용화를 위한 ICT 융합기술개발(2차년도) 연구보고서, 2013. 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