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재, 골재, 문화재 분야에서의 암석의 활용" 특별호를 발간하며
2015, Applied petrology: Dimension stone, Aggregate, Stone cultural heritage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4 no.3, 2015년, pp.149 - 151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채석현장에서는 결의 방향을 과학적인 측정법이 아닌 암석의 육안관찰, 촉감 등으로 결정하여 채석을 위한 발파, 천공 등의 개발방향을 추진함으로서 초기의 기업투자의 비효율성이 커지고 채석 실수율의 저하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결의 방향을 과학적이며,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데 앞의 두 논문은 결의 방향을 미세균열의 특성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한 반면, 이 논문은 화강암 내 자철석의 자기특성을 이용하여 암석의 미세구조를 분석하여 결의 방향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 (2015)은 현재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한양도성의 축조 성돌에 대해 광물학적, 지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추정산지의 석재와 도성축조 성돌의 암석학적인 특성이 유사함을 밝히고, 성돌석재의 원산지 추적을 실시하였다. 석성의 특성상 먼거리에서의 성돌 운반은 불가능하므로 도성 부근의 석재산지를 고문헌을 통해 조사하고 이를 D/B화함으로서 석재재질의 특성규명과 도성의 보존 및 보수를 위한 석재선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 따라서 전국적으로 100개 이상의 시군에서 골재를 채취하여 자체 또는 주변 시군에 공급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1993년 골재채취법이 제정된 이후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집계되는 골재채취통계자료를 분석하여 국내에서의 골재원별, 골재종류별, 권역별 골재의 수요와 공급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으며, 전망에 대해 언급하였다.
  • (2015)은 석조문화재 중에서 주로 바닥 포장재로 사용된 박석의 암석학적 특성을 밝히고 산지를 규명하였다. 특히, 수도권 지역 궁궐과 능에 약 16만장 이상 깔려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 박석중 경복궁 근정전의 박석을 대상으로 채석 산지를 파악하고 또한 고문헌과 고지도 분석을 통해 박석 석재의 생산 및 조달 경로를 추적함으로서 과거 역사시대에 석재를 조달하는 경로와 방법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고학에서 도구로 이용한 돌(암석)을 기준으로 어떻게 시대를 구분할 수 있는가? 처음에는 돌을 그냥 깨뜨려 날카로운 부분만을 이용하였으며, 점차 사용방식이 발달하여 돌을 갈아서 사용하게 되었다. 이런 방식의 차이를 가지고 고고학에서는 뗀석기(타제석기)를 이용하던 구석기시대와 간석기(마제석기)를 이용하였던 신석기시대로 구분하였다. 그 후 인류는 특정한 암석 내의 유용한 금속광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알아내어 구리, 주석, 아연 등이 합금된 청동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청동기 시대라 한다.
청동기 시대는 무엇인가? 이런 방식의 차이를 가지고 고고학에서는 뗀석기(타제석기)를 이용하던 구석기시대와 간석기(마제석기)를 이용하였던 신석기시대로 구분하였다. 그 후 인류는 특정한 암석 내의 유용한 금속광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알아내어 구리, 주석, 아연 등이 합금된 청동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청동기 시대라 한다. 이후 인류는 좀 더 강한 철을 이용하는 기술을 발전시켜 철기시대가 도래하게 되었다.
철기시대가 도래된 배경은 무엇인가? 그 후 인류는 특정한 암석 내의 유용한 금속광물을 추출하는 방법을 알아내어 구리, 주석, 아연 등이 합금된 청동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를 청동기 시대라 한다. 이후 인류는 좀 더 강한 철을 이용하는 기술을 발전시켜 철기시대가 도래하게 되었다. 이렇듯 다양한 자원이 인류를 위해 사용되었지만 지금도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자원은 암석자원으로, 암석은 지금도 꾸준히 도로, 항만, 산업단지 등의 SOC 기반시설과 주거생활에 이르기까지 국민의 기초생활에 필수적인 자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ho, H., Kim, J.S., Kim, K.K., Kang, M.H., Sohn, Y.K., Lee, Y.S., Jwa, Y.J., and Son, M., 2015, Determination of rock cleavages using AMS(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 case study on the Geochang granite stone,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3, 209-2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e, M., Lee, C.H., and Jo, Y.H., 2015, Interpretation of provenance and transportation precess for Bakseok of Geunjeongjeon Hall in Gyeongbokgung Palace, Korea.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3, 181-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ong, S.S., Kim, J.Y., and Lee, J.Y., 2015a,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Korea(I),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3, 253-2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ong, S.S., Lee, C.O., Lee, J.Y., and Kim, Y.S., 2015b,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underground dimension stones -The example of the granite quarry in the Geochang area-, 2015,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3, 233-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o, Y.H. and Lee, C.H., 2015, Analysis of ancient document and establishment of petrological archive for presumption of stone source area of the Seoul City Wall, Korea.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3, 193-2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K.K., Jwa, Y.J., Hong, S.S., and Lee, K.W.,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whole rock magnetic susceptibility and SHRIMP zircon U-Pb geochronology of the domestic dimension stone and Chinese similar dimension stone,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3, 273-2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Park, D.W., 2015a, Characteristics of the rock cleavage in Jurassic Granite, Geochang.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3, 153-1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Park, D.W., 2015b, Evaluation for rock cleavage using distribution of microcrack lengths. The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4, 3, 165-1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