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에서는 전기화학 양극 산화법(electrochemical anodization)의 원리와 태양전지로의 응용에 관한 연구동향을 알아본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전기화학 양극 산화법의 원리와 태양전지로의 응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양극 산화법으로 합성한 TiO2 나노튜브 및 SnO2 나노채널 전극이 기존의 나노입자 전극과는 차별되는 광전 특성을 지니는 것을 알 수 있다.
  • 알루미늄과 티타늄(Ti) 외에도 최근 니오븀(Nb), 지르코늄(Zr), 텅스텐(W), 주석(Sn) 등 다른 다양한 전이 금속들의 양극산화법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특성에 맞게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본론에서는 전기화학 양극 산화법의 원리와 그의 태양전지로의 응용에 관한 연구 동향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극 산화법에 의해 나노튜브 구조의 금속산화물이 형성되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그림 1은 양극 산화법에 의해 나노튜브 구조의 금속산화물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한쪽 전극에 Al, Ti 등의 금속(valve metal)을, 상대전극으로 백금 또는 탄소 전극으로 하여 특정한 전해질 속에서 일정한 전압을 걸어 반응을 진행시킨다. 일정한 전압 하에서 전해질 내의 산소 이온에 의해 해당 금속 표면이 산화되게 된다. 산화된 금속 표면은 전해질 내의 특정 이온에 의해 녹게 되면서 다공성의 구조가 만들어 지게 된다. 이 때, 특정 전압, 특정 전해질 하에서 그림 1에서 표현한 것과 같은 나노튜브 또는 멤브레인 구조로 금속 산화물이 형성되게 된다. 특히 양극 산화법에 의해 형성된 TiO2나노튜브는 태양전지 전극 물질로서 주목 받아왔다.
전기화학 양극 산화법의 장점은? 전기화학 양극 산화법(electrochemical anodization)에 의한 나노구조의 금속 산화물 합성에 관한 연구는 나노 무기 합성, 광결정(photonic crystal), 바이오센서, 태양전지 등의 분야에 폭넓게 주목을 받아 왔다. 전기화학 양극 산화법은 그 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것에도 유리하며, 그에 의해 합성한 일차원적인 나노구조를 지니는 물질들은 독특한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지닌다. 대략 60년 이전부터 알루미늄(Al)의 양극 산화를 통해 얻는 anodic aluminum oxide (AAO)의 합성과 그를 통한 나노 재료의 합성이 주목을 받아왔다.
나노튜브 전극이 나노입자 전극와 비교해 가지는 장점은? 나노튜브 전극은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나노입자 전극에 비해 향상된 전자 재결합 특성, 뛰어난 광산란 효과를 지니지만, 상대적으로 적은 표면적을 지닌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표 1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같은 두께에서 나노튜브 전극의 염료 흡착량은 나노입자 전극의 절반 가량에 불과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J.-Y. Kim, K. J. Lee, S. H. Kang, J. Shin and Y.-E. Sung, J. Phys. Chem. C, 2011, 115, 19979. 

  2. J.-Y. Kim, J. S. Kang, J. Shin, J. Kim, S.-J. Han, J. Park, Y.-S. Min, M. J. Ko and Y.-E. Sung, Nanoscale, 2015, 7, 8368. 

  3. J.-Y. Kim, K.-H. Lee, J. Shin, S. H. Park, J. S. Kang, K. S. Han, M. M. Sung, N. Pinna and Y.-E. Sung, Nanotechnology, 2014, 25, 504003. 

  4. A. Ghicov and P. Schmuki, Chem. Comm. 2009, 27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